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
e퍼플
2021년 05월 14일 출간
(개의 리뷰)
(
0%의 구매자)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11MB)
- ISBN 979116569907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金剛經)
j?n g?ng b? r? b? lu? m? j?ng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은, 인문학여행(人文學旅行)의 과정(過程)에서, 마땅한 스승을 만나지 못한 것은, 필자(筆者)의 업장(業障) 탓이리라.
불가(佛家)에서는 스승의 중요성(重要性)을 특히 강조(强調)하는데, 애석(哀惜)하게도 지금(只今)에 이르도록 필자(筆者)는 마땅한 스승을 만나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어린 시절부터 현재(現在)에 이르도록, 늘 좌충우돌(左衝右突)하며 우왕좌왕(右往左往)하기 일쑤다.
필자(筆者)에게 지은 복덕(福德)이 있어서 참된 스승을 만날 수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부처님에게도 마땅한 스승은 없었으며,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갖은 만남 가운데서, 결국(結局) 스스로 깨달았음을 위안(慰安) 삼아본다.
현실세계(現實世界)에는 다양(多樣)한 삶의 행태(行態)가 있다. 그런 무수(無數)한 양태(樣態) 중에서, 가장 인간존재(人間存在) 자체(自體)에 근접(近接)하려는 삶의 모습은 승려(僧侶)다.
승려(僧侶)의 삶은 철저(徹底)한 수행자(修行者)의 여정(旅程)이다. 그 목적지(目的地)은 해탈(解脫)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에 이르는 것이지만, 역사(歷史) 속 숱한 승려(僧侶)들 중에서 견성성불(見性成佛)했다고 가름되는 이는 많지 않다.
설령(設令) 승려(僧侶)로서 살아내더라도 인생(人生)의 생노병사(生老病死)를 해결(解決)하기는 어렵다는 방증(傍證)이다.
필자(筆者)는 인문학여행자(人文學旅行者)로서 삶을 살아내고 있다. 무신론자(無神論者)인 탓에 특정(特定)한 종교(宗敎)를 신앙(信仰)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各) 종교(宗敎) 수도자(修道者)들의 삶이야말로 참으로 인간(人間)다운 삶이라고 여겨진다.
-하략-
j?n g?ng b? r? b? lu? m? j?ng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은, 인문학여행(人文學旅行)의 과정(過程)에서, 마땅한 스승을 만나지 못한 것은, 필자(筆者)의 업장(業障) 탓이리라.
불가(佛家)에서는 스승의 중요성(重要性)을 특히 강조(强調)하는데, 애석(哀惜)하게도 지금(只今)에 이르도록 필자(筆者)는 마땅한 스승을 만나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어린 시절부터 현재(現在)에 이르도록, 늘 좌충우돌(左衝右突)하며 우왕좌왕(右往左往)하기 일쑤다.
필자(筆者)에게 지은 복덕(福德)이 있어서 참된 스승을 만날 수 있었다면 좋았을 테지만, 부처님에게도 마땅한 스승은 없었으며,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갖은 만남 가운데서, 결국(結局) 스스로 깨달았음을 위안(慰安) 삼아본다.
현실세계(現實世界)에는 다양(多樣)한 삶의 행태(行態)가 있다. 그런 무수(無數)한 양태(樣態) 중에서, 가장 인간존재(人間存在) 자체(自體)에 근접(近接)하려는 삶의 모습은 승려(僧侶)다.
승려(僧侶)의 삶은 철저(徹底)한 수행자(修行者)의 여정(旅程)이다. 그 목적지(目的地)은 해탈(解脫)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에 이르는 것이지만, 역사(歷史) 속 숱한 승려(僧侶)들 중에서 견성성불(見性成佛)했다고 가름되는 이는 많지 않다.
설령(設令) 승려(僧侶)로서 살아내더라도 인생(人生)의 생노병사(生老病死)를 해결(解決)하기는 어렵다는 방증(傍證)이다.
필자(筆者)는 인문학여행자(人文學旅行者)로서 삶을 살아내고 있다. 무신론자(無神論者)인 탓에 특정(特定)한 종교(宗敎)를 신앙(信仰)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各) 종교(宗敎) 수도자(修道者)들의 삶이야말로 참으로 인간(人間)다운 삶이라고 여겨진다.
-하략-
▣ 목차
◈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j?n g?ng b? r? b? lu? m? j?ng, 金剛經)
1장.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f? hu? y?n y?u f?n)
법회(法會)를 열게 된 인연(因緣)과 이유(理由)에 관한 분전(分傳)
2장.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sh?n xi?n q? q?ng f?n)
수보리(須菩提)가 잘 드러내 일어나 물음에 관한 분전(分傳)
3장.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d? ch?ng zh?ng z?ng f?n)
대승(大乘)의 정통(正統) 종지(宗旨)에 관한 분전(分傳)
4장.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mi?o x?ng w? zh? f?n)
현묘(玄妙)히 행(行)하여 집착(執着)이 없음에 관한 분전(分傳)
5장.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r? l? sh? ji?n f?n)
이와 같은 이치(理致)로서 실제(實際) 드러남에 관한 분전(分傳)
6장.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zh?ng x?n x? y?u f?n)
올바른 믿음이 드묾에 관한 분전(分傳)
7장.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w?d? w? shu? f?n)
취득(取得)도 없고 설법(說法)도 없음에 관한 분전(分傳)
8장.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y? f? ch? sh?ng f?n)
불법(佛法)에 의거(依據)하여 출생(出生)함에 관한 분전(分傳)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y? xi?ng w? xi?ng f?n)
유일(唯一)한 실상(實相)은 무상(無相)임에 관한 분전(分傳)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zhu?ng y?n j?ng t? f?n)
부처가 사는 장엄(莊嚴)한 정토(淨土)에 관한 분전(分傳)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w? w?i f? sh?ng f?n)
무위(無爲)로써 뛰어난 복(福)을 얻음에 관한 분전(分傳)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z?n zh?ng zh?ng ji?o f?n)
존중(尊重)하는 올바른 교리(敎理)에 관한 분전(分傳)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r? f? sh?u ch? f?n)
이와 같은 불법(佛法)을 받아 지님에 관한 분전(分傳)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l? xi?ng j? mi? f?n)
상(相)으로부터 분리(分離)된 적멸(寂滅)에 관한 분전(分傳)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ch? j?ng g?ng d? f?n)
경전(經典)을 지니는 공덕(功德)에 관한 분전(分傳)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n?ng j?ng y? zh?ng f?n)
능(能)히 업장(業障)을 청정(淸淨)히 함에 관한 분전(分傳)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ji? j?ng w? w? f?n)
궁극(窮極)의 무아(無我)에 관한 분전(分傳)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y? qi? t?ng gu?n f?n)
일체(一切)를 동일(同一)하게 관조(觀照)함에 관한 분전(分傳)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f? ji? t?ng hu? f?n)
불법세계(佛法世界) 두루 교화(敎化)됨에 관한 분전(分傳)
20. 이색리상분(離色離相分, l? s? l? xi?ng f?n)
색(色)과 분리(分離)되고 상(相)과 분리(分離)됨에 관한 분전(分傳)
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f?i shu? su? shu? f?n )
설법(說法)하지 않음과 설법(說法)한 바에 관한 분전(分傳)
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w? f? k? d? f?n)
법(法)이 없음을 깨달아 얻음에 관한 분전(分傳)
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j?ng x?n x?ng sh?n f?n)
마음을 정화(淨化)하여 선(善)을 행(行)함에 관한 분전(分傳)
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f? zh? w? b? f?n)
복덕(福德)과 지혜(智慧)를 비교(比較)할 수 없음에 관한 분전(分傳)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hu? w? su? hu? f?n)
교화(敎化)가 없음과 교화(敎化)된 바에 관한 분전(分傳)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f? sh?n f?i xi?ng f?n)
법신(法身)은 상(相)이 아님에 관한 분전(分傳)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w? du?n w? mi? f?n)
단절(斷切)도 없
◈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密經, j?n g?ng b? r? b? lu? m? j?ng, 金剛經)
1장.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f? hu? y?n y?u f?n)
법회(法會)를 열게 된 인연(因緣)과 이유(理由)에 관한 분전(分傳)
2장.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sh?n xi?n q? q?ng f?n)
수보리(須菩提)가 잘 드러내 일어나 물음에 관한 분전(分傳)
3장.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d? ch?ng zh?ng z?ng f?n)
대승(大乘)의 정통(正統) 종지(宗旨)에 관한 분전(分傳)
4장.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mi?o x?ng w? zh? f?n)
현묘(玄妙)히 행(行)하여 집착(執着)이 없음에 관한 분전(分傳)
5장.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r? l? sh? ji?n f?n)
이와 같은 이치(理致)로서 실제(實際) 드러남에 관한 분전(分傳)
6장.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zh?ng x?n x? y?u f?n)
올바른 믿음이 드묾에 관한 분전(分傳)
7장.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w?d? w? shu? f?n)
취득(取得)도 없고 설법(說法)도 없음에 관한 분전(分傳)
8장.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y? f? ch? sh?ng f?n)
불법(佛法)에 의거(依據)하여 출생(出生)함에 관한 분전(分傳)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y? xi?ng w? xi?ng f?n)
유일(唯一)한 실상(實相)은 무상(無相)임에 관한 분전(分傳)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zhu?ng y?n j?ng t? f?n)
부처가 사는 장엄(莊嚴)한 정토(淨土)에 관한 분전(分傳)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w? w?i f? sh?ng f?n)
무위(無爲)로써 뛰어난 복(福)을 얻음에 관한 분전(分傳)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z?n zh?ng zh?ng ji?o f?n)
존중(尊重)하는 올바른 교리(敎理)에 관한 분전(分傳)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r? f? sh?u ch? f?n)
이와 같은 불법(佛法)을 받아 지님에 관한 분전(分傳)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l? xi?ng j? mi? f?n)
상(相)으로부터 분리(分離)된 적멸(寂滅)에 관한 분전(分傳)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ch? j?ng g?ng d? f?n)
경전(經典)을 지니는 공덕(功德)에 관한 분전(分傳)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n?ng j?ng y? zh?ng f?n)
능(能)히 업장(業障)을 청정(淸淨)히 함에 관한 분전(分傳)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ji? j?ng w? w? f?n)
궁극(窮極)의 무아(無我)에 관한 분전(分傳)
18. 일체동관분(一切同觀分, y? qi? t?ng gu?n f?n)
일체(一切)를 동일(同一)하게 관조(觀照)함에 관한 분전(分傳)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f? ji? t?ng hu? f?n)
불법세계(佛法世界) 두루 교화(敎化)됨에 관한 분전(分傳)
20. 이색리상분(離色離相分, l? s? l? xi?ng f?n)
색(色)과 분리(分離)되고 상(相)과 분리(分離)됨에 관한 분전(分傳)
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f?i shu? su? shu? f?n )
설법(說法)하지 않음과 설법(說法)한 바에 관한 분전(分傳)
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w? f? k? d? f?n)
법(法)이 없음을 깨달아 얻음에 관한 분전(分傳)
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j?ng x?n x?ng sh?n f?n)
마음을 정화(淨化)하여 선(善)을 행(行)함에 관한 분전(分傳)
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f? zh? w? b? f?n)
복덕(福德)과 지혜(智慧)를 비교(比較)할 수 없음에 관한 분전(分傳)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hu? w? su? hu? f?n)
교화(敎化)가 없음과 교화(敎化)된 바에 관한 분전(分傳)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f? sh?n f?i xi?ng f?n)
법신(法身)은 상(相)이 아님에 관한 분전(分傳)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w? du?n w? mi? f?n)
단절(斷切)도 없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