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내경(黃帝內經) 소문(素門) 제1권
e퍼플
2021년 03월 26일 출간
(개의 리뷰)
(
0%의 구매자)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9.82MB)
- ISBN 979116569837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 황제내경(黃帝內經) 소문(素門) 제1권
황제내경(黃帝內經)은 흔히 내경(內經)이라고 불리는데, 중국(中國)의 신화상(神話上) 인물(人物) 황제(黃帝)와, 그의 신하(臣下)이며 명의(名醫)인 기백(岐伯)이, 의술(醫術)에 관하여 토론(討論)한 내용(內容)을 기록(記錄)한 것이다.
그런데 진한(秦漢) 시대(時代)에, 황제(黃帝)의 이름에 가탁(假託)하여 저작(著作)하였다는 주장(主張)도 있다.
이 책은 원래 18권으로, 전반(前半) 9권은 소문(素問), 후반 9권은 영추(靈樞)로 구분(區分)된다.
소문(素問, 본디 물음)은,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등, 자연학(自然學)에 입각(立脚)한 철학적(哲學的) 병리학설(病理學說)을 주(主)로 하고, 실제(實際) 치료(治療)에 대한 기록(記錄)은 적다.
영추(靈樞, 신령의 지도리)는, 침구(鍼灸)와 도인(導引) 등, 물리요법(物理療法)을 상술(詳述)하고 있으며, 약물요법(藥物療法)에 대하여는, 별로 언급(言及)이 없다.
현존(現存)하는 내경(內經)은, 당(唐)나라 왕빙(王氷)이 주석(注釋)을 가(加)한 24권본이 있다. 이보다 앞서, 수(隋)나라 양상선(楊上善)이 편집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30권이 있었으나, 소실(消失)되고 전해지지 않는다.
황제내경(黃帝內經)은 중국(中國) 전통의학서(傳統醫學書)로서는,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서적(書籍)이며, 소문(素問)과 영추(靈樞)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각각 9권 81장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총 800,000자(字)의 한자(漢字)로 기술(記述)되었다.
황제내경(黃帝內經)은 흔히 내경(內經)이라고 불리는데, 중국(中國)의 신화상(神話上) 인물(人物) 황제(黃帝)와, 그의 신하(臣下)이며 명의(名醫)인 기백(岐伯)이, 의술(醫術)에 관하여 토론(討論)한 내용(內容)을 기록(記錄)한 것이다.
그런데 진한(秦漢) 시대(時代)에, 황제(黃帝)의 이름에 가탁(假託)하여 저작(著作)하였다는 주장(主張)도 있다.
이 책은 원래 18권으로, 전반(前半) 9권은 소문(素問), 후반 9권은 영추(靈樞)로 구분(區分)된다.
소문(素問, 본디 물음)은,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등, 자연학(自然學)에 입각(立脚)한 철학적(哲學的) 병리학설(病理學說)을 주(主)로 하고, 실제(實際) 치료(治療)에 대한 기록(記錄)은 적다.
영추(靈樞, 신령의 지도리)는, 침구(鍼灸)와 도인(導引) 등, 물리요법(物理療法)을 상술(詳述)하고 있으며, 약물요법(藥物療法)에 대하여는, 별로 언급(言及)이 없다.
현존(現存)하는 내경(內經)은, 당(唐)나라 왕빙(王氷)이 주석(注釋)을 가(加)한 24권본이 있다. 이보다 앞서, 수(隋)나라 양상선(楊上善)이 편집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30권이 있었으나, 소실(消失)되고 전해지지 않는다.
황제내경(黃帝內經)은 중국(中國) 전통의학서(傳統醫學書)로서는,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서적(書籍)이며, 소문(素問)과 영추(靈樞)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각각 9권 81장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총 800,000자(字)의 한자(漢字)로 기술(記述)되었다.
▣ 목차
◈ 황제내경(黃帝內經) 소문(素門) 제1권
제1편.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천진(天眞)함을 논(論)하다,
상고천진론편제일(上古天?論篇第一)
1. 황제(黃帝)가, 50세(歲)만 넘어도 쇠약(衰弱)해지는 원인(原因)을 묻다
2. 기백(岐伯)이, 쇠약(衰弱)해지는 원인(原因)에 대(對)해 답(答)하다
3. 상고시대(上古時代) 성인(聖人)의 가르침
4. 여자(女子)가 나이 들면 자식(子息)을 가질 수 없는 까닭
5. 장부(丈夫)가 나이 들면 자식(子息)을 가질 수 없는 까닭
6. 나이 들어서도 자식(子息)을 가질 수 있는 까닭
7. 황제(黃帝)가,
진인(眞人)과 지인(至人)과 성인(聖人)과 현인(賢人)에 대해 말하다
제2편. 사계절(四季節)의 기후(氣候)를 좇아
오장(五臟)의 신(神)을 조절(調節)해야 한다,
사기조신대론편제이(四氣調神大論篇第二)
1. 사계절(四季節) 기후(氣候)의 특색(特色)
2. 사시음양(四時陰陽)의 변화(變化)를 거스르면,
인체(人體)의 근본(根本)을 상(傷)하게 된다
3. 이미 병(病)든 것을 다스리지 않고, 아직 병들지 않은 것을 다스린다
제3편. 생기(生氣)가 하늘과 통(通)함에 대해 논(論)하다,
생기통천론편제삼(生氣通天論篇第三)
1. 하늘의 도(道)에 통달한 자(者)는, 삶의 근본(根本)을 음양(陰陽)에 둔다
2. 사람의 양기(陽氣)는, 마치 하늘의 해와 같다
한사(寒邪), 서사(暑邪), 습사(濕邪), 위(?), 부종(浮腫)
전궐(煎厥), 박궐(薄厥), 편고(偏枯), 좌비(??), 대정(大丁), 좌(?)
대루(大?), 누(瘻), 경해(驚駭), 옹종(擁腫), 풍학(風?)
때의 변화(變化)를 거스르면 질병(疾病)이 발생(發生)한다
3. 기백(岐伯)이,
성인(聖人)이 음양(陰陽)의 변화(變化)를 잘 실행(實行)했음을 말하다
풍사(風邪), 장벽(腸?), 입방(入房), 한열(寒熱)
통설(洞泄), 해학(??), 위궐(?厥), 온병(溫病)
오장(五臟), 오미(五味), 오궁(五宮)
제4편. 금궤(金?)에 담긴 진리(眞理)의 말씀을 논(論)하다,
금궤진언론편제사(金?眞言論篇第四)
1. 황제(黃帝)가, 경락(經絡)의 오풍(五風)에 대해 묻다
수혈(兪穴), 구뉵(??), 통설(洞泄), 풍학(風?), 비궐(痺厥), 한중(寒中),
손설(?泄), 온병(溫病)
2. 기백(岐伯)이, 천지(天地)의 음양(陰陽)에 순응(順應)해야 함을 말하다
양중양(陽中陽), 양중음(陽中陰), 음중음(陰中陰), 음중양(陰中陽)
외위양(外爲陽), 내위음(內爲陰), 배위양(背爲陽),복위음(腹爲陰),
장위양(臟爲陽), 부위음(腑爲陰)
오장(五臟)은 음(陰), 육부(六腑)는 양(陽)
3. 오장(五臟)은 사시(四時)에 상응(相應)한다
동(東)쪽, 푸른색, 간(肝), 눈, 경해(驚駭), 신맛, 초목(草木), 닭, 보리,
세성(歲星, 木星), 각(角), 팔(八), 근(筋), 누린내
남(南)쪽, 붉은색, 심(心), 귀, 오장(五臟), 쓴맛, 불, 양(羊), 찰기장,
형혹성(熒惑星, 火星), 치(徵), 칠(七), 탄내
중앙(中央), 누런색, 비(脾), 입, 혀뿌리, 단맛, 흙, 소, 메기장,
진성(鎭星, 土星), 육(肉), 궁(宮), 오(五), 향내
서(西)쪽, 흰색, 폐(肺), 코, 등, 매운맛, 쇠, 말, 벼,
태백성(太白星, 金星), 피모(皮毛), 상(商), 구(九), 비린내
북(北)쪽, 검은색, 신(腎), 생식기, 항문, 관절(關節), 짠맛, 물, 돼지, 콩,
진성(辰星, 水星), 우(羽), 육(六), 썩은내
제5편. 음양(陰陽)이 대상(對象)과 상응(相應)하는 큰일을 논(論)하다,
음양응상대론편제오(陰陽應象大論篇第五)
1. 치병(治病)은 음양(陰陽)을 따라야 한다
2. 사시오행(四時五行)은 순환(循環) 변
◈ 황제내경(黃帝內經) 소문(素門) 제1권
제1편.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천진(天眞)함을 논(論)하다,
상고천진론편제일(上古天?論篇第一)
1. 황제(黃帝)가, 50세(歲)만 넘어도 쇠약(衰弱)해지는 원인(原因)을 묻다
2. 기백(岐伯)이, 쇠약(衰弱)해지는 원인(原因)에 대(對)해 답(答)하다
3. 상고시대(上古時代) 성인(聖人)의 가르침
4. 여자(女子)가 나이 들면 자식(子息)을 가질 수 없는 까닭
5. 장부(丈夫)가 나이 들면 자식(子息)을 가질 수 없는 까닭
6. 나이 들어서도 자식(子息)을 가질 수 있는 까닭
7. 황제(黃帝)가,
진인(眞人)과 지인(至人)과 성인(聖人)과 현인(賢人)에 대해 말하다
제2편. 사계절(四季節)의 기후(氣候)를 좇아
오장(五臟)의 신(神)을 조절(調節)해야 한다,
사기조신대론편제이(四氣調神大論篇第二)
1. 사계절(四季節) 기후(氣候)의 특색(特色)
2. 사시음양(四時陰陽)의 변화(變化)를 거스르면,
인체(人體)의 근본(根本)을 상(傷)하게 된다
3. 이미 병(病)든 것을 다스리지 않고, 아직 병들지 않은 것을 다스린다
제3편. 생기(生氣)가 하늘과 통(通)함에 대해 논(論)하다,
생기통천론편제삼(生氣通天論篇第三)
1. 하늘의 도(道)에 통달한 자(者)는, 삶의 근본(根本)을 음양(陰陽)에 둔다
2. 사람의 양기(陽氣)는, 마치 하늘의 해와 같다
한사(寒邪), 서사(暑邪), 습사(濕邪), 위(?), 부종(浮腫)
전궐(煎厥), 박궐(薄厥), 편고(偏枯), 좌비(??), 대정(大丁), 좌(?)
대루(大?), 누(瘻), 경해(驚駭), 옹종(擁腫), 풍학(風?)
때의 변화(變化)를 거스르면 질병(疾病)이 발생(發生)한다
3. 기백(岐伯)이,
성인(聖人)이 음양(陰陽)의 변화(變化)를 잘 실행(實行)했음을 말하다
풍사(風邪), 장벽(腸?), 입방(入房), 한열(寒熱)
통설(洞泄), 해학(??), 위궐(?厥), 온병(溫病)
오장(五臟), 오미(五味), 오궁(五宮)
제4편. 금궤(金?)에 담긴 진리(眞理)의 말씀을 논(論)하다,
금궤진언론편제사(金?眞言論篇第四)
1. 황제(黃帝)가, 경락(經絡)의 오풍(五風)에 대해 묻다
수혈(兪穴), 구뉵(??), 통설(洞泄), 풍학(風?), 비궐(痺厥), 한중(寒中),
손설(?泄), 온병(溫病)
2. 기백(岐伯)이, 천지(天地)의 음양(陰陽)에 순응(順應)해야 함을 말하다
양중양(陽中陽), 양중음(陽中陰), 음중음(陰中陰), 음중양(陰中陽)
외위양(外爲陽), 내위음(內爲陰), 배위양(背爲陽),복위음(腹爲陰),
장위양(臟爲陽), 부위음(腑爲陰)
오장(五臟)은 음(陰), 육부(六腑)는 양(陽)
3. 오장(五臟)은 사시(四時)에 상응(相應)한다
동(東)쪽, 푸른색, 간(肝), 눈, 경해(驚駭), 신맛, 초목(草木), 닭, 보리,
세성(歲星, 木星), 각(角), 팔(八), 근(筋), 누린내
남(南)쪽, 붉은색, 심(心), 귀, 오장(五臟), 쓴맛, 불, 양(羊), 찰기장,
형혹성(熒惑星, 火星), 치(徵), 칠(七), 탄내
중앙(中央), 누런색, 비(脾), 입, 혀뿌리, 단맛, 흙, 소, 메기장,
진성(鎭星, 土星), 육(肉), 궁(宮), 오(五), 향내
서(西)쪽, 흰색, 폐(肺), 코, 등, 매운맛, 쇠, 말, 벼,
태백성(太白星, 金星), 피모(皮毛), 상(商), 구(九), 비린내
북(北)쪽, 검은색, 신(腎), 생식기, 항문, 관절(關節), 짠맛, 물, 돼지, 콩,
진성(辰星, 水星), 우(羽), 육(六), 썩은내
제5편. 음양(陰陽)이 대상(對象)과 상응(相應)하는 큰일을 논(論)하다,
음양응상대론편제오(陰陽應象大論篇第五)
1. 치병(治病)은 음양(陰陽)을 따라야 한다
2. 사시오행(四時五行)은 순환(循環) 변
작가정보
저자(글) 탁양현
옮긴이 탁양현≪인문학 여행자의 동아시아 여행기≫ ≪삶이라는 여행≫ ≪노자 정치철학≫ ≪장자 예술철학≫ ≪니체 철학≫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