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 시집 2
2020년 11월 19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8.89MB)
- ISBN 9791165695156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숙사평진(宿沙平津)
아삼백음주(兒三百飮酒)
앵무(鸚鵡)
야제(夜霽)
언회(言悔)
연복정(延福亭)
열자어풍(列子御風)
영계(詠鷄)
영동(詠桐)
영어(詠魚)
영정중월(詠井中月)
영측중계관화(詠厠中鷄冠花)
왜송(矮松)
요화백로(蓼花白鷺)
우용동파시운증지(又用東度坡詩韻贈之)
우용동도파운(又用東度坡韻)
우용엄사(偶龍嚴寺)
우음이수유감(偶吟二首有感)
우증윤공(又贈尹公)
운상인장환산걸시(雲上人將還山乞詩)
월야문자규(月夜聞子規)
유어(游魚)
유천화사음다(遊天和寺飮茶)
자유방대(子猷訪戴)
적의(敵意)
절구두운(絶句杜韻)
절화행(折花行)
정중월(井中月)
제포구소촌(題浦口小村)
주필사희선사혜미(走筆謝希禪師惠米)
중구일(重九日)
중억오덕전(重憶吳德全)
즉사(卽事)
증문장노(贈文長老)
지상영월(池上詠月)
차운문장노미개김전화(次韻文長老未開金錢花)
초당단거화자미신임초옥운(草堂端居和子美新賃草屋韻)
초당삼영(草堂三詠)
추송김선배등제환향(秋送金先輩登第還鄕)
취유하녕사(醉遊下寧寺)
칠월삼일작(七月三日作)
투화풍(妬花風)
하녕사(下寧寺)
하문장노득사(賀文長老得寺)
한강(漢江)
희우(喜雨)
희우인제관(戱友人製冠)
희제법사진(戱題法師津)
작가정보
저자(글) 이규보 시집 2
이규보(李奎報, 1169년 1월 15일(음력 1168년 12월 16일[1]) ∼ 1241년 10월 8일)는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은 황려(黃驪). 초명은 이인저(李仁?),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백운산인(白雲山人)이며, 시호는 문순(文順)이다.이규보는 고려 무인 집권기 최씨 정권에 순종하며 활동한 문인 중 한사람이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