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학적 법철학 제1권.The Book of Medical Jurisprudence, Volume 1 (of 3), by John Ayrton Paris and J
2020년 09월 29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2.85MB)
- ISBN 9791191064391
- 쪽수 355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Medical Jurisprudence 용어는 법률상 문제되는 의학적 사항을 과학적으로 밝혀내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법운영에 도움을 주고 인권옹호에 필요한 학문으로, 의료법학, 법의학法醫學 의사법제醫事法制 재판의학裁判醫學 의료행위나 의사 상호간의 관계 또는 일반사회에 관계되는 법과 재판원리에 필요한 응용분야 학문.
법리학 jurisprudence 法理學 . 독일 철학자 칸트의 철학 도서 책 에도 사용한 용어로서, 법률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연구하는 항목으로 법철학과 같은 의미 사용. 대륙법계 독일의 법철학에 반해서 영미법계 영국의 법리학의영향을 받은 법철학을 일제시대에 일본이나 한국에서 법리학이라 칭함.
J.오스틴1790 출생 의 분석적 법리학analytical jurisprudence과 H.J. 메인1822출생의 사회학적 법리학sociological jurisprudence의 영향을 받은 법철학임. 하지만 지금의 한국에서는 법리학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법철학이라는 용어를 통일적으로 사용함.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런 법의학적인 법철학은 영국미국및 프랑스 독일등의 언어의 로마제국의 라틴어등에서 유럽언어가 일본과 한국에서의 언어로 변환되면서 많은 철학적인 사고에서 언어적인 장벽을 넘지못해서 법이나 의학을 다루는 전문가들이 잘못 사용하는 일을 발생함.
법의학적 법철학 제1권 .The Book of Medical Jurisprudence, Volume 1 (of 3), by John Ayrton Paris and John Samuel Martin Fonblanque
TABLE OF CONTENTS.
PART I.
VOL. I.
Of the College of Physicians 1
Its powers and privileges 23
Of the College of Surgeons 54
Of the Society of Apothecaries 59
Of the exemptions and liabilities of Medical practitioners 72
Of actions by Medical practitioners 77
Of actions against Medical practitioners 80
Midwifery 82
Of the preservation of Public Health 85
Burial of the dead 92
Of Quarantine, Lazarettos, and other establishments of Plague Police 104
Medical Police 138
Bills of Mortality 143
ii_aPART II.
Introduction 151
Of Medical Evidence generally 153
Of Marriage 168
Of Divorce or Nullity 176
Various questions connected with the foregoing subjects, elucidated by Physiological remarks 179
I. Of Ages, especially that of puberty 179
II. Of Impotence and Sterility 197
III. Of the Legitimacy of Children 215
Supposititious Children 219
Tenant to the Courtesey 223
Of Monsters and Hermaphrodites legally considered 227
Physiological illustrations connected with the foregoing subjects 230
Of Conception and Utero-gestation 230
Of Parturition or Delivery 241
1. Whether a woman can be delivered during a state of insensibility, and remain unconscious of the event? 243
2. How far the term of Utero-gestation can be shortened, to be compatible with the life (viabilit?) of the offspring? 243
3. Whether to any, and to what probable extent, the natural term of Utero-gestation can be protracted? 245
4. What is the value of those signs by which we seek to establish the fact of a recent delivery? 249
5. Are there any, and what diseases, whose effects may be mistaken for traces of a recent delivery? 254
6. Can we determine by any signs whether a woman has ever borne a child, although at a period remote from that of the examination? 256
7. What are the earliest and latest periods of life, at which women are capable of child-bearing? 256
8. What is the possible number of children that can be produced at one birth? 259
9. Is super-fœtation possible,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at what period of gestation can a second conception take place? 260
iii_a10. What are the causes of Abortion 269
11.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by what means, is it morally, legally, and medically proper, to induce premature labour? 271
12. What circumstances will justify the Cæsarean operation, and of what value is the section of the Symphysis Pubis, or Sigaultian operation? 274
Of Extra-uterine Conception 281
Of Hermaphrodites 283
Of Idiots and Lunatics 289
Of Lunatic Asylums 304
Medical and Physiological Illustrations of Insanity 307
1. Whether the person is actually insane, and if so, what are the proofs of his derangement? 317
2. Whether the proofs are of such a nature as to suffer the individual, with propriety, to retain his liberty, and enjoy his property? 321
3. Whether there has been any lucid interval, and of what duration? 322
4. Whether there is any probable chance of recovery; and in case of convalescence, whether the cure is likely to be permanent? 323
Of Nuisances, legally, medically, and chemically considered 330
법의학적 법철학 .제1권The Book of Medical Jurisprudence, Volume 1 (of 3), by John Ayrton Paris and John Samuel Martin Fonblanque
Medical Jurisprudence 용어는 법률상 문제되는 의학적 사항을 과학적으로 밝혀내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법운영에 도움을 주고 인권옹호에 필요한 학문으로, 의료법학, 법의학法醫學 의사법제醫事法制 재판의학裁判醫學 의료행위나 의사 상호간의 관계 또는 일반사회에 관계되는 법과 재판원리에 필요한 응용분야 학문.
법리학 jurisprudence 法理學 . 독일 철학자 칸트의 철학 도서 책 에도 사용한 용어로서, 법률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연구하는 항목으로 법철학과 같은 의미 사용. 대륙법계 독일의 법철학에 반해서 영미법계 영국의 법리학의영향을 받은 법철학을 일제시대에 일본이나 한국에서 법리학이라 칭함.
J.오스틴1790 출생 의 분석적 법리학analytical jurisprudence과 H.J. 메인1822출생의 사회학적 법리학sociological jurisprudence의 영향을 받은 법철학임. 하지만 지금의 한국에서는 법리학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법철학이라는 용어를 통일적으로 사용함.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런 법의학적인 법철학은 영국미국및 프랑스 독일등의 언어의 로마제국의 라틴어등에서 유럽언어가 일본과 한국에서의 언어로 변환되면서 많은 철학적인 사고에서 언어적인 장벽을 넘지못해서 법이나 의학을 다루는 전문가들이 잘못 사용하는 일을 발생함.
법의학적 법철학 제1권.The Book of Medical Jurisprudence, Volume 1 (of 3), by John Ayrton Paris and John Samuel Martin Fonblanque
INTRODUCTION.
MEDICAL JURISPRUDENCE[ 1] may be defined, a science by which medicine, and its
collateral branches, are made subservient to the construction, elucid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laws; and to the preservation of the public health.
It accordingly resolves itself into two great divisions―into Forensic Medicine,
comprehending the evidence and opinions necessary to be delivered in courts
of justice; and into Medical Police, embracing ii_b the consideration of the policy
and efficiency of legal enactments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general
health, and physical welfare of the community.
목차연속.
Of Impositions 355
Feigned or Simulated diseases 355
Insanity 359
Somnolency 359
Syncope 360
Epilepsy 361
Hysteria 362
Shaking Palsy 362
Fever 364
Dropsy 364
Jaundice 365
Hæmophthysis 365
Vomiting of Blood 365
Vomiting of Urine 365
Bloody Urine 365
Incontinence of Urine 366
iv_aGravel and Stone 366
Alvine Concretions 367
Abstinence from Food 368
Deafness and Dumbness 370
Blindness 371
Ophthalmia 372
Ulcers, &c. 372
Hernia 373
Of the Adulteration of Food 374
Bread 375
Beer 377
Milk 378
Policy of Insurance on Lives 381
Survivorship 388
PART III.
Introduction 399
Arson 402
1. Spontaneous Combustion by friction 403
2. Spontaneous Combustion by the fermentation of Vegetable and Animal substances 404
3. Spontaneous Combustion by Chemical action 406
Human Combustion 412
Rape 416
작가정보
법의학적 법철학 제1권.The Book of Medical Jurisprudence, Volume 1 (of 3), by John Ayrton Paris and John Samuel Martin Fonblanque
영국의 의사및 법률가.
MEDICAL
JURISPRUDENCE.
J. A. PARIS, M.D. F.R.S. F.L.S.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J. S. M. FONBLANQUE, ESQ.
BARRISTER AT LAW.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