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가사 필사본-천연색 영인본
2019년 11월 1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9.73MB)
- ISBN 9791190188043
- 쪽수 96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5
악장가사(樂章歌詞)
17
속악가사상(俗樂歌詞上)
19
종묘영녕전(宗廟永寧殿)
19
영신(迎神)
19
전폐(奠幣)
19
진찬(進饌)
19
초헌희문(初獻熙文)
20
기명(基命)
20
귀인(歸仁)
20
형가(亨嘉)
21
집녕(輯寧)
21
강화(降化)
21
현미(顯美)
22
용광(龍光)
22
중광(重光)
23
영관(永觀)
23
철변두(徹?豆)
24
송신(送神)
24
비궁속악남공철제(?宮俗樂南公徹製)
25
영신어휴곡(迎神於休曲)
25
전폐제명곡(奠幣齊明曲)
25
진막혁우곡(進?赫佑曲)
25
초헌인입제춘곡(初獻引入帝春曲)
25
초헌진색곡(初獻震索曲)
25
인출유길곡(引出維吉曲)
26
아헌인입독경곡(亞獻引入篤慶曲)
26
아헌휴운곡(亞獻休運曲)
26
인출철유곡(引出徹柔曲)
26
철변두유분곡(徹?豆有芬曲)
26
송신아례곡(送神我禮曲)
26
중광(重光)
27
영관(永觀)
27
철변두(徹?豆)
28
송신(送神)
28
비궁속악남공철제(?宮俗樂南公徹製)
29
영신어휴곡(迎神於休曲)
29
전폐제명곡(奠幣齊明曲)
29
진막혁우곡(進?赫佑曲)
29
초헌인입제춘곡(初獻引入帝春曲)
29
초헌진색곡(初獻震索曲)
29
인출유길곡(引出維吉曲)
30
아헌인입독경곡(亞獻引入篤慶曲)
30
아헌휴운곡(亞獻休運曲)
30
인출철유곡(引出徹柔曲)
30
철변두유분곡(徹?豆有芬曲)
30
송신아례곡(送神我禮曲)
30
어제(御製)
31
영신왕재곡(迎神王在曲)
31
전헌과잠곡(奠獻??曲)
31
송신석하곡(送神錫?曲)
32
아악가사(雅樂歌詞)
33
풍운뇌우(風雲雷雨)
33
전폐(奠幣)
33
초헌풍운뇌우(初獻風雲雷雨)
33
산천(山川)
33
성황(城隍)
34
철변두(徹?豆)
34
사직(社稷)
34
전폐(奠幣)
35
초헌국사(初獻國社)
35
국과(國?)
35
철변두(徹?豆)
36
선농(先農)
36
전폐(奠幣)
36
초헌정위(初獻正位)
36
배위(配位)
37
철변두(徹?豆)
37
선천(先?)
37
전폐(奠幣)
37
초헌(初獻)
38
철변두(徹?豆)
38
우사전폐(雩祀奠幣)
38
초헌구화(初獻勾花)
39
축융(祝融)
39
후토(后土)
39
욕노(?奴)
40
현명(玄冥)
40
후과(后?)
40
철변두(徹?豆)
41
문선왕전폐(文宣王奠幣)
41
초헌정위(初獻正位)
41
곤국공(?國公)
42
성국공(?國公)
42
기국공(沂國公)
42
추국공(鄒國公)
43
철변두(徹?豆)
43
납씨가(納氏歌)
43
정동방곡(靖東方曲)
44
대보단악장(大報壇樂章)
47
전폐(奠幣)
47
일위초헌(一位初獻)
47
이위초헌(二位初獻)
47
삼위초헌(三位初獻)
48
철변두(徹?豆)
48
가사상(歌詞上)
49
여민락(與民樂)
49
보허자(步虛子)
50
감군은(感君恩)
50
정석가(鄭石歌)
52
청산별곡(靑山別曲)
54
서경별곡(西京別曲)
56
사모곡(思母曲)
59
능엄찬(?嚴讚)
59
영산회상(靈山會相)
60
쌍화점(雙花店)
61
이상곡(履霜曲)
63
가시리
64
유림가(儒林歌)
65
신도가(新都歌)
68
풍입송(風入松)
69
야심사(夜深詞)
70
한림별곡(翰林別曲)
71
처용가(處容歌)
75
어부가(漁父歌)
78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82
화산별곡(華山別曲)
84
오륜가(五倫歌)
88
연형제곡(宴兄弟曲)
90
상대별곡(霜臺別曲)
92
『악장가사』(樂章歌詞)는 『악학궤범』(樂學軌範) 그리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와 함께 조선 시대 3대 가집의 하나이다. 여말 선초의 향가계 고려 가요, 고려 속악, 경기체가 등의 고려 가요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목활자본으로 연대 미상이지만 편자는 조선 중종~명종 연간 밀양 출신 박준(朴浚)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원본은 규장각과 장서각에 각기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의 중요성은, 첫째 다른 가집에는 없고 『악장가사』에만 고려 가요 14편(「가시리」, 「능엄찬」, 「만전춘별사」, 「사모곡」, 「상대별곡」, 「신도가」, 「쌍화점」, 「연형제곡」, 「영산회상」, 「오륜가」, 「유림가」, 「이상곡」, 「정석가」, 「청산별곡」)이 실려 있고, 둘째 고려 시대 구전 전통으로 전해지던 우리말 노래가 조선 시대 중기 한글로 문자화되어 기록되었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그러므로 고려 시대 구전 문학에 대한 선험적 연구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저작이다.
우리나라 순수 가집 가운데 최고의 책으로, 고려 가요 24편을 그대로 전수하고 있다. 한문과 한글을 병기하는 한글 한자 겸용 저술의 사례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까지 오랜 기간 구전되어 온 고려 가요를 담고 있고, 그 외에도 조선의 속악과 궁중의 악장을 포함하고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나다.
작가정보
저자(글) 박준
편찬자 박준은 16세기 조선 시대 중종에서 명종 때의 밀양 출신 민간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른 설은 그보다 늦게 17세기 조선의 관리 출신 유생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