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2008년 12월 03일 출간
국내도서 : 2007년 11월 16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25.90MB)
- ECN 0102-2018-800-002686852
- 쪽수 722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삼국유사권 제일(三國遺事卷 第一) 19
기이(紀異) 제일(第一) 20
고조선(古朝鮮) 왕검조선(王儉朝鮮) 22
위만조선(魏滿朝鮮) 28
마한(馬韓) 34
이부(二府) 37
칠십이국(七十二國) 37
낙랑국(樂浪國) 39
북대방(北帶方) 40
남대방(南帶方) 41
말갈(靺鞨)<일명 勿吉> 발해(渤海) 44
이서남(伊西南) 51
북부여(北扶餘) 54
동부여(東扶餘) 55
고구려(高句麗) 58
변한백제(卞韓 百濟) 62
진한(辰韓)(역시 진한<秦韓>) 64
우사절유택(又四節遊宅) 66
신라시조 혁거세왕(新羅始祖 赫居世王) 69
제이 남해왕(第二 南海王) 76
제삼 노례왕(第三 弩禮王) 78
제사 탈해왕(第四 脫解王) 81
김알지 탈해왕대(金閼智 脫解王代) 86
연오랑 세오녀(延烏郞 細烏女) 88
미추왕 죽엽군(未鄒王 竹葉軍) 90
내물왕(奈勿王)(일명<一名> 나밀왕<那密王>) 김제상(金堤上) 95
제(第) 十八 실성왕(實聖王) 102
사금갑(射琴匣) 103
지철노왕(智哲老王) 105
진흥왕(眞興王) 107
도화녀, 비형랑(桃花女, 鼻荊郞) 110
천사옥대(天賜玉帶) 114
선덕왕지기삼사(善德王知幾三事) 117
진덕왕(眞德王) 120
김유신(金庾信) 123
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 134
장춘랑파랑(長春郞罷郞)(일명 비<비?>) 150
삼국유사권 제이(三國遺事卷 第二) 157
문호왕법민(文虎王法敏) 157
만파식적(萬波息笛) 168
성덕왕(聖德王) 177
로부인(水路夫人) 178
효성왕(孝成王) 181
경덕왕(景德王), 충담사(忠談師),
표훈대덕(表訓大德) 183
찬기파랑가왈(讚耆婆郞歌曰) 186
혜공왕(惠恭王) 188
원성대왕(元聖大王) 192
조설(早雪) 199
흥덕왕 앵무(興德王 鸚鵡) 200
신무대왕(神武大王), 염장, 궁파(閻長,弓巴) 201
제(第)四十八대(代) 경문대왕(景文大王) 204
처용랑 망해사(處容郞 望海寺) 209
진성여대왕 거타지(眞聖女大王 居?知) 215
효공왕(孝恭王) 218
경명왕(景明王) 219
경애왕(景哀王) 220
김부대왕(金傅大王) 224
남부여, 전백제, 북부여(南扶餘, 前百濟, 北扶餘)를 보고 마치다 235
무왕(武王)(고본<古本>에는 무강<武康>인데 틀리다. 백제는 무강<武康>이 없다) 243
후백제, 견훤(後百濟, 甄萱) 253
가락국기(駕洛國記)(문묘조<文廟朝> 대강년간금관지주사문인<大康年間金官知州事文人>이 지었다. 이제 개략<槪略>하여 실었다) 283
거증왕(居登王) 301
마품왕(麻品王) 302
거질미왕(居叱彌王) 303
이시품왕(伊尸品王) 303
좌지왕(坐知王) 304
취희왕(吹希王) 305
질지왕(?知王) 306
겸지왕(鉗知王) 307
구형왕(仇衡王) 308
삼국유사권 제삼(三國遺事卷 第三) 312
흥법제삼(興法第三) 312
난타벽제(難?闢濟) 314
아도기라(阿道基羅)(일작<一作>아도<阿道>또
아두<阿頭>) 316
원종흥법(原宗興法)(눌지<訥祗> 때와 일백여년 거리다)염촉멸신(厭?滅身) 329
법왕금살(法王禁殺) 342
보장봉노(寶藏奉老) 보덕이암(普德移庵) 344
동경흥륜사금당 10성(東京興輪寺金堂十聖) 354
탑상제사(塔像 第四) 355
요동성육왕탑(遼東城育王塔) 359
금관성파사석탑(金官城婆娑石塔) 362
고려영탑사(高麗靈塔寺) 366
황룡사장육(皇龍寺丈六) 367
황룡사구층탑(皇龍寺九層塔) 374
황룡사종, 분황사약사, 봉덕사종(皇龍寺鐘, 芬皇寺藥師, 奉德寺鐘) 381
영묘사장육(靈妙寺丈六) 383
사불산, 굴불산, 만불산
(四佛山 掘佛山 萬佛山) 384
생의사석미륵(生義寺石彌勒) 387
흥륜사벽화보현(興輪寺壁畵普賢) 388
삼소관음 중생사(三所觀音 衆生寺) 390
백률사(栢栗寺) 397
민장사(敏藏寺) 402
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 404
미륵선화 미시랑 진자사
(彌勒仙花 未尸郞 眞慈師) 419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南白月二聖 努?夫得 ??朴朴) 426
분황사천수대비 맹아득안
(分皇寺千手大悲 盲兒得眼) 437
낙산두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 439
어산불영(魚山佛影) 456
대산오만진신(臺山五萬眞身) 464
명주(溟洲 옛날 하서부다<古河西府也>)오대산 보질도태자전기(五臺山 寶叱徒太子傳記) 479
대산월정사오류성중(臺山月精寺五類聖衆) 482
남월산(南月山) (일명 감산사<亦名甘山寺>) 485
무장사 미타전(?藏寺 彌陀殿) 487
백엄사석탑사리(伯嚴寺石塔舍利) 489
삼국유사권 제사(三國遺事卷 第四) 494
원광서학(圓光西學) 494
보양이목(寶壤梨木) 513
양지사석(良志使錫) 521
귀축제사(歸竺諸師) 523
이해동진(二惠同塵) 526
자장정율(慈藏定律) 533
원효불기(元曉不羈) 546
의상전교(義湘傳敎) 553
사복불언(蛇福不言) 562
진표전간(眞表傳簡) 564
승전촉루(勝詮??) 584
심지계조(心志繼祖) 587
현유가 해화엄(賢瑜? 海華嚴) 594
삼국유사권 제오(三國遺事卷 第五) 600
밀본최사(密本?邪) 600
혜통강룡(惠通降龍) 605
명랑신인(明朗神印) 612
선도성모수희불사(仙桃聖母隨喜佛事) 616
각고(刻苦) 끝에 마침내 약(若) 800년전(年前)에 쓰여진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一然) 고승(고려충렬왕, 본명 金見明<1206~1289>)의 사서(史書)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모두 완역(完譯)해 다시 세상(世上)에 내놓았다. 대단원(大團圓)의 막(幕)을 장식(裝飾)한 셈이다. 장쾌(壯快)한 업적(業績)임을 자인(自認)하고 싶을 만큼 용솟음치는 충동(衝動)의 분출(噴出)이 지난 부끄러운 세월(歲月)과 겹쳐지는 것은 뭘까. 지번(支煩)한 세상사(世上事), 일상사(日常事)의 갖은 감미(甘味)로운 유혹(誘惑)의 손짓을 마다하고 생계(生計)의 콱 짜인 시간적(時間的) 간극(間隙)을 넘나들며 이룩한 완성(完成)은 시시때때 개별마다 찾아드는 일시적(一時的) 정념(情念)의 작용(作用)과는 궤(軌)를 달리한다고 하겠다.
까마득한 과거(過去)를 현재(現在)에서 되돌린다는 작업(作業)이 오직 물적(物的) 미래지향(未來指向)만이 지고(至高)한 가치적(價値的) 잣대로 들이미는 현각(現刻)의 징검다리 난간(欄干)에서 더구나 워낙 만사(萬事)가 그 잘난 정략적(政略的) 술수(術數)에 의해 돌아가는 세상(世上)인지라 물정(物情)에 생경(生硬)한 나 자신에게는 또한 희(喜)인지, 비(悲)인지는 모르겠으나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선조(先祖)들의 얼이 함축(含蓄)된 역사(歷史)를 적나라(赤裸裸)하게 서술(敍述)해 놓은 고귀(高貴)한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앞에 두고 어찌 행불행(幸不幸)과 희비(喜悲)를 논(論)하며 삼세(三世)의 구별(區別)을 따지겠냐마는 신(神)도 모른다는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으로 하여금 어느 때 어느 못난 인간(人間)에 의해 뒤틀린 우리의 상고사(上古史) 정체(正體)를 알고부터는 인터넷의 만능(萬能)도 분석(分析)해체(解體)의 대명사(代名詞)인 과학(科學),합리적(合理的) 사고(思考)도 별 볼일 없는 한낱 황금물질(黃金物質) 탐욕(貪慾)의 산물(産物)이었음을 재확인(再確認) 함이니 통탄(痛嘆)이 감격(感激)의 희열(喜悅)을 빛바래게 하는 것이다. 물질(物質)이 낳은 병적(病的)인 촉감적(觸感的) 사고방식(思考方式)은 대자연법칙(大自然法則)의 이치(理致)를 거부(拒否)할 정도로 오만(傲慢)의 최정점(最頂點)을 달리고 있다. 물질(物質)이 오늘 날 이 만큼 발전(發展)할 수가 있었던 것도 다 자연(自然)의 이치(理致)가 암시(暗示)해 준 덕분(德分)임을 어찌 알겠는가. 공기(空氣)의 고마움을 모르듯이… 역사(歷史)의 수레바퀴는 결코 한 찰나(刹那)만을 위해 한 세대(世代)의 인간(人間)만을 위해 돌지 않는다는 사실(事實)을 때늦기 전에 깨달아 주길 바란다.
재강조(再强調)하건만 고구려(高句麗),백제(百濟),신라(新羅) 삼국(三國)은 이 한반도(韓半島) 어디에도 없었다. 내 조상(祖上)의 무대(舞臺)가 지금의 중국(中國) 땅 대륙(大陸)임을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비롯한 삼국사기(三國史記)나 기타 온갖 내외(內外) 사서(史書)에 기록(記錄) 해 놓았음에도 만능(萬能) 인터넷이고 과학적(科學的) 비교실험(比較實驗) 사고(思考)가 전혀 도움을 줄 생각을 안한다는 것은 조상(祖上)을 욕(辱)되게 하는 것이며 나아가 스스로를 망쪼에 들게 하는 꼴이라 하겠다. 그 좋다는 지위(地位), 명예(名譽), 권력(權力), 부귀(富貴), 행복(幸福)을 과(過)하게 습탐적(習貪的)으로 탐(耽)하면 신침(神針)이나 신애(神艾)로도 치유(治癒)할 수 없다고 그랬다.
한민족(韓民族)이여! 상고사(上古史)는 명재경각(命在頃刻)에 곧 숨이 끊어지고 말 터 그러면 우리 한민족(韓民族)은 고향(故鄕) 잃은 고아자(孤兒者)로 영원히 추락(墜落)하고 말 것이다. 뭘 주저(躊躇)하고 뭘 두려워하는가. 고정관념(固定觀念), 기득권(旣得權)에 대한 옹고집(壅固執)을 한번 비틀어 살짝 문(門)을 열어 주면 되리라. 고향(故鄕)을 다시 찾자는데 무슨 구구(區區)한 변명(辨明)과 이해타산(利害打算)과 무슨 곡절(曲折)이 있을쏘냐.
조상신(祖上神)이여! 물질(物質)의 예속(隸屬)에서 벗어나 정신(精神)의 주인공(主人公)이 되게 해주옵소서. 범부(凡夫)가 아픈 눈을 비벼가며 대륙사(大陸史)의 고향(故鄕)을 새로 고증(考證)하여 세상(世上)에 밝혀났지 않은가. 이제 한민족(韓民族) 모두의 정신(精神)이 대륙(大陸)의 고향역(故鄕驛)으로 무사히 귀환(歸還)할 수 있도록 원작(原作) 일연(一然)큰스님의 원력(願力)과 조상(祖上)님의 가호(加護)를 절실(切實)히 기대(期待)해 마지않는 바라 하겠다.
작가정보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