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기업 대해부
2011년 01월 04일 출간
국내도서 : 2009년 11월 3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7.34MB)
- ISBN 9788976338464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일러두기
서장_중국의 성장과 중국기업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구성과 내용
제1장_중국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1. 머리말
2. 중국기업의 현황
3. 중국기업의 발전과정
4. 중국기업 부문의 구조고도화와 경쟁력
5. 맺음말
제2장_대형 국유기업의 개혁과 기업지배구조
1. 머리말-대형 국유기업 개혁의 의의
2. 대형 국유기업의 현황
3. 대형 국유기업 지배구조 개혁의 진전
4. 대형 국유기업 개혁의 과제
5. 맺음말
제3장_민영기업의 창업과 기업지배구조
1. 머리말-민영기업의 발전과 의의
2. 민영기업의 창업
3. 중국식 가족경영기업의 승계
4. 교판기업의 출현 및 구조
5. 맺음말-민영기업의 역할과 과제
제4장_사업다각화와 전략적 제휴
1. 머리말-사업다각화와 전략적 제휴의 의의
2. 사업다각화의 중국적 특징
3. 중국 민영기업의 전략적 제휴와 합작
4. 맺음말-사업다각화와 전략적 제휴의 평가
제5장_중국기업의 기술 추격
1. 머리말
2. 중국 과학기술 역량의 현황과 발전
3. 비야디-도약적 기술 추격
4. 누크테크-안전장비 영역에서의 도약적 혁신 실현
5. 맺음말
제6장_중국기업의 대내외적 국제화와 경쟁력
1. 머리말
2. FDI중심의 대내적 국제화 전략-추진 배경과 한계
3. 대외적 국제화 전략 수단으로의 ODI와 M&A
4. 중국의 국제화 추진 및 성공.실패 사례
5. 결론 및 시사점
제7장_중국 대기업과 세계 대기업의 비교
1. 머리말
2. 중국의 글로벌 500대 기업 현황
3. 중국 대기업과 국제기업 비교
4. 중국기업과 세계 동종 업계의 대기업 비교
5. 맺음말
제8장_중국 상장기업의 경영 성과와 생산성 분석
1. 머리말
2. 중국 상장기업의 재무 상과 분석
3. 중국 상장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경쟁력
4. 결론 및 시사점
5. 맺음말
부록-총요소생산성 측정 방법
참고문헌
필자소개
국내 중국 전문가와 현지 연구진(SERIChina)이 함께 분석한
중국기업의 모든 것!
지금 세계는 중국 경제의 질주를 목도하고 있다. 1949년 건국을 선포한 이래 계획 경제의 낮은 생산성과 효율성으로 고전하던 중국 경제는 1970년대 후반 개혁개방을 선언하며 성장의 길로 들어섰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위상이 날로 높아진 중국은 현재 미국과 함께 세계경제를 선도하는 2강으로 도약했다. 이 책은 지난 30년간 중국기업이 이룬 성장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전략을 충실히 분석하여 중국기업 성장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정리하려는 시도이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중국전문가와 삼성경제연구소 북경사무소(SERIChina) 연구진의 협력 작업으로 탄생했다.
눈부신 중국기업 성장의 역사를 엿보다
2008년 〈포춘〉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에 26개의 중국기업이 포함되었다. 1949년 중국이 건국을 선포한 뒤 불과 60년 만에 이룬 놀라운 성장이다. 이러한 극적인 변신에 성공하기까지 중국기업은 어떤 길을 걸어왔는가.
중국기업의 빠른 성장 과정과 그 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이 책에서 건국 이후 중국기업의 역사를 총정리했다. 국유기업의 발전과 체질개선 과정, 혁신적인 민영기업의 등장, 선진국을 따라잡은 중국기업의 기술 추격 등 중국기업의 성장을 설명하기 위한 중요 이슈들을 빠짐없이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중국 경제의 미래를 전망하고 평가하고자 했다.
입체적이고 객관적인 결론을 얻기 위해 국내 중국 전문가의 분석에 삼성경제연구소 북경사무소의 연구진을 동원하여 중국 현지에서 보는 중국기업에 대한 분석을 더했다.
개혁개방 선언 - 성장의 길로 들어서다
건국 이후 1970년대 말까지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 속에서 중국에는 엄밀한 의미의 기업은 존재하지 않았다. 생산주체는 국유기업이었으며 정부는 기업에 자재를 분배하고 기업의 자금은 정부 혹은 국유은행이 공급했다. 정부는 경영자를 임면(任免)했고 이익은 정부에 귀속되었으며 손실 역시 정부가 책임졌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경제적 효율과 생산성은 낮았고 1960년대 이후 동아시아 국가가 고도성장할 때 중국은 경제성장 대열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개방과 개혁을 계기로 중국은 성장의 길로 들어섰다.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고 중요한 공산품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중국경제는 빠른 속도로 발전해 1980년대 초에는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2001년 말 WTO에 가입하면서 중국은 세계의 자원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었다. 중국기업도 새로운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거대한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기업은 경제성장의 선도자였고 성장은 다시 기업을 만들고 발전시켰다.
중국기업의 고성장은 유리한 외부 환경 덕분이기도 했다. 2001년 이후 국제금융 시장의 우호적인 환경이 중국기업의 성장에 기여했다. 국제적인 저금리로 인한 미국의 소비 확대가 중국에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를 안겨주었던 것이다. 또 개도국으로 유입되는 투자자금으로 자산시장이 호황을 누릴 수 있었다.
21세기는 과연 중국의 세기가 될 것인가
그러나 이 책은 지금 중국기업이 갈림길에 서있음을 지적한다. 이제 중국기업은 양적인 성장 뿐 아니라 질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규모 확대가 아닌 질적인 성장을 통해 경쟁원천을 창출하고 선진국기업과 같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만들어내야 한다.
또한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우호적인 환경을 누리지 못할 수도 있다. 국내에서는 생산비용이 상승하고 있으며 정부의 통제와 글로벌 경쟁 체제의 양립도 쉽지 않다. 베이징 올림픽 이후의 투자 둔화도 둔화되고 있으며 개방이 확대될수록 경쟁도 더욱 격화될 것이다. 최대 시장인 미국의 불황으로 인해 수출 환경도 나빠질 것이다.
21세기에 중국과 중국기업은 선진국의 압력과 격화되는 경쟁을 극복하고 계속 성장하여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2강의 자리를 굳건히 할 것인가. 아니면 질적 전환을 이루지 못한 채 거품으로 터지고 말 것인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우리는 여기서 어떤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는 독자들에게 유효한 실마리를 제공해 주는 책이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
총 8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장부터 3장까지는 중국기업의 성장과정을 개관하고, 4장부터 6장은 중국기업의 전략적 측면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7장과 8장에서는 중국기업의 성과를 다룬다.
중국기업의 성장과정
1장 〈중국기업의 성장과 경쟁력〉에서는 광공업 부문을 중심으로 중국기업이 어떻게 발전하고 구조고도화를 추진해왔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중국은 국유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부의 통제력 축소, 체질 강화, 민영기업의 육성 등을 추진했다. 국유기업 개혁은 주식회사화, 나아가 민영화로 나타났다. 또한 국유기업의 민영화와 함께 사영기업도 나타났다. 사유경제의 출현과 함께 나타난 사영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미국의 나스닥에 상장되기도 했다. 이렇듯 민영화 과정에서 기업의 체질을 개선시키는 개혁을 시행함으로써 중국기업은 세계경제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2장 〈대형 국유기업의 개혁과 기업지배구조〉에서는 대형 국유기업의 개혁과 지배구조를 다룬다. 대형 국유기업은 주로 국가 기간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로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 있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정부는 국유기업의 경영자율권을 확대하고, 주식 분산을 추진했으며, 국유자산의 소유권을 명확히 했다. 또 국유기업 지배구조 개혁을 위해 재산권 개혁과 제도 개혁을 시도했다. 이러한 개혁을 통해 중국의 대형 국유기업들은 ‘세계 500대 기업’ 진입을 목표로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3장 〈민영기업의 창업과 기업지배구조〉에서는 민영기업의 창업과 지배구조를 다루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기업 형태는 국유기업, 민영기업, 외국자본기업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그중 민영기업은 2007년 551만 개로 전체 기업 수의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 내외이다. 하지만 민영기업은 급속한 성장에 따른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큰 폐해가 가족기업의 문제점이다. 지리자동차, 쭝선그룹 등의 사례를 통해 가족기업승계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중국기업 성장의 전략
4장 〈사업다각화와 전략적 제휴〉에서는 중국 민영기업의 성장 전략으로서 사업다각화와 전략적 제휴를 설명한다. 신화롄과 더룽의 사례를 통해 사업다각화 상황을 분석한다. 중국기업의 사업다각화 정도는 미국 및 일본 등 선진국뿐 아니라 같은 신흥공업국에 속하는 인도보다도 현저히 높다. 이는 체질강화보다는 일단 키우고 보자는 중국의 대다수 대형 민영기업들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다.
2002년 WTO 가입 이후 많은 기업이 시장화와 개방 대열에 참여하면서 전략적 제휴의 시기가 도래했다. 중국 민영기업들과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제휴 사례가 늘어갔으며 전략적 제휴를 통한 해외시장 개척도 나타났다.
5장 〈중국기업의 기술 추격〉에서는 선진국을 따라잡은 중국기업의 기술 추격을 다룬다. 전기자동차업체 비야디와 안전검사장비업체 누크테크의 사례에서 ‘도약적 기술발전(leapfrog ging)’을 통한 세계적 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살펴본다.
6장 〈중국기업의 대내외적 국제화와 경쟁력〉에서는 중국기업의 대내외적 국제화와 경쟁력을 다룬다.‘인진라이(외자유치)’정책 아래 추진되어온 외국인직접투자를 통해서는 내부적 국제화를,‘쩌우추취(해외진출)’의 기치 아래 추진되고 있는 대외직접투자를 통해서는 대외적 국제화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중국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분석한다. M&A 성공 사례인 하이얼의 경우와 실패 사례인 TCL과 레노보의 사례를 통해 중국기업의 해외 전략을 살펴본다.
중국기업의 성과
7장 〈중국 대기업과 세계 대기업의 비교〉에서는 중국 대기업과 세계 대기업의 경영 내용과 성과를 비교한다. 〈포춘〉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기업은 1998년에는 5개에 불과했으나 2008년에는 26개로 증가했다. 5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 대기업을 중심으로 중국기업들의 잠재력을 평가하고 있다.
8장 〈중국 상장기업의 경영 성과와 생산성 분석〉에서는 중국 상장기업의 경영 성과와 총요소생산성을 분석한다. 2001년 WTO 가입 이후 총요소생산성이 상승했으며, 이는 기업 수익성의 개선을 의미함을 추론하고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김익수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중국경제 연구
- 주요 저서 : 《사들이는 중국, 팔리는 한국》(2005), 《중국시장 마케팅 : 전략과 사례》(2004) 등
저자(글) 정무섭
-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
- 인도경제, 신흥국 기업 연구
저자(글) 표민찬
-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前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중국경제 및 경영 연구
* SERIChina(삼성경제연구소 북경사무소)
저자(글) 리강
- 전략팀 수석연구원
- 싱가포르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경영학 박사
- 다국적기업의 중국시장 전략 연구
저자: 린루이밍(林瑞明)
- 전략팀 연구원
- 런던 비즈니스 스쿨(London Business School) 경영학 석사
- 다국적기업의 중국 전략 연구
저자: 쉬리옌(?李彦)
- 산업팀 연구원
- 칭화대학교(淸華大) 경제학 석사
- IT산업, R&D 연구
저자: 쑨샤오페이(??菲)
- 산업팀 연구원
- 런민대학교(人民大) 경제학 석사
- IT산업 연구
저자: 왕시옌이(王??)
- 전략팀 연구원
-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Illinois, Urbana-Champaign) MBA
- 중국기업 전략 연구
저자: 장선웨이(?沈?)
- 전략팀 연구원
- 베이징대학교(北京大) 경제학 석사
- 중국로컬기업 경쟁력 연구
저자: 츄강(邱?)
- 산업팀 수석연구원(산업팀장)
-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경제학 박사
- 산업조직, 산업정책 연구
저자(글) 쉬리옌
저자(글) 쑨샤오페이
저자(글) 왕시옌이
저자(글) 장선웨이
저자(글) 츄강
저자 : 김익수(金益洙)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중국경제 연구
- 주요 저서 : 《사들이는 중국, 팔리는 한국》(2005), 《중국시장 마케팅 : 전략과 사례》(2004) 등
저자 : 정무섭(鄭武燮)</b>
-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
- 인도경제, 신흥국 기업 연구
저자 : 표민찬(表旻燦) </b>
-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前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중국경제 및 경영 연구
저자 : SERIChina(삼성경제연구소 북경사무소)
리강</b>
- 전략팀 수석연구원
- 싱가포르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경영학 박사
- 다국적기업의 중국시장 전략 연구
저자 : 린루이밍(林瑞明)</b>
- 전략팀 연구원
- 런던 비즈니스 스쿨(London Business School) 경영학 석사
- 다국적기업의 중국 전략 연구
저자 : 쉬리옌</b>
- 산업팀 연구원
- 칭화대학교(淸華大)?경제학?석사
- IT산업, R&D 연구
저자 : 쑨샤오페이</b>
- 산업팀 연구원
- 런민대학교(人民大)?경제학?석사
- IT산업 연구
저자 : 왕시옌이</b>
- 전략팀 연구원
-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Illinois, Urbana-Champaign) MBA
- 중국기업 전략 연구
저자 : 장선웨이</b>
- 전략팀 연구원
- 베이징대학교(北京大) 경제학?석사
- 중국로컬기업 경쟁력 연구
저자 : 츄강
- 산업팀 수석연구원(산업팀장)
-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경제학 박사
- 산업조직, 산업정책 연구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