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꽃
2006년 04월 06일 출간
국내도서 : 2016년 05월 1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0.81MB)
- ECN 0102-2018-800-002652481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먼 후일
풀따기
옛이야기
님의 노래
님에게
봄밤
꿈꾼 그 옛날
꿈으로 오는 한 사람
눈 오는 저녁
못 잊어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꿈
제비
만리성(萬里城)
담배
실제(失題)
부모(父母)
잊었던 맘
봄비
비단 안개
기억(記憶)
그를 꿈꾼 밤
여자의 냄새
서울밤
가을 아침에
가을 저녁에
옛낯
꿈
낙천(樂天)
눈
남의 나라 땅
천리만리(千里萬里)
어인(漁人)
생(生)과 사(死)
황촉(黃燭)불
맘에 있는 말이라고 다 할까보냐
2. 개여울
진달래꽃
나의 집
새벽
여름의 달밤
바라운 몸
물마름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밭고랑 위에서
저녁때
열락(悅樂)
무덤
찬 저녁
초혼(招魂)
여수(旅愁)
개여울
길
가는 길
왕십리(往十里)
삭주구성(朔州龜城)
산
널
접동새
춘향(春香)과 이도령(李道令)
산유화(山有花)
집생각
부귀공명
무신(無信)
꿈길
사노라면 사람은 죽는 것을
하다못해 죽어 달래가 옳나
희망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금(金)잔디
강촌(江村)
엄마야 누나야
3 그리워
그리워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거친 풀 흐트러진 모래동으로
맘에 속의 사람
공원(公園)의 밤
고적(孤寂)한 날
장별리(將別里)
가는 봄 삼월(三月)
길손
꿈자리
눈물이 쉬루르 흘러납니다
어려 듣고 자라 배워 내가 안 것은
옷과 밥과 자유
돈과 밥과 맘과 들
바닷가의 밤
해 넘어가기 전(前) 한참은
기회(機會)
상쾌한 아침
고만두풀 노래를 가져 월탄(月灘)에게 드립니다
대수풀 노래
팔베개 노래
고독(孤獨)
삼수갑산(三水甲山)
고락(苦樂)
고향(故鄕)
가시나무
마음의 눈물
외로운 무덤
해설/유종호
연보
참고서지
본문 해설 중에서
그는 옷과 밥과 자유 없는 고향 상실의 시대에 원초적인 그리움의 정서적 합법화를 통해서 인간회복과 민족회복을 호소한, 우리들의 귀한 터주시인의 한 사람이다. 토착적 전통에 충실하면서 아울러 집 없고 길 막힌 자기 시대에 충실했다는 점에 김소월의 각별한 진정성이 있다.
‘한국대표시인100인선집’은 한국 현대시 100년을 문학사적인 차원에서 정리하고 한국 현대시의 정신과 그 전통을 새롭게 조명한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간행 당시에 우리 문학사에서는 월북시인을 제외시킴으로써 문학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지 못했으나, 이 선집에서는 월북시인을 망라하여 한국 현대시사를 총체적으로 재조명하고 우리 문학사를 새롭게 결산하였다. 또한 시가 전집 출판의 한 장르로서 정착하고 국민의 생활 속에 뿌리를 내려 올바른 민족문화의 형성과 새로운 문화 창조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업성을 떠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던 이 기획(1991년)은 방대한 규모의 출판 작업을 기초로 한 시문학 전집으로 한국 현대시의 전개양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문학사를 다시 정리하는 시문학의 보고이다.
‘한국대표시인100인선집’은 2년여의 기초조사와 1년 동안의 편집 작업을 거쳐 1991년에 간행되었다. 당시 총 5억여 원의 비용이 소요되었고, 방대한 이 작업에는 4명의 편집위원(고 정한모, 권두환, 최동호, 권영민)과 국문학 전공자를 비롯하여 총 20여 명의 인원이 참가하였고, 100명의 문학평론가가 각 시인의 해설을 맡았다.
「진달래꽃」은 한국 서정시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되는 김소월의 대표작이다. 이는 민족적인 한의 정서와 민요조의 전통적 운율이 정교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시집 『진달래꽃』은 ‘한국대표시인100선집’ 의 첫 번째 시선집으로, 「진달래꽃」을 비롯해, 「초혼(招魂))」, 「산유화」, 「금(金)잔디」, 「엄마야 누나야」 등 김소월의 대표적 애송시 100편과 문학평론가 유종호 교수의 상세한 해설을 담고 있다.
작가정보

저자 김소월은 1902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정식(廷湜)이며 남산보통학교와 오산중학교 및 배재고보를 졸업하였고, 일본 도쿄(東京) 대학에서 수학하였다. 오산학교 시절 스승인 김억의 영향으로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20년 『창조(創造)』에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그리워」 등을 발표하고 등단하였다. 『개벽』에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등을, 김동인 · 김찬영 · 임장화 등과 『영대(靈臺)』 동인으로 활동하며 『영대』 에 「산유화」, 「생과 사」, 「명주딸기」 등을 발표하는 등 주옥같은 서정시를 남김으로써 근대문학 최대의 민요시인의 자리를 남겼다. 시집으로는 『진달래꽃』(1925)이 있으며, 1934년에 곽산에서 아편을 먹고 자살하였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