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한국 선종사
2016년 05월 26일 출간
국내도서 : 2010년 07월 3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5.02MB)
- ISBN 9788926812549
- 쪽수 379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Ⅰ. 한국선법의 원류
1. 한국불교와 선법
2. 동산법문의 견불성(見佛性)
3. 동산법문의 일행삼매(一行三昧)
4. 도신의 제불심제일(諸佛心第一)
5. 동산법문의 중국적 전승
6. 동산법문의 해동의 계승 및 그 성격
Ⅱ. 한국선법의 태동
1. 정중무상(淨衆無相: 684~762)의 무념선(無念禪)
2. 설악도의(雪嶽道義: 연대 미상)의 무위선(無爲禪)
3. 요오순지(了悟順之: 807~883)의 원상선(圓相禪)
4. 요오순지(了悟順之: 807~883)의 화엄선(華嚴禪)
Ⅲ. 한국선법의 발전
1. 청평거사(淸平居士: 1061~1125)의 능엄선(楞嚴禪)
2.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융통선(融通禪)
3. 진각혜심(眞覺慧諶: 1178~1234)의 일문선(一門禪)
4. 보각일연(普覺一然: 1206-1289)의 경초선(莖草禪)
5. 백운경한(白雲景閑: 1298~1374)의 무심선(無心禪)
6. 태고보우(太古普愚: 1301~1382)의 원융선(圓融禪)
Ⅳ. 한국선법의 계승
1. 환암혼수(幻菴混修: 1320~1392)의 삼구선(三句禪)
2. 구곡각운(龜谷覺雲: 연대 미상)의 이류선(異類禪)
3. 벽계정심(碧溪正心: 연대 미상)의 금강선(金剛禪)
4. 벽송지엄(碧松智嚴: 1464~1534)의 무생선(無生禪)
5. 부용영관(芙蓉靈觀: 1485~1571)의 여래선(如來禪)
6. 경성일선(敬聖一禪: 1488~1568)의 본분선(本分禪)
7. 청허휴정(淸虛休靜: 1520~1604)의 회통선(會通禪)
8. 부휴선수(浮休善修: 1543~1615)의 쌍수선(雙修禪)
9. 백파긍선(白坡亘璇: 1767~1852)의 방편선(方便禪)
10. 초의의순(草衣意恂: 1786~1866)의 본래선(本來禪)
11. 경허성우(鏡虛惺牛: 1846~1912)의 이수선(泥水禪)
12. 석전한영(石顚漢永: 1870~1948)의 왕시선(枉矢禪)
13. 금오태전(金烏太田: 1896~968)의 직지선(直指禪)
한국 선종사를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깊이 있게 다룬 책이다.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4세기 후반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부터 고구려는 물론 백제와 신라에서 다양한 교리의 연구 및 종파가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선법의 전래는 불교의 전래보다 약 350여 년 이후에 법랑을 통하여 8세기 중반에 전래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선법이 수용되고 이해되기까지는 약 80여 년 이후에나 가능하였다. 선법의 초전시대에는 신라에 이미 활발한 교학적 토대가 구축되어 있었다. 따라서 선법이 신라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선법이 지니고 있는 특유한 사상 및 방식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이 곧 선교차별(禪敎差別)의 출현으로서 선법의 우위를 강조한 내용들이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미 교학을 공부한 이후에 보다 새로운 선법을 추구했다는 내용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교법보다는 선법이 뛰어나다는 내용을 전개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선법에서도 조사선(祖師禪)이 여래선(如來禪)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초기 선법의 전래는 당(唐)에서 소위 선종오가(禪宗五家)가 형성되기 직전인 9세기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전래되어 선종오가의 형성 직후에 해당하는 10세기 후반에는 오가의 다양한 선법으로 전래되었다. 특히 오가 가운데는 조동종(曹洞宗)의 선법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전래되었고, 위앙종(潙仰宗)의 선법은 순지를 통하여 고스란히 전래되었다. 이로써 고려 초기에는 운문종(雲門宗)과 임제종(臨濟宗)과 법안종(法眼宗) 등 오가의 선풍이 모두 고려에 전승되었다. 이와 같은 선풍이 꾸준하게 전개되어 가면서 그 사상적인 면모를 직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선어록의 등장도 더불어 출현하였다. 특히 본격적인 어록의 형태는 아닐지라도 조당집에 수록되어 있는 요오순지(了悟順之)의 법어는 순지어록(順之語錄)으로 불러도 아무런 손색이 없다.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선어록은 상당히 늦은 시기인 보조지눌(普照知訥)에 와서야 가능했지만 그 선구는 이미 순지로부터 찾아볼 수가 있다. 순지의 법어 곧 어록을 통하여 당(唐)으로부터 전래된 선법뿐만 아니라 해동선법에서 계승되고 발전된 원상선법과 화엄선법의 면모를 파악할 수가 있다.
작가정보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