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

문승현 지음
지선출판사

2025년 11월 03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1.74MB)   |  383 쪽
ISBN 9791198798749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23,000원

쿠폰적용가 20,7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인간의 운명을 보는 방법은 직관적 방법, 상(象)의 관찰법, 규칙성을 통한 예측법등 많습니다. 명리학은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규칙성을 통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학문입니다. 운명예측은 일부 특정인의 전유물(專有物)이 아닙니다. 누구나 음양오행 생극제화 이치를 익히면 자신의 운명을 예측 할수 있습니다. 본 연구서는 명리학의 모든 이론을 음양오행 생극제화 이치의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본 책은 2024년 7월에 종이책으로 이미 출간된 책입니다. 오랜 시간 연구한 명리학 이론을 후학들이 연구와 대한민국 명리학의 발전을 위해 기록으로 남겨두기 위해서 종이책으로 책을 출간하고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에 납본시켜 두었습니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좀더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에 전자책으로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목 차

『음양오행 구조론』 전자책을 출판하면서 ---- 2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를 쓰면서 --- 3
목 차 --- 5


Ⅰ부 음양오행(陰陽五行) 생성론(生成論) 연구 --- 25
1장 음양오행(陰陽五行)과 생성론(生成論) --- 26
1. 음양오행 구조론의 연구배경과 목적
1)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배경
2) 자연과 명리학의 연결고리는 음양오행
3)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
4) 명리학은 미신이 아닌 자연과학이고 자연철학이다.
2. 문헌(文獻)에 기록된 음양오행(陰陽五行) ---------- 30
1) 문헌(文獻)에 나온 음양과 오행
2) 추연(鄒衍)의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
3. 프랙탈(fractal)이란? -------------------------- 34
4. 프랙탈(fractal) 도형 시에르핀스키(Sierpinski) 삼각형
5. 명리학 이론의 프랙탈(fractal)구조
1) 자전과 공전의 한바퀴 프랙탈(fractal) 구조
2) 월(月)과 시(時) 12와 24도 프랙탈구조
6, 고법명리학과 신법명리학의 분류 ---------------- 37
1) 고법명리학과 삼명학
2) 고법명리서 『옥조신응진경(玉照神應眞經)』
3) 『원천강오성삼명지남』과 조선시대 과거(科擧)시험
4) 『원천강오성삼명지남』의 내용
5) 당사주(唐四柱)와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
6) 『이허중명서(李虛中命書)』와 당사주
7) 신법명리서 『낙록자삼명소식부주(珞琭子三命消息賦注)』
7. 신법명리학(新法命理學)의 특징 ------------------- 48
8. 신법명리학의 발달배경은 과거제도 시행
9. 고대(古代) 제정일치(祭政一致) 사회는 예언의 시대 --- 53
1) 예언(豫言)을 하는 제사장
2) 예언(豫言)과 예측(豫測)의 차이
3) 태양을 숭배했던 고대사회
10. 음양과 생성론(生成論)의 관계(關係) --- 58
11. 생성론(生成論) 연구의 중요성
12. 지지 생성론과 음양운동
13. 지지 생명잉태와 출생과정
14.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음양 생성론 --- 64
1) 발음오행 『훈민정음(訓民正音)』
2)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3) 소리 천재 세종대왕과 세상 모든 소리를 담아낸 훈민정음
4)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음양오행과 태극사상

2장 『주역』과 『태극도설』의 음양오행과 생성론 --- 69
1. 『주역(周易)』과 『태극도설(太極圖說)』의 음양오행 생성론
2. 역이란?
3. 변역 교역 불역 간이
4. 역경이란?
5. 연산역(連山易) 귀장역(歸藏易) 주역(周易)
6. 『주역(周易)』과 음양(陰陽)
7. 사상(四象)
8. 『주역(周易)』의 팔괘(八卦) 생성원리 -------------- 74
1) 대성괘(大成卦)와 소성괘(小成卦)
2) 64괘 읽는법
3) 효(爻)의 명칭
4) 팔괘 암기법
9. 만물 생성론과 음양오행 ------------------- 78
1) 무극론(無極論)과 카오스(chaos) 상태
2) 태극론(太極論)과 음양은 코스모스(cosmos) 상태
3) 삼태극론(三太極論)과 오행 & 사상(四象)
4) 카오스(chaos)와 코스모스(cosmos)도 음양관계

3장 하도낙서(河圖洛書)의 음양오행 구조 --------------- 84
1. 하도낙서(河圖洛書)란?
2. 『역학계몽(易學啟蒙)』과 「하도낙서(河圖洛書)」
3.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음양구분
4. 하도의 10 완성수 낙서 9 변화수
5. 소태극과 대태극 그리고 프랙탈(fractal)이론
6. 아홉수의 음양 --------------------------- 88
7. 하도낙서 금화교역과 수리 색상의 음양오행 구분
1) 금화교역 화금교역 반대급부 원리
8. 양은 통합 음은 분리독립
9. 복희 팔괘 차서도 ------------------------ 91
10. 선천복희팔괘도(先天伏羲八卦圖)
11. 후천문왕팔괘도(後天文王八卦圖)
12. 구궁도(九宮圖)와 마방진(魔方陣)
13, 도서(圖書)는 하도와 낙서에서 온말이다.

Ⅱ부 음양오행 성장론 적용론 ----------------- 96
4장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구조 --------------- 97
1. 음양(陰陽)이란?
1) 음양의 두가지 의미 차이점과 공통점
2) 음양의 기능과 구조
3) 음양의 특징(상대성 변화성 공존성 교류성)
4) 음양과 순행 역행 관계
5) 음양 기흐름(음극즉양생)
6) 물극필반(物極必反)과 절처봉생(絶處逢生)
7) 음양의 오행분화
8) 황제내경 음양응상대론
2. 오행(五行)이란? ------------------------- 104
1) 오행의 기능과 구조
2) 오행(五行) 상생상극법(相生相剋法)
3) 생극제화(生剋制化)란?
4) 일음일양지위도 오행의 기흐름 운동
5) 음양변화가 오행변화보다 우선한다.
6) 고정기운과 변화기운
3. 음양오행은 지지구조 오행양음은 천간구조 ------ 107
1) 천간(天干)은 양음(陽陰)운동 지지(地支)는 음양(陰陽)운동
2) 생성론(生成論)은 음양법칙 성장론(成長論)은 양음법칙
3) 잉태 창조의 운동과 성장 소멸의 운동
4) 천간의 음양변화와 오행변화 특징
4, 오행양음(五行陽陰)과 소멸론 관계
5. 명리학의 음양오행 구조------------------- 112
1) 명리학의 음양 오행 쓰임과 구조
2) 명리학의 음양구조
3) 명리학의 오행구조
4) 오행의 공통점 차이점
5) 운명구조론은 음양오행구조론

5장 간지의 음양오행 구조론 ------------------------ 116
1. 간지의 음양오행 구조론
1) 명리학은 음양오행학이다.
2) 음양과 오행의 구조
3) 천간지지의 음양오행 구조
4) 천간 지지의 음양오행 구조 분석 방법
2. 천간은 오행양음 구조 ------------------------ 118
1) 체용(體用)에 의한 음양오행 구분법
2) 천간의 체 기준 음양구조
3) 천간의 용 기준 음양구조
4) 천간의 오행구분
5) 양에도 음이 있고 음에도 양이 있다.
6) 음양오행학과 오행양음학의 차이
7) 지지는 음극즉양생 천간은 일음일양지위도
8) 명리학은 오행양음의 구조이다.
3. 지지의 음양과 오행 구조 -------------------- 123
1) 지지 체기준 음양과 오행구조
2) 지지 용기준 음양과 오행구조
3) 지지에서 중화오행 土의 짝도 중화오행이다.
4) 지지 순서에 따른 체(體)기준 土의 음양
5) 용(用)기준 土의 양음구분
6) 지지의 체용변화
7) 지지별 오행구조
8) 명리학의 새해는 인월(寅月)부터
9) 지장간
10) 子水는 陽인가? 陰인가?
11) 亥水는 새로운 시작입니다.
4. 간지의 기능
1) 명리학은 규칙성의 학문
2) 간지는 규칙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3) 규칙은 단순해야 한다.
4) 명리학은 기의 학문이다.
5. 천간의 특징 ----------------------------- 133
1) 문일지십(聞一知十)
2) 甲木과 乙木은 오행이 같은 짝입니다.
3) 甲木과 乙木은 음양이 다릅니다.
4) 음양이 달라도 오행간 상생법 상극법은 동일합니다.
5) 합화 오행이 다르다.
6) 양간은 재성을 합하고 음간은 관성을 합한다.
7) 왜 합화오행이 중요한가?
8) 납음오행은 동일하다.
6. 오행의 분류와 납음오행

6장 납음오행(納音五行) 음양오행 구조 ----------------- 137
1. 납음오행이란?
2. 납음오행(納音五行)은 부부간지오행이다.
3. 삼명학이란?
4. 납음오행 산출방법 -------------------------- 140
1) 납음오행수 기준 산출법
2) 대연수 기준 산출법
5. 납음오행의 사용의미와 사용법
6. 없는 오행과 근묘화실 궁운의 흐름에 활용
7. 납음오행과 궁합 -------------------------- 143
8. 납음오행과 12운
9. 납음오행의 문제점 및 사용여부
10. 납음오행 연구과제 --------------------- 145
1) 납음오행의 특징
2) 공존할 때 납음오행 작용력이 크다.
3) 궁합에서의 납음오행 작용
4) 납음오행(納音五行) 무용론에 대해서
11. 납음오행 연구
1) 팔자에 없는 오행을 끌어옴
2) 궁합을 볼 때 납음오행 적용
3) 사주팔자와 운에서 작용
12. 납음오행의 십성구분 --------------- 148
1) 오행이 동일한 천간이 짝이다.
2) 납음오행은 부부 간지오행이다.
3) 충이 되는 지지와 납음오행이 동일하다.
4) 납음오행의 십성특징
13, 오행의 분류(정오행, 화오행, 간지오행(납음오행)
14. 납음오행 오행분류표
15. 납음오행 활용법

7장 60갑자의 음양오행 구조 ---------------------------- 153
1. 60갑자의 음양만남
2. 60갑자의 간지 음양합
3. 60갑자표의 양음 만남구조
4. 오자원 60갑자 ----------- 156
5. 60갑자와 공망
6. 간지학의 60갑자 간지 음양구조
7. 60갑자 음양분석
8. 60갑자의 기능

8장 사주와 대운 작성법의 음양구조 --- 162
1. 사주란 무엇인가?
1) 연월일시의 의미
2) 시간 공간과 명리학
3) 간지학은 음양 명리학은 양음
4) 대음양 구분과 소음양 구분
2 사주작성의 음양배열
3. 둔월법 시두법도 음양이다.
4. 24절기(節氣)와 24초정(初正)의 음양구조 --- 167
1) 입춘기준과 4갑자 사주
2) 입춘을 새해의 시작으로 한 이유
3) 입춘과 간지의 음양변화
4) 24시초정(時初正)과 24절기(節氣)의 관계
5. 대운작성법 건명 곤명의 음양 ------------ 171
6. 순행 역행도 음양
7. 대운작성법의 참고사항 ------------- 175
1) 대운이 10년인 이유와 아홉수
2) 대운의 시작이 월주인 이유는?
3) 대운을 3으로 나누는 이유

9장 시간과 공간의 음양연구 --------------- 178
1. 시간과 공간도 음양이다.
2. 고정기운 변화기운과 시간 공간 관계
1) 연산도구는 오행
2) 연산방법은 생극제화
3) 만물은 공간속에 오행으로 존재한다.
4) 통근과 투출 그리고 공간의 관계
3. 시간은 음양이고 공간은 오행이다. ------------ 180
1) 천간의 순행은 양음법칙, 역행은 음양법칙
2) 역행은 남반구의 기 흐름이다.
3) 남십자성과 북극성 그리고 순행 역행의 음양
4) 순행은 음양변화시 음양과 오행이 변한다.
5) 역행은 양음변화시 양음과 오행이 변한다.
6) 운명은 고정기운을 사용한다.
7) 리듬 진동 파동 곡선 오행은 모두 기흐름을 의미한다.
4. 시간과 공간은 하나다.
5. 간지의 변화기운은 시간이다. ----------------- 186
6. 연월일시와 공간
7, 명리학의 시간과 공간
1) 시간(時間)의 작성
2) 공간(空間)의 작성
3) 시간과 공간의 만남
4) 사주를 통해 운명을 예측하는 학문이 명리학입니다.

10장 근묘화실(根苗花實) 공간운(空間運)의 음양연구 ------ 191
1. 시간과 공간의 중요성
2. 공간의 음양구분(궁의 음양구분)
1) 사주의 음양구분
2) 팔자 공간의 음양구분
3.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음양 ----------------- 194
1)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시간(時間)
2) 근묘화실(根苗花實)과 공간(空間)
3)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오행흐름 궁운(宮運)
4) 근묘화실은 시주가 결실이다.
4. 근묘화실에 따른 나이구분 ------------- 197
5. 실제 사주작성 및 음양구분
1) 사주 공간궁과 공간운의 흐름
2) 팔자의 공간궁 대입
6, 배우자궁의 중요성

11장 십성 음양오행 구조 ------------------- 201
1. 십성이란?
2. 십신 또는 십성 판단법
3. 십성의 오행 음양 구조
1) 오행십성
2) 십성의 음양구분
3) 오행십성을 음양으로 구분하면 십간십성이다.
4. 사길신 사흉신도 음양관계이다. ---------------- 206
1) 사길신의 음양구조
2) 사흉신의 음양구조
5. 십성과 육친의 개념
1) 십성별 해당 육친
2) 육친의 개념
6. 십성간 생극 법칙 음양의 구조 ----- 210
7. 60갑자 십성에서 음양의 차이
1) 음양이 같은 경우 특징
2) 음양이 다르다.
3) 60갑자의 음양차이
4) 십성별 특징 파악방법
8. 십성은 관계이다.
9. 명리학은 나를 위한 학문이다.
10. 십성과 십신도 음양이다.
11. 재관과 인식은 하나다. --- 214
1) 재관은 재생관으로 하나이다.
2) 인극식의 자녀교육과 ‘사랑의 매’
3) 사랑의 회초리 조건

12. 삼종지도에도 음양이 있다. ------------ 216
1) 음인 여자가 도움을 주는 방법
2) 여유사예(女有四譽) 덕용언공(德容言工)
3) 왜 씨를 중시했는가?
4) 남자는 남유사덕(男有四德) 신언서판(身言書判)
5) 음은 독립하는 존재이다.
13. 음(陰)과 어머니의 특징
14, 인성특징 인생아(印生我)의 이치 --- 221
1) 모유수유(母乳授乳)와 인생아(印生我)
2) 한석봉 이야기와 인생아(印生我)
3)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와 인생아(印生我)
15. 관성특징 천간노출과 여자팔자 뒤웅박팔자.
16. 재생관과 평강공주
17. 명리학은 융합학문으로 발전중이다.

12장 합충의 음양구조 -------------------- 224
1. 합충의 기능
2. 합충의 구조
3. 오합의 음양별 특징
4. 정신문화 잉태의 화오행 흐름
5. 화오행의 십성과 심리관계 -------------------- 227
1) 일음일양지위도 오행 규칙이 명리의 변화규칙이다.
2) 천간의 10개 지지가 12개
6. 지지 충의 음양구분
7. 천간의 충

13장 삼합 방합 육합 원진살 귀문관살의 음양구조 ----- 233
1. 삼합 방합 육합의 기능
2. 삼합도 음양구분
3. 삼합의 의미
4. 방합
1) 방합의 음양구분
2) 방합의 의미
5. 육합의 원리 ----- 235
1) 천문학적 관점의 육합
2) 음양합의 관점
3) 육합의 음양오행 구조
6. 궁합과 삼합의 관계
1) 왕지없는 반합도 삼합

14장 형(刑) 파(破) 해(害) 원진(元嗔) 귀문(鬼門) --- 239
1. 형(刑)의 개념(槪念)
1) 형(刑)은 사회통합을 거스르는 집단 이기주의
2) 조직과 조직의 갈등
2. 형(刑)의 작용
1) 형의 개념
2) 형은 중화를 벗어난 작용이다.
3) 형의 직업
4) 형은 형벌이다.
3, 형의 종류
1)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 무은지형(無恩之刑)
2)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刑) 지세지형(持勢之刑)
3) 자묘(子卯) 상형(相刑) 무례지형(無禮之刑)
4) 진오유해(辰午酉亥) 자형(自刑) 자형지형(自刑之刑)
4. 형(刑)의 음양(陰陽) 구조
1) 음양 분류기준
2) 음기(陰氣)의 형(刑)
3) 양기(陽氣)의 형(刑)
5. 파(破) -------------------- 245
1) 파의 개념
2) 파의 구조와 작용
3) 사혹십악(四惑十惡)과 파(破)
4) 파의 작용
6. 해(害)
1)해의 종류와 개념
2) 육합과 해의 관계
3) 해의 작용
7. 형파해 집단중시 특징
8. 삼합운동을 안하면
9. 정오행을 중시하는 명리학
10. 귀문관살
11. 원진살
1) 원진의 작용
2) 원진의 종류
12,신살에는 음양오행의 원리가 없다.

15장 십이운성의 음양오행 구조 -------- 253
1. 12운성의 음양오행 구조
1) 양간과 음간의 기흐름 차이
2) 양간 음간의 기흐름 십성차이
2, 12운성의 충관계
3. 12운성의 음양구조
1) 기 흐름의 음양구분
2) 운성 글자 숫자에 따른 음양구분
3) 음기 양기 12운성 배분과 음양
4. 12운성 오행별 기흐름
5, 12운성의 왕쇠강약 판단법 ---------- 260
6. 기의 세기와 생지 왕지 고지 관계
7. 12운성의 기능
8. 오행강약은 현재기준 음양 기흐름은 미래기준
9. 화토동법과 수토동법도 음양관계
1) 화토음양 화수음양의 구분
2) 양포태(陽胞胎)와 음포태(陰胞胎)도 음양구조
10, 오행 水와 土의 음양구분법
1) 수(水)는 하늘의 음(陰), 토(土)는 땅의 음(陰)
2) 화생토 상생과 수극화 상극 관계

16장 12신살의 음양오행 구조 -------- 269
1. 12신살이란?
1) 12신살의 종류
2) 12신살의 음양구분
3) 12신살의 화오행(化五行) 사용
2. 12신살 화오행별 음양구분
3. 화오행(化五行)별 음양오행 기 흐름 구조
1) 亥卯未 木의 음양구분
2) 寅午戌 火의 음양구분
3) 巳酉丑 金의 음양구분
4) 申子辰 水의 음양구분
4. 12신살의 상호 상충관계
5. 12신살 12운성과 삼재 관계 -------- 276
6. 12신살과 12운성의 음양관계
7. 12신살 12운성과 생왕고(生旺庫)의 관계
8. 12신살과 12운성의 기흐름 대입
9. 12신살과 십성관계
10. 12신살 土의 십성판단법
1) 亥卯未 木局과 토 십성
2) 寅午戌 火局과 토 십성
3) 巳酉丑 金局과 토 십성
4) 申子辰 水局과 토 십성

17장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와 화토동궁 음양오행 구조 ----- 284
1. 『적천수(滴天髓)』의 왕상휴수(旺相休囚)
2. 왕쇠를 보는 방법의 음양
3,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의미
4, 왕상휴수사와 십성관계
5. 왕상휴수사와 12운성의 차이점
1) 화토동궁과 수토동궁에 대한 이해
2) 수토동궁은 동지화합 화토동궁은 부부화합
3) 화토동궁 수토동궁도 음양관계이다.
6. 왕상휴수사의 음양구분 ----------- 290
7. 음(陰)인 생성론(生成論)이 양(陽)인 성장론(成長論) 보다 많다.
8. 왕상휴수사 오행별 음양구분
1) 목의 음양구분
2) 화의 음양구분
3) 토의 음양구분
4) 금이 음양구분
5) 수의 음양구분

18장 생극제화(生剋制化) 한난조습 음양오행 원리 ------ 293
1. 생극제화의 음양구조
2. 상생 상극 상조의 의미
3. 상생 상극과 십성의 음양관계
4. 한난조습은 지지의 생극제화
1) 한난조습도 결국은 음양 오행이다.

19장 왕쇠강약(旺衰强弱)의 음양구조 ------ 298
1. 기의 강약을 구분하는 방법
2. 왕쇠와 강약의 구분법
3. 왕쇠와 강약의 판단법
4. 체력과 체격과 왕쇠강약
5. 12운성과 왕상휴수사의 차이
6. 왕쇠강약의 음양구분
7. 왕쇠강약의 활용
8. 명리학은 왕쇠보다 강약이 우선한다.
9. 통근과 투출도 음양이다.
10. 강약의 구분법

20장 용신 격국의 음양오행 구조 ------ 302
1. 격국용신
2. 격국의 음양구분
3. 억부용신은 오행 조후용신은 음양
4. 억부용신과 격국용신의 차이점
5. 격국용신 월지 계절 음양구분
6. 용신의 진가 청탁 고저 유정무정 유력무력 음양구분
7. 신강 신약도 음양구조
8. 조화와 중화의 개념
1) 음양은 중화, 오행은 조화이다.
9. 억부가 조후보다 우선한다.

Ⅲ부 음양오행 변화론 발전론 ------------------- 307
21장 명리학도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한다. -------- 307
1. 세상 모든 만물은 변화한다.
2. 사주학에서 명리학으로 발전 이유
3. 현대 사회특징 - 삶의 공간 확장
4. 현대사회 특징- 공간 선택의 자유
5. 현대사회특징- AI와 4차산업혁명
6. 변화의 규칙인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의 필요성

22장 간지조합의 원리와지지 십성화 이론 연구 ------ 312
1. 60갑자의 음양구분
2, 공망이론
1) 공망의 원리
2) 공망의 작용
3. 60갑자지지 십성화 운동
1) 오자원(五子元) 육십갑자표(六十甲子表)
2) 지지 짝오행과 음양오행관계
3) 지지 오행 변화와 화토동법
4) 辰戌丑未 오행변화와 화토동법
5) 오자원 십성화 운동의 공통점과 차이점
6) 지지 십성화 이론의 활용
4. 오자원지지 십성화 운동 ---------------- 319
1) 기문둔갑(奇門遁甲)의 오자원법(五子元法)
2) 오자원 오행분류
5. 지지 십성화의 분류
1) 목오행의 오자원 갑자 인성화운동
2) 火오행 오자원 60갑자표 관성화 운동
3) 土오행 오자원 60갑자 재성화 운동
4) 金오행 오자원 60갑자 식상화 운동
5) 水오행 오자원 60갑자 비겁화운동
6) 토는 주변상황의 운동성을 잘 보고 판단해라
6. 오인원 십성화표의 특징
1) 해자축에서 인목으로 기의 교체주기의 특징
2) 해수는 기존 기운의 연장이다.
3) 자수는 새날의 시작기운이다.
4) 축토는 자극의 변화이다.
5) 오자원 십성화표와 오인원 십성화표는 다르다.

23장 시주대운 연구와 사주팔자 프랙탈(fractal) 구조 ------ 332
1. 시주대운이란?
2. 자연의 기운에는 순역(順逆)의 이치가 있다.
3. 시간운 공간운의 연구
4. 대운의 음양구조 -------- 333
1) 시주대운의 대운수 작성법
2) 월주대운수 작성법을 따르는 것이 타당한가?
3) 시주대운 작성법
4) 시주대운의 작성법 연습
5. 년주의 변화연구
6, 일주의 변화연구
7. 사주팔자의 프랙탈(fractal) 구조

24장 명리학 이론과 신살 관계 연구 ------ 340
1. 신살은 음양오행 생극제화 이론이 아니다.
2. 정오행(正五行)을 화오행(化五行)보다 중시
3. 명리학은 천간이론이 우선한다.
4. 신살은 지지 중심 이론이다.
5. 명리학은 개인중심 사주학은 집단중심이다.
6. 명리학 이론 대입방법
7. 명리학은 생극제화만 쓰는 것이 아니다.
8. 신살과 용신의 관계
9. 환경명리학의 개념
10. 과거제도 시행과 자평명리학의 발달배경
11. 삼합을 중시하는 고대사회

25장 명리학의 3대 고전 안내와 명리학 공부방법 ----- 347
1. 명리학 공부방법
2. 고전의 중요성
1) 궁통보감(窮通寶鑑)의 의미
2) 사주학과 명리학
3) 적천수와 음양오행
3. 학술의 음양구분과 의미
4. 자평명리학의 이치와 의미
1) 내가 생각하는 자평의 의미
5, 『적천수(滴天髓)』에 대해서
1) 『적천수(滴天髓)』의 역사
2) 적천수(滴天髓)의 의미
3)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의 구성내용
6, 적천수 천미의 왕쇠강약에 대해서 --------- 355
1) 왕쇠강약이란?
2) 왕쇠는 격국과 연결된다.
3) 강약은 억부용신과 연결이다.
4) 적천수천미의 왕쇠강약에 대해서

26장 명리학이란? 명리학의 특징 -------- 358
1. 명리학은 음양오행학이다.
2. 명리학은 미신(迷信) 아닌 자연철학이다.
3. 중화의 학문
4. 명리학은 오행양음의 학문이다 ----------- 361
5. 생성의 음양오행과 성장의 오행양음 순환법칙
6. ‘뫼비우스의 띠’ 음양오행과 오행양음 관계
7. 명리학은 오행을 우선합니다.
8. 체용의 학문
9. 시간과 공간의 학문
10. 명리학은 규칙성을 통한 운명예측학이다.
11. 명리학 연산의 도구는 오행
12. 명리학 연산방법은 음양오행 생극제화
13. 생극제화(生剋制化)와 왕쇠강약(旺衰强弱) ------ 366
14. 처세술의 학문
15. 인격수양의 학문
16. 명리학은 기의 학문이다.
17, 운명학(運命學)이라고 하는 이유
18. 고수의 조건
19. 상격사주와 사회적 지위 관계
20. 운명 판단법의 종류
21. 명리학의 연산도구로 음양이 아닌 오행을 선택할까?
22. 세상이치는 돌고돈다. --------------------------- 371
23. 사주학(四柱學)은 사주(使嗾)하는 학문
24. 명리학(命理學)은 명리(名利) 추구 학문
25. 생년월일시는 우주자연의 기운이고 자전과 공전의 기운이다.
26. 명리학자 길과 도사의 길
1) 명리학자의 학문 연구 방향
2) 도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3) 명리학자는 점을 치지 않습니다.
27. 명리학자의 학문 연구방법
1) 인성과 식상의 연구방법 차이
2) 확증편향(確證偏向)의 오류 주의

참고문헌 --- 377
책 출판을 마치며 --- 379
종이책 구입안내 ------- 379
명현소개 --- 380
판권지 --- 381

27. 명리학자의 학문 연구방법

1) 인성과 식상의 연구방법 차이
명리학자가 운명을 연구하는 방법에는 인성형과 식상형 2가지로 구분됩니다. 인성과 식상은 모두 학문하는 십성입니다. 인성형 학자는 고전 연구에 비중을 둡니다. 과거 기록된 사실적 증거를 바탕으로 연구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식상형 학자는 이치적 타당성에 비중을 두고 연구합니다. 과거에 어떤 기록이 남겨졌는지보다 왜 그러한 이론이 나오게 되었는지, 그 배경은 무엇인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그 이론이 현재 부합이 되는 이론인지를 연구합니다. 그리고 이론에 문제점을 보완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즉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을 살려 모든 것은 변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현실에 부합되는 새로운 이론 만드는 것을 선호합니다.

명리학과 운명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인성형 학자와 식상형 학자가 서로 보완하면서 함께 나아가야 합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따지기 보다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해야 합니다. 왜냐면 인성형 학자를 통해서는 고전에 담겨진 사실적 내용을 확인할수 있어 좋고, 식상형 학자를 통해서는 새로운 창의인 접근과 연구에 대한 영감을 얻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 인성과 식상은 서로 협조하면서 함께 가야 합니다.

2) 확증편향(確證偏向) 의 오류 주의
명리학자에게 있어서 확증편향의 오류란 자기가 실제 임상경험을 하고 눈으로 확인한 내용, 그리고 연구한 내용에 대해 절대적인 믿음과 신뢰, 확신을 갖는 것으로 음양오행의 이치 여부는 무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신살이나 12운성, 12신살등의 이론 대입에서 자신의 임상경험에 대한 강한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연구하는 학문에 대한 확고한 믿음에 빠져 다른 학문에 대해서 거부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스스로 진행한 임상에서 맞는 결과가 도출되고, 자신의 연구해서 논문을 쓴 부분에 대한 확신을 갖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명리학자는 본인이 직접 임상하고 눈으로 확인된 내용이라도 그리고 연구한 내용일지라도 그 내용의 이면에 음양오행의 이치가 부합되고 있는지 여부를 항상 의심하면서 연구하고 확인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명리학자는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이치가 아니라면 설령 임상에서 맞는 결과가 나오고 눈으로 보고 확인된 연구결과라도 그 이론에 대해서 명리학의 학문적 이론으로 수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운명(運命)의 매커니즘(mechanism) 운명의 시스템(system)이 작동하는 과정과 기본원리
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이치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이치는 동양철학의 핵심 사상이자 명리학의 학문적 바탕이 됩니다. 본 연구서는 28년간 명리학과 음양오행 그리고 인간의 운명에 대해 연구해온 저자의 두 번째 결과물입니다. 첫 번째 결과물은 2022년에 출판한 『성공과 개운을 위한 명리학 환경명리학 입문』으로 운명판단에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에서는 운명 작동원리에서 신살 및 다른 이론보다 음양오행 생극제화의 이치가 가장 우선함을 강조합니다.

음양과 오행은 환경에 의해서 변화 발전합니다. 『환경 명리학』에서는 운명을 해석할 때 자신과 외부의 모든 환경 관계를 참고해서 길흉을 판단합니다. 자연과의 관계(풍수), 사람과 관계(궁합), 소리관계(성명학), 신체적 특징(관상), 신(神)과의 관계(종교, 기도, 수련등) 그리고 우주 자연의 기운(氣運)과 관계(사주학, 명리학)등 다양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운명체계의 상호관계 요소를 종합해서 길흉을 판단하는 학문이 『환경 명리학』 입니다.

『환경 명리학』은 음양오행의 모든 관계를 생극제화 이치로 안내합니다. 생극제화는 모든 관계와 상황을 설명하는 핵심 이론입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 사회는 관계 속에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사회적 모든 관계를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관계로 보고 음양오행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따라 종합해서 길흉을 해석하는 것입니다.

인물정보

저자(글) 문승현

● 명현(明賢) 문승현 소개
공간 명리학자(거시 명리학자)
명리학의 생명철학 및 생명사상 연구가
음양오행 철학자
명리학 작가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동양문화학과 석사(명리와 풍수 전공)
한양동양문화연구원 부원장
2025년 경기대학교 동양문화학과 박사과정 재학중(명리 전공)
건국대학교 미래지식교육원 사주명리학 외래교수(2025년~)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주명리학 외래교수(2023년~)
2022년 『환경명리학 입문』 통해 시주대운 세계최초 연구내용 공개
2024년 『九星 환경명리학』 통해 공간대운 세계최초 연구내용 공개
2025년 『生命哲學 환경명리학』 통해 명리학의 생명사상 세계최초 연구내용 공개
2025년 『공간명리학 연구서』 통해 거시명리학의 국운연구 세계최초 공개
명현 제주철학관 제주작명원 원장(064-743-9360)

1966년 제주출생
1997년 명리학입문
2006년 현공풍수 입문
2017년 요가명상 입문
2019년 원광디지털대 동양학과 졸업 (명리와 풍수 전공)
2022년 원광디지털대 요가명상학과 졸업
2024년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동양문화학과 석사 졸업

●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납본서적 및 학술 연구 활동
2022년 『성공과 개운을 위한 명리학 환경명리학 입문』 저술 및 납본
2024년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 저술 및 납본
2024년 『시간과 공간 융합연구서 九星 환경명리학』 저술 및 납본
2025년 『天命과 天理의 학문 命理學 生命哲學 환경명리학』 저술 및 납본
2025년 『국운과 세계정세 흐름 예측, 공간명리학 연구서』 저술 및 납본
2024년 12월 『제43회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생명사상과 제생의세』에서 「명리학 이론의 생명사상과 제생의세 연구」 논문발표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