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화엄경청량소 24: 제7 재회보광명전법회(2)

청량징관 지음 | 석반산 옮김
담앤북스

2025년 09월 30일 출간

국내도서 : 2020년 04월 0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22.96MB)   |  439 쪽
ISBN 9791162019368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21,000원

쿠폰적용가 18,9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시리즈 전체 40
화엄경청량소 제40권
21,000
화엄경청량소 제39권
21,000
화엄경청량소 제38권
21,000
화엄경청량소 제37권
21,000
화엄경청량소 제36권
21,000
화엄경청량소 35: 부록 찾아보기
21,000
화엄경청량소 34: 제9 서다원림법회(6)
21,000
화엄경청량소 33: 제9 서다원림법회(5)
21,000
화엄경청량소 32: 제9 서다원림법회(4)
21,000
화엄경청량소 31: 제9 서다원림법회(3)
21,000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반산 스님의 『화엄경청량소』는 『화엄경』을 중국의 청량 국사가 해석하고 주석을 단 것으로, 자세한 해설과 방대한 분량으로 화엄경의 진면목을 고스란히 드러내 보인 경전이다. 금번 출간된 반산 스님의 『화엄경청량소』는 봉은사 소장 목판 80권 화엄경소초회본을 원본으로 삼아 직접 원문을 입력하고 소()와 초()를 번역하였으며 더불어 스님의 견해를 덧붙였다. 스님은 직역(直譯)을 원칙으로 하여 원본의 진면목을 그대로 보여 주고자 노력하였다. 스님은 지난 20여 년 동안 번역 불사에 전념하여 7처 9회 39품의 모든 번역을 마쳤으며 금번 제7회 재회보광명전법회와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 총 6권을 출간하였다. 마지막 법회인 서다원림법회 총 6권은 올가을에 출간하여 완간을 마칠 예정이다.

봉은사 소장 목판본은 원래 조선 숙종 15년(1689)에 임자도에서 발견했던 성총 스님이 판각 불사를 통하여 유통시킨 징광사(澄光寺) 판본이 그 원본이었다. 그러나 1770년에 화재로 소실되었고, 영조 50년(1774)에 설파상언(雪坡尙彦)이 판각한 영각사 판본이 유통되었는데 이 판본도 역시 1950년의 전란으로 없어졌지만 그 경본만은 남아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철종대(1855-1856)에 영기(永奇) 스님이 각인(刻印)한 봉은사판이 현존하게 되었다. 이 봉은사판은 영각사판을 복각(復刻)한 것으로 중간에 45장을 보충하였다 한다. 이것이 그동안 강원 대교과(大敎科)의 교재로 쓰여 왔던 유일한 현존판이 되는 것이다.(海住스님 저『화엄의 세계』 참조)
제1과. 총합하여 명칭과 의미를 밝히다[總敍名意]
제2과. 공경히 귀의하고 가피를 청하다[歸敬請加]
제3과. 가름을 열고 경문을 해석하다[開章釋文]
제1분. 佛果를 거론하며 즐거움을 권하여 신심을 일으키는 부분
[擧果勸樂生信分]
제1과. 교기인연분(敎起因緣分) (제1. 세주묘엄품)
제2과. 설법의식분(說法儀式分) 제2. 여래현상품, 제3. 보현삼매품
제3과. 정진소설분(正陳所說分) 제4. 세계성취품, 제5. 화장세계품,
제6. 비로자나품
제2분. 인행을 닦아 불과에 계합하는 견해를 내는 부분
[修因契果生解分]
(제2회 제7. 여래명호품 - 제7회 제37. 여래출현품)
제3분. 법문에 의지해 수행으로 이루다[托法進修成行分]
(제38. 이세간품)
제4분. 선재동자가 증입하여 성불하다[依人證入成德分]
(제39. 입법계품)
제4과. 공경히 찬탄하고 회향하다 [謙讚廻向]

大方廣佛華嚴經疏 제44권의 ② 李字卷中
제29 十忍品 ①

제29. 열 가지 법인을 말하는 품[十忍品] ①
다. 생사 없는 지혜의 인에 云,
“무슨 까닭인가 나지 않으면 사라짐이 없고, 사라짐이 없으면 다함이 없고, 다함이 없으면 때를 여의고, 때를 여의면 차별이 없고, 차별이 없으면 처소가 없고, 처소가 없으면 고요하고, 고요하면 탐욕을 여의고, 탐욕을 여의면 지을 것이 없고, 지을 것이 없으면 소원이 없고, 소원이 없으면 머물 것이 없고, 머물 것이 없으면 가고 옴이 없나니,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셋째 생사 없는 지혜의 인이라 하느니라.”

이 인이 가장 높아서 此忍最爲上이라
모든 법 다함이 없고 了法無有盡하여
참 법계에 들어가지만 入於眞法界하되
실제로는 들어갈 것도 없어 實亦無所入이로다
보살들 이 인에 머물면 菩薩住此忍에
여러 부처님 두루 뵈오며 普見諸如來가
같은 때에 수기 받나니 同時與授記니
이것을 부처님 직책 받는다고. 斯名受佛職이로다

大方廣佛華嚴經疏 제44권의 ③ 李字卷下
제29 十忍品 ②

바. 꿈 같은 인의 게송에 云,
“불자여, 이 보살 마하살이 일체 세간이 꿈과 같음을 아나니, 마치 꿈은 세간도 아니고 세간을 여읨도 아니며, 욕심 세계도 아니고 형상 세계도 아니고 무형 세계도 아니며, 나는 것도 아니고 없어지는 것도 아니며, 물든 것도 아니고 깨끗한 것도 아니지마는 나타내어 보임이 있느니라.”

세상이 고요한 줄 알지만 了世皆空寂이나
세상 법을 헐지도 않아 不壞於世法이
마치 꿈속에 보는 것 譬如夢所見
길기도 짧기도 하나니 長短等諸色이니
이것은 꿈과 같은 인이라 是名如夢忍이라
이렇게 세상 법 알면 因此了世法하면
걸림 없는 지혜 이루어 疾成無智하야
중생을 널리 건지리. 廣度諸群生이로다

大方廣佛華嚴經疏 제45권의 ① 柰字卷上
제30 阿僧祗品

제30. 아승지의 공덕을 말하는 품[阿僧祗品]
一) 아승지품은 헤아릴 수 없는 뛰어난 공덕이니 云,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아승지라 하오며, 내지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다 하시나이까”
부처님이 심왕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좋고 좋다. 착한 남자여, 그대가 지금 여러 세간 사람들로 하여금 부처님이 아는 수량의 뜻을 알게 하기 위하여 여래·응공·정등각에게 묻는구나. …”

말할 수 없는 온갖 부처 세계를 不可言說諸佛刹을
모두 다 부수어서 티끌 만들어 皆悉碎末爲微塵이어든
한 티끌에 있는 세계 말할 수 없으니 一塵中刹不可說이니
하나처럼 온갖 티끌 다 그러하니 如一一切皆如是로다
말로 할 수가 없는 여러 겁 동안 不可言說一切劫에
말할 수 없는 공덕 찬탄할 적에 讚不可說諸功德하되
말할 수 없는 겁은 다할지언정 不可說劫猶可盡이어니와
말할 수 없는 덕은 다할 수 없네. 不可說德不可盡이로다

大方廣佛華嚴經疏 제45권의 ② 柰字卷中
제31 如來壽量品

제31. 영원한 수명 가진 여래의 공덕[如來壽量品]
二) 온갖 시간에 두루 존재하는 불덕[盡一切時]이니 경문에 云,
“그때 심왕보살마하살이 대중 가운데서 여러 보살에게 말하였다. ‘불자여, 석가모니가 계시는 사바세계의 한 겁이 아미타불이 계시는 극락세계에서는 낮 하루, 밤 하루요 극락세계의 한 겁은 금강견불이 계시는 가사당 세계의 낮 하루, 밤 하루요 가사당 세계의 한 겁은 선승광명연화개부불이 계시는 불퇴전음성륜 세계의 낮 하루, 밤 하루요 … 불자여, 이렇게 차례차례로 백만 아승지 세계를 지나가서 최후 세계의 한 겁은 현승불(賢勝佛)이 계시는 승련화(勝蓮華) 세계의 낮 하루, 밤 하루인데 보현보살과 함께 수행하는 큰 보살들이 그 가운데 가득하였느니라.’ ”

大方廣佛華嚴經疏 제45권의 ③ 柰字卷下
제32 諸菩薩住處品

제32. 보살이 머무는 곳을 말하는 품[諸菩薩住處品]
三) 불보살은 온갖 곳에 두루하다는 뜻이니 經云,
“동북방에 청량산이 있으니 옛적부터 보살들이 거기 있었으며, 지금은 문수사리보살이 그의 권속 1만 보살과 함께 그 가운데 있으면서 법을 연설하느니라. 바다 가운데 금강산이 있으니 옛적부터 보살이 거기 있었으며 지금은 법기(法起)보살이 그의 권속 1천 2백 보살과 함께 그 가운데 있으면서 법을 연설하느니라. …
비사리 남쪽에 한 처소가 있으니 이름이 잘 머무는 근본인데 옛적부터 보살들이 거기 있느니라. 마도라성에 한 처소가 있으니 이름이 만족굴인데 옛적부터 보살들이 그 가운데 있느니라. … 암부리마국에 한 처소가 있으니 이름이 억장광명을 봄인데 옛적부터 보살들이 거기 있었느니라. 건타라국에 한 처소가 있으니 이름이 점파라굴(婆羅窟)인데 옛적부터 보살들이 거기 있었느니라.”

인물정보

저자(글) 청량징관

청량국사는 중국의 성당(盛唐) 시절 화엄종을 발전시킨 대종장으로 본래 회계(會稽) 사람으로 성은 하후씨(夏候氏)요 자는 대휴(大休)이며 청량은 덕종이 내린 법호이다.
7세에 출가하여 우두혜충(牛頭惠忠, 683-769), 경산도흠(徑山道欽, 714-792)에 의지해 선을 깨닫고 현수법장(賢首法藏, 643-712)으로부터 화엄의 법을 이었다. 770년경 오대산(五臺山) 대화엄사(大華嚴寺)에서 『화엄경소』 저술을 결심하고 다시 세간의 학문을 배워 육예(六藝), 도사(圖史)와 구류이학(九流異學)과 축경범자(竺經梵字)와 사위오명(四圍五明)에 이르기까지 널리 열람하더니 건중(建中) 4년(783)에 집필에 들어가기 앞서 서응(瑞應)을 구하니 어느 날 꿈에 부처님 얼굴이 산마루에 비치어 그 광명이 천지에 온화하였다. 국사가 손으로 받들어 입으로 삼켰는데 이로부터 한 번 붓을 내림에 막힘없이 4년 만에 『화엄경소』 60권을 완성하였다. 이어서 후학을 위하여 『수소연의초(隨演義)』 40권을 지었다고 한다.(緣起 참조)

번역 석반산

통도사로 출가하여 고원명정(古園明正) 화상을 은사로 득도
해인사 강원 졸업(1984)
천은사, 불국사, 대승사, 극락암 선원 등 6하안거 성만
중앙승가대학, 조계종립 은해사승가대학원 1기 졸업(1999)
쌍계사, 통도사, 해인사 강사 역임
봉선사 능엄학림 학감, 조계종 행자교육원 교수사 역임
봉선사 조실 월운강백에게 전강(2002)
쌍계사승가대학 강주 역임
현재 경남 양산 원각사 주지

번역 및 편저서
『화엄경청량소』 제1권 세주묘엄품, 『화엄경청량소』 제7, 8, 9권 십지품,
『재미있는 금강경 강의』,『재미있는 화엄경』,『재미있는 법화경』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화엄경청량소 시리즈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화엄경청량소 시리즈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화엄경청량소 24: 제7 재회보광명전법회(2)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