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2026 대한민국 대전망

케이북스

2025년 10월 30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9월 30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11.24MB)   |  약 19.2만 자
ISBN 9791198931177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소득공제 정가제Free
대여

판매가 12,000

14% 할인 | 열람기간 : 30일
소장
정가 : 14,000원

쿠폰적용가 12,6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대변혁시대 대한민국 리빌딩"이 2026 대한민국 대전망』의 주제다. 과학기술, 경제산업, 사회정치, 환경건설, 문화예술, 외교통상 분야 대표 지식인 36명이 집단지성으로 2026년을 전망한 종합 교과서다. 한국 지속가능발전 5개 지지대인 ‘과학 혁신력’, ‘경제 활력’, ‘사회 균형력’, ‘환경 복원력’, ‘문화 포용력’으로 분석·전망했다. 총 8편 37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편는 4~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디터 노트」에서는 국내외 핫이슈와 대한민국 지속가능발전 5대 지지대인 과학 혁신력, 경제 활력, 사회 균형력, 환경 복원력, 문화 포용력를 총괄 진단했으며, 「1편. 대한민국 조망」에서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분야를 대표하는 석학들이 거시적으로 중민(中民), 선(先) 개혁, 지방자치, 정교분리 이슈를 조망했다. 「2편. 외교와 통상: 해양국 그리고 대륙국」에서는 대북 실용과 원칙, 인·태 지역의 전략적 환경, 남북 ‘작은 시작’, CPTPP, EU 재생에너지, 러시아 동북아 경제권에 대한 전망과 인사이트를 담고 있다.
「3편. 과학 혁신력: 산업안보와 기술주권」에서는 국가 전략적 안보, 기술주권 전략, 핵심광물 리스크, 중국식 피지컬 AI, 신에너지 안보에 대하여 전망했다. 「4편. 경제 활력: AI 대전환, 혁신과 감원」에서는 산업 대도약 전략, AI 발 대량 감원, AI 기반 재택 의료, AI 조직 혁신에 대하여 전망한다. 「5편. 건설 인프라: 글로벌화와 정상화」에서는 엔지니어링의 글로벌화, 건설산업의 탈현장, 친시장적 주택정책과 주거권과 주택정책에 대해 전망한다.
「6편. 사회 균형력: “포커스 2030”의 빛과 빚」에서는 지속가능발전에서 최대 현안인 청년 문제를 집중 다루었다. 20대 담론으로 “인정과 존중”, 청년 채무 위기 현장, 국민연금의 형평성, 세대 갈등 그리고 지역소멸에 대한 이슈와 전망을 담고 있다. 「7편. 환경 복원력: 그린과 AI」에서는 K-AI시티, AI 모빌리티 혁신, 정원 도시, 멸종위기종에 대하여 전망한다. 「8편. 문화 포용력: 신한류와 문화의 힘」에서는 신한류, 관광과 문화예술 트렌드, AI 영화 속 미래 사회와 센티언스를 전망한다.
중간중간에 「이슈 브리핑」는 37개 장에서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독자들께서 알면 좋겠다고 생각한 12개 주제를 짤막한(2쪽 내외) “에디터 리포트” 형식으로 전망한 것이다.
“대한민국 리빌딩”, “대한민국 리빌딩”은 “대한민국 리모델링”과는 다르다. 리빌딩은 같은 대지에 다시 세우는 것이다. 기초도 다시 팔 수 있고, 새로운 건물도 될 수도 있고, 대수선 수준으로 할 수도 있다. 그 설계는 국민들이 하는 것이다. 광복 80년 주년을 보내면서, 뒤를 돌아보고, 대변혁 시대의 초입인 2026년을 묵상하며, 격랑의 바다에서 항해 중인 대한민국호는 선방(善防)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풍요로운 대한민국으로 지속가능발전할 것으로 고대한다.
서문

01. 에디터 노트
2026년 지속가능발전 5대 지지대: 대혁신과 균형력 그리고 인정과 온정
이영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명예교수, 지속가능과학회 이사장

Ⅰ. 대한민국 조망

02. 진영대립을 거부한 중민(中民)은 오늘날 어디에 있나?
한상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03. 빚으로 숨 쉬는 경제, ‘선(先) 구조개혁’으로 경쟁력 강화
이필상 (전)고려대학교 총장
04. 2026년 국민통합과 지방분권 전망
김영래 (전)동덕여자대학교 총장
05. 교회의 정치참여와 정교분리
양명수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명예교수

이슈 브리핑 1. 소프트파워 강국 하드파워 강국, 세계 선도 대한민국
2. 세계 최상위 도시로 진화 중인 서울

Ⅱ. 외교와 통상: 해양국 그리고 대륙국

06. 트럼프 시대, 대한민국 외교 안보의 ‘실용과 원칙’ 스마트 생존 전략
남성욱 숙명여자대학교 석좌교수
07. 트럼프 2기 인도·태평양 전략 환경의 복합적 압력과 한국
최윤정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08. 2026년 남북경제협력의 재구상: 제재와 불신 속에 ‘작은 시작’
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09. 2026년 한일관계의 쟁점 및 전망
조양현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장
10. 트럼프 2기 한-EU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안병억 대구대학교 국방군사학과 교수
11. 러시아의 동북아 경제권 협력 강화와 한국의 대응
박지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전문위원

이슈 브리핑 3. 북한 인식과 통일 여론이 바뀌고 있다, 할 수 있는 것부터

Ⅲ. 과학 혁신력: 산업안보와 기술주권

12. ‘국가 전략적 산업안보’ 재설계 원년, 2026년
박찬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원장
13. 기술추격을 넘어서 기술주권으로, 국가혁신체계의 대전환
최병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성장실 선임연구위원
14. 2026년 핵심광물 리스크와 대응 전략
오수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 연구위원
15. 중국식 피지컬 AI(具身智能) 전략과 K-제조의 길
조은교 산업연구원 중국연구팀장
16. 신 에너지안보 시대, 지속가능발전의 길
이성규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에너지동향분석실장

이슈 브리핑 4. 모바일 앱 안보와 데이터 주권
5. 급성장 중국 유통 플랫폼의 안보 이슈화
6. 중국의 스파이 활동과 국가 안보


Ⅸ. 경제 활력: AI 대전환, 혁신과 감원

17. 글로벌 산업 대전환기, 대한민국 산업 대도약 전략
김천곤 산업연구원 연구부원장
18. 2026년 AI 발 대량 감원, ‘실업 대재앙 전조’냐 ‘새로운 번영 출발점’이냐
문형남 숙명여자대학교 한류국제대학 학장
19. AIㆍ디지털을 활용한 지역 및 재택의료
강건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 인간과 AI이 만드는 새로운 조직 혁신
김유현 InScience(Partner of Pawlik) 부대표

이슈 브리핑 7. AI 세계 8위, 인적자본 혁신으로 ‘AI 3대 강국’
8. 18대 미래 고도성장 산업 “ARENAS”
9. 한미 조선업 협력과 지속가능성

Ⅴ. 건설 인프라: 글로벌화와 정상화

21.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를 글로벌 엔지니어링으로
이재완 세광종합기술단 회장·엔지니어링공제 이사장
22. 2026년 건설산업 투자 확대, 안전 및 탈현장시공(OSC)
이상호 유창E&C 부회장
23. 집값 잡는 주택정책의 결말은 풍선효과? 버블붕괴?
차학봉 땅집고 미디어본부장
24. 자가보유율 60%를 70%로 높여 중산층 복원
이영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명예교수, (전)주택도시대학원장

Ⅵ. 사회 균형력: “포커스 2030”의 빛과 빚

25. 한국 사회 20대 담론, ‘인정과 존중’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26. 2030 영끌과 빚투 현장, 국가 차원의 채무 위기 해법
박기태 법무법인 한중 변호사
27. 국민연금 참 구조개혁으로 세대 간 형평성을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 연구위원
28. 2026년 세대 갈등 휴화산, 실효적 사회 통합정책 시급
이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사회학)·8대 여성가족부 장관
29. 지역 인구 감소 30년, 청년층이 선호하는 직주교(職住校)로 저출산 탈출
장인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이슈 브리핑 10. 중도적 이념 성향이 정치 회복력의 근간
11. 고령화 인구감소 시대, ‘건강한 노화’ 정책으로 GDP 0.6% Up

Ⅶ. 환경 복원력: 그린과 AI

30. AI 대전환기, 혁신과 포용의 “K-AI시티”
김현수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31. AI 모빌리티 혁신, 융합기술과 국가시범도시
김태형 한국교통연구원 모빌리티융합기술본부 본부장
32. “녹색 열풍”, 기후위기 시대 돌봄과 회복의 정원 도시
김선미 동아일보 콘텐츠기획본부 기자
33. 멸종위기종의 소도(蘇塗) 국립공원의 SOS
김경순 국립공원공단 상임감사

이슈 브리핑 12. 생명이 빛나는 미래 사회, 목조건축과 함께

Ⅷ. 문화 포용력: 신한류와 문화의 힘

34. 한류의 새로운 물결: 문화적 원천성과 창작의 주도권 확보
이용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류경제연구센터장
35. 2026년 큰 환경변화와 핵심 관광 트렌드 전망
이원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연구본부장
36. 문화예술 10대 트렌드 분석 및 전망
노수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
37. 영화에 나타난 AI 시대, 센티언스가 문제인가?
김소임 건국대학교 영어문화학과 교수

“광복 80주년 NEXT STEPS, 대한민국호는 새로운 시험대에 서다”가 『2025년 대한민국 대전망』의 주제였다. 2024년 11월 트럼프 후보 당선과 12월에 위헌 비상계엄 선포로, 극도의 불안과 불확실성 속에서 2025년 새해를 맞이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거리에는 공실이 즐비하고 이어 AI 대혁명이 본격적으로 몸체를 드러내기 시작하면서 미래 사회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그야말로 대변혁(The Great Transformation)의 시대다. “대변혁 시대 대한민국 리빌딩”이 『2026년 대한민국 대전망』의 주제다. “새로운 시험대에 선 대한민국은 대변혁 시대에 곧바로 구조를 대수선하고 칸막이를 터서 재도약한다”는 뜻을 담았다.
첫째, 『2026 대한민국 대전망』은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분야가 역동적으로 선순환적 발전해야 한다는 취지에 따라서 과학, 경제, 사회, 환경, 문화 등 전 분야를 포괄하여 전망했다. 머니, 부동산, 산업, 경제 등 한 분야에 대한 전망서 들과는 차별성이 있다.
둘째, 국내 최고의 필진 36인이 집단지성으로 참여했다. 석학, 저명 교수, 오피니언 리더, 국책 연구기관 최고 권위자 등이 길게는 1년간 소명의식으로 ‘바로 보고(正見)’, ‘바로 생각하고(正論)’, ‘바로 쓰고(正筆)’의 결실이다.
셋째, 이 책은 Vol.6이다. 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이영한 집필위원장(서울과학기술대 건축학부 명예교수, 지속가능과학회 이사장)을 중심으로 대표 지식인들이 집단 지성으로 녹여낸『전환기 한국, 지속가능발전 종합전략』(2015), 『포스트 코로나 대한민국』(2020), 『2023 대한민국 대전망』(2022), 『2024 대한민국 대전망』(2023), 『2025 대한민국 대전망』(2024) 이어 새로운 각오로 Vol 6. 『2026 대한민국 대전망』‘대변혁시대 대한민국 대전망’을 내놓는다.
『2026 대한민국 대전망』이 대변혁기에 작은 등불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물정보

저자(글) 이영한

(Lee Younghan, 李榮漢)에디터·대표 저자
서울과학기술대 건축학부 명예교수, 케이북스 대표이사, 우리도시건축사사무소 대표, 산업경영환경연구원 연구소 소장, 지속가능과학회 회장. (전)EBS 사외이사, 서비스산업총연합회 초대 운영위원장. 저서 『전환기 한국 지속가능발전 종합전략』, 『포스트코로나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전망』 시리즈, 『주거론』, 『주택디자인』, 『공동주택디자인』 집필위원장·대표 저자. 대한민국 국민포장 수상. 서울대 공학사·공학석사·공학박사(건축학과), 한국방송통신대 문학사(중어중문학과, 일본어학과).

저자(글) 한상진

(Han Sang Jin, 韓相震)서울대학교 명예교수(사회학), 중민재단 이사장, 중국 남경대 〈유학과 새로운 사회학〉 연구소장. (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김대중 대통령 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저서 『중민이론의 탐색』, 『하버마스와의 대화』, Asian Tradition and Cosmopolitan Politics, Beyond Risk Society, Confucianism and Reflexive Modernity.

저자(글) 이필상

(Lee, Phil Sang 李弼商)
고려대 경영대학 명예교수. (전)고려대 총장·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미국 컬럼비아대·하와이대·뉴욕시립대 초빙교수·경제정의실천연합 경제정의연구소 소장·국세청 국세행정개혁위원회 위원장·유한재단 이사장. 저서 『금융경제학』, 『재무론』, 『투자론』, 『정치가 망친 경제, 경제로 살릴 나라』.

저자(글) 김영래

(Kim Young Rae, 金永來)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내나라연구소 이사장, 세계정치연구원 이사장. 시민운동정보센터 이사장. (전)동덕여대 총장·한국정치학회 회장·한국NGO학회 회장·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상임대표·경실련 조직위원회 위원장. 저서 『제4의 물결과 한국정치의 과제』, 『한국정치,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이익집단과 민주정치발전』, Rethinking Korean Politics: Lost Paradigm and New Vision.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 연세대 정치외교학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정치학석사, 연세대 정치학박사.

저자(글) 양명수

(Yang Myung Su, 梁明洙)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명예교수. 교토대, 제네바대, 로잔느대 등에서 동서양 사상 강연. 저서 『아무도 내게 명령할 수 없다: 마르틴 루터의 정치사상과 근대』 , 『퇴계 사상의 신학적 이해』, 『성명에서 생명으로: 서구의 기독교적 인문주의와 동아시아의 자연주의적 인문주의』. 이화학술상 수상, 미국 기독교윤리학회(SCE)의 Global Scholar 선정. 서울대 법과대학 학사, 감리교신학대 대학원 석사,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 신학박사.

저자(글) 남성욱

(Nam Sung wook, 南成旭)
숙명여대 석좌교수,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특임교수, 서울시미래인재재단 이사장. (전)민주평통 사무처장(차관)·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 저서 『김정은의 핵과 경제』, 『김정은의 핵과 정치』, Mysterious Pyoungyang: Cosmetics, Beauty Culture and North Korea, Macmillan Palgrave, UK, 2020. North Korean Nuclear Weapon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World Scientific, Singapore, 2019. South Korea's 70 years for Diplomacy, National Defense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Macmillan Palgrave, UK(공저), 2018. Contemporary Food Shortage of North Korea and Reform of Collective Farm, München : Utz, Germany, 2006. 고려대 경제학과 학사, 미국 미주리 주립대 응용경제학 박사.

저자(글) 최윤정

(Choi Yoon Jung, 崔允瀞)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ARF EEP 공동의장, 한국국제정치학회 기획이사, 한국국가정보학회 부회장. 연구 분야 인도ㆍ태평양 외교ㆍ안보. 저서 Order in Tension: South Korea and the Indo-Pacific, India, South Korea and ASEAN: Middle Power Diplomacy in the Indo-Pacific. 이화여대 국제학 석·박사.

저자(글) 최은주

(Choi Eunju, 崔銀珠)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저서 『한반도 리빌딩 전략 2025』(공저), 『글로벌 정세 변화와 새로운 남북경제관계 모색』(공저), 『제재 속의 북한경제, 밀어서 잠금 해제』. (전)민주평통 상임위원·통일부 자문위원·성남시 남북교류협력위 위원. 고려대 국문학 학사, 경제학 석·박사.

저자(글) 조양현

(Jo, Yanghyeon, 曺良鉉)
국립외교원 인도태평양연구부 일본연구센터장. (전)하버드대 웨더헤드센터 Academic Associate·싱가폴 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 Visiting Fellow·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현대일본학회장. 저서 『한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공저), 『한국안보의 이해』(공저).

저자(글) 안병억

(An Pyeongeok, 安秉億)
대구대 국방군사학과 교수. (전)한국유럽학회 부회장·통합유럽연구 편집위원장. 저서 『미국과 유럽연합의 관계』(공저), 『하룻밤에 읽는 영국사』, 『셜록 홈즈 다시 읽기』, 『하룻밤에 읽는 독일사』. 한국외국어대 문학사, 영국 케임브리지대 석사, 박사(국제정치).

저자(글) 박지원

(PARK Jiwon, 朴智園)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전문위원, 한-러 대화(KRD) 경제분과 전문위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빙연구원. (전)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경제분과 전문위원. 저서 『유라시아와 동아시아: 통합, 협력, 갈등』(공저),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러 혁신 스타트업 협력 방안』(공저). 연구 “중앙아시아 역내 협력 강화의 경제적 배경과 추진 방향”, “타지키스탄의 아프간 난민: 정책과 환경에 의한 경제적 문제 고찰”,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상황과 중앙아시아의 보완적 요인”. 한국외국어대 학사(러시아어, 국제통상),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석·박사(러시아지역학).

저자(글) 박찬수

(Park Chansoo, 朴贊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원장·선임연구위원. 한국혁신학회 부회장,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이사, 기술경영경제학회 이사, 과기부/중기부 자체평가위원, 국가재정성과평가위원. (전)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겸임교수·국과심 전문위원·기초연구진흥협의회 위원. 산업기술보호 유공 산업부 장관 표창, 정부출연연구기관 유공 대통령 표창.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동 대학원 공학박사(기술정책 전공).

저자(글) 최병삼

(Choi Byong Sam, 崔炳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성장실 선임연구위원. (전)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신산업전략연구단장·삼성경제연구소 산업전략실 수석연구원·경제사회노동위원회 플랫폼산업위원회 위원, 저서 「플랫폼, 경영을 바꾸다」(공저). 연구 「대한민국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한국형 발전모델의 탐색과 성장동력 정책의 전환」, 『플랫폼 경제의 부상과 혁신적이고 공정한 산업 생태계 조성 방안』.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KAIST 기계공학 학사,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

저자(글) 오수현

(Oh Soo Hyun (Catherine), 吳秀炫)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 연구위원. (전)무역통상안보실 연구위원·Johns Hopkins University SAIS 강사. 저서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시사점』 ,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과 한국의 대응방안』(공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공저). 서울대 경제학 학사, 위스컨신대 경제학 석사,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농업 및 자원경제학 박사.

저자(글) 조은교

(Cho, eunkyo, 趙恩嬌)
산업연구원 중국연구팀장, 연구위원. (전)외교부 한중 미래발전위원회 자문위원·산업통상자원부 FTA 활용촉진위원회 자문위원·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 저서 『글로벌 AI 경쟁에 대응하는 중국의 전략과 시사점』, 『한중 첨단산업 공급망 구조 변화와 대응전략』,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에 따른 중국의 공급망 영향과 시사점』, 『중국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현황과 자립화 전략』. 중국 베이징대학교 경제학박사.

저자(글) 이성규

(Lee Sungkyu, 李聖揆)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에너지동향분석실장, 선임연구위원. (전)미국 National Bureau of Asian Research 초청연구원·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 저서 『글로벌 지정학적 위험요인과 에너지 안보』, 『유럽 국가의 변동적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와 국가간 전력거래의 연관성 분석』,『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사업과 관련 해외 사례분석과 시사점』 등. 모스크바 국립대 경제학 박사.

저자(글) 김천곤

(IM Chun Kon, 金天坤)
산업연구원 연구부원장·선임연구위원. (전)기획조정본부장·서비스산업연구본부장, 서울대 농경제학과, 서울대 환경대학원(도시계획석사), 미국 캘리포니아대(UC Irvine) 경제학 박사.

저자(글) 문형남

(Moon Hyung Nam, 文炯南)
숙명여대 한류국제대학 학장·교수. 한국AI교육협회 회장, ESG메타버스발전연구원 대표이사, (사)지속가능과학회 회장, K-헬스케어학회 회장. (전)한국생산성학회 회장·대한경영학회 회장·매일경제 기자. 저서 『나는 AI ESG 융합 전문가』(공저), 『인더스트리 5.0』(공저), 『대한민국을 선진국으로 이끈 K-경영』(공저), 『4차산업혁명과 ESG혁명』, 『세상을 바꾸는 메타버스』(공저). 근정포장 수훈. 성균관대 경영학과 학사, 고려대 경영학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박사 수료, 성균관대 경영학 박사학위, 북한대학원대 북한학 박사수료.

저자(글) 강건욱

(Kang Keon Wook, 姜建旭)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서울대 창업지원단장,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기획관리위원회 위원, 내과/핵의학과 전문의, 저서 「포스트코로나 대한민국」(공저), 「2025 대한민국 대전망」(공저). 보건복지부 장관표창, 국무총리 표창. 서울대 의학사, 의학석사(내과학), 의학박사(핵의학), 한국방송통신대 석사(행정학).

저자(글) 김유현

(Kim You Hyun, 金酉賢)
InScience(Partner of Pawlik) 부대표.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 키스톤컨설팅 인터내셔날 대표(HR 부문),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역량평가위원 양성교육 교수, 지속가능과학회 감사, 글로벌금융학회 인사정책위원, 한국역량진단학회 정회원. 연세대 학사, 건국대 행정학석사, 아주대 경영학석사(인사·조직).

저자(글) 이재완

(LEE JAE WAN, 李在完)
세광종합기술단 회장, 엔지니어링공제(EGI)이사장,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명예회장. (전)국제엔지니어링연맹(FIDIC) 회장·한국해양재단 이사장·연세대학교 객원교수. 은탑산업훈장 수훈, 송산토목대상 수상.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프랑스 국립토목대학원, 프랑스 파리 1대학원 박사과정.

저자(글) 이상호

(Lee Sang Ho, 李相昊)
유창E&C 부회장. (전)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한미글로벌 사장·한국건설산업연구원장·GS건설 전략담당 겸 경영연구소장.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박사.

저자(글) 차학봉

(CHA HAKBONG, 車學峯)
조선미디어 그룹 부동산 전문매체 땅집고 미디어본부장. (전)조선일보 부동산전문기자·총괄부국장·산업부장·도쿄 특파원. 저서 『일본에서 배우는 고령화시대 국토 주택정책』, 『부자들만 아는 부동산 시장의 법칙』.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건국대 부동산 대학원석사.

저자(글) 함인희

(Hahm Inhee, 咸仁姬)
이화여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전)이화여대 사회대 학장·한국가족학회 부회장. 저서 『앨리 혹실드』,『인간행위와 사회구조』, 『문화로 읽는 페미니즘』(공저),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공저), 『오늘의 사회이론가』(공저), 역서 『가족 난민』(공역). 미국 에모리 대학교 박사.

저자(글) 박기태

(Park Kitae, 朴基兌)
법무법인 한중 변호사, 서울시립 다시서기 지원센터 운영위원, 서울시 공익변호사, 대한의사협회 자문변호사, 대한변협 인증 손해배상 전문변호사. 저서 『일반인을 위한 회생파산 매뉴얼』. 연세대 정치외교학사·법학전문석사·보건정책석사.

저자(글) 윤석명

(Yun, Sukmyung, 尹錫明)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 연구위원. 연금연구회 리더, OECD Pension Expert Meeting의 Chairperson 및 한국 대표, 리셋코리아 연금개혁분과장. (전)경제사회노동위원회 초고령사회 계속 고용연구회 위원·1차∼5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 위원·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 2024 시니어히어로상 수상. 고려대 학사(영어영문학), 경제학 석사, 미국 Texas A&M 대 경제학 박사.

저자(글) 이정옥

(LEE, Jung Ok, 李貞玉)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 다문화연구원장, 사회적 경제 대학원장, 데모크라시 인터내셔널 이사, 제8대 여성가족부 장관. 저서 『글로컬 시대의 한국 시민사회의 이해』, 『가족과 젠더의 사회학』, 『지구촌 사회의 이해』, 『가족관계의 변모와 여성 문제』(공저), 『경계의 여성들 』(공저), 『직접민주주의로의 초대』(번역).

저자(글) 장인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지방시대위원회 생활인구 늘리기 특별위원회 위원, 지방시대위원회 균형발전사업 평가자문단, 통계청 저출산 정책지표 자문위원. 저서 『지역 인구 변화에 따른 정책 과제와 대응 방안』(공저), 『2021년 인구변동 모니터링과 정책과제』(공저), 『지역 불평등과 인구 변동 간 연관성에 대한 심층 연구』(공저),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함의』(공저). 한국외국어대 경영학사,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경제학석사,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경제학박사.

저자(글)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부위원장·산업단지계획위원회 부위원장. (전)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회장·단국대 사회과학대학장. 저서 『2025 대한민국 대전환』, 『전환: 대한민국 재설계 프로젝트』. 서울대 도시공학 박사.

저자(글) 김태형

한국교통연구원 모빌리티융합기술본부 본부장. (전)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한국판 뉴딜 국정자문단 위원·세계은행 선임교통위원·한국ITS학회 상임이사/산학협동위원장. 대통령 표창, 국토해양부 장관상. 한양대 공학사, 공학석사, 메릴랜드주립대 공학박사(교통공학).

저자(글) 김선미

동아일보 콘텐츠기획본부 기자. 동아일보 ‘김선미의 시크릿가든’ 연재 중, 2025서울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 산림청 산림보호분과 자문위원, 국가유산청 명승·전통조경분과 전문위원. (전)동아일보 논설위원·산업부·소비자경제부·문화부 차장. 「정원의 위로」저서로 한국조경학회 학술상 수상. 서울대 조경학 박사과정.

저자(글) 김경순

(Kim Kyoung Sun, 金景淳)
국립공원공단 상임감사. (전)정책네트워크내일 정책실장·국민의당 정책실장·보건복지위원회 국회의원 보좌관·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안보분과 전문위원·대통령실 인사제도비서관실 행정관·한국감사협회 사무총장. 공공감사협회 청백리상 수상. 연세대 독문과, 경희사이버대 NGO학사, 북한대학원대학교 군사안보전공 석사.

저자(글) 이용관

(Lee Yong Kwan, 李容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류경제연구센터장. 《문화정책논총》 편집위원, 《문화콘텐츠연구》 편집위원,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 심의위원. (전)서울시 학술용역 심의위원·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위원·SK경영경제연구소 연구원. 저서 Gender differences in leisure, 『한류와 문화정책』(공저), 『문화경제의 창의와 혁신』(공역).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서강대 경제학 석사·박사.

저자(글) 이원희

(Lee Wonhee, 李元熙)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연구본부장·선임연구위원. 여행산업 공정상생협력위원회 위원, 관광거점도시위원회 위원,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생태관광협회 이사. (전)한국관광학회 산관학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서울대 학사·석사(조경학), 호주 James Cook Uni. 박사(관광학).

저자(글) 노수경

(Nho Soo Kyoung, 盧秀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연구본부 부연구위원. 연구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5-2027」, 「문화예술분야 보조사업 경제효과 추정 방안 연구」. 영남대 음악학사, 예술행정학 석사, 건국대 문화콘텐츠학 박사(문학박사).

저자(글) 김소임

(Kim Soim, 金素任)
건국대 영어문화학과 교수, 케이북스 대표. (전)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장·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회장. 저서 『베케트 읽기』, 『영화로 보는 미국역사』(편집위원, 공저), 『퓰리처 상을 통해 본 현대 미국 연극 』(편집위원장, 공저). 역서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 학사, 미국 위스콘신대 영문학 석사, 에머리대 박사학위.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2026 대한민국 대전망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2026 대한민국 대전망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2026 대한민국 대전망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