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한국 법률 실무 안내서
2025년 07월 25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8월 0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8.97MB) | 293 쪽
- ISBN 9791138845151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11,34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 책은 이론서가 아닌 실무자의 눈높이에 맞춘 구성으로, 투자자와 경영진이 한국 시장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투자 시나리오와 실제 사례까지 폭넓게 제시한다.
Part 1. 투자 프로젝트의 개요 및 공통 구조
I.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의 구조적 이해: 3단계 흐름과 부록 개요
1.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의 3단계 구조
2. 부록 소개
3. 주요 개념 정리
II. 「상법」상 법인 형태별 비교 분석
1. 유형별 비교
1.1. 주식회사
1.2. 유한회사
1.3. 유한책임회사
2. 법인 형태별 주요 법적 요소 비교표
3. 종합평가
3.1. 주식회사
3.2. 유한회사
3.3. 유한책임회사
3.4. 종합평가
4. 실무 평가: 주식회사 선택이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이유
4.1. 주식회사의 이사 및 결의 구조
4.1.1. 자본금 10억 원 미만의 주식회사
4.1.2. 자본금 10억 원 이상의 주식회사
4.1.3. 결의 정족수 및 방식
4.1.4. 결의기관별 주요 결의사항
III. 실무상 공통 고려사항
1. 외국환신고
1.1. 외국환신고 개요
1.1.1. 외국환신고 범위
1.1.2. 지정거래외국환은행
1.1.3. 외국환신고의 중요성 및 리스크
1.1.4. 외국환신고의 유형 및 사례
1.2. 증권취득 신고
1.2.1. 신고 주체
1.2.2. 주요 제출 서류
1.2.3. 실무상 특징
1.3. 외국인직접투자 신고
1.3.1. 신고 요건 및 적용 대상
1.3.2. 주금납입 및 확인 절차
1.3.3. 실무상 유의점
1.3.4. 사후 절차
1.4. 고객확인제도(Know-Your-Customer; KYC)
1.4.1. 필요 서류
1.5. 투자금 납입 방법
1.6. 안보심의 제도
2. 공정거래위원회 신고
2.1. 공정위 신고 개요
2.2. 기업결합신고 대상 여부 판단 기준
2.2.1. 형식적 요건: 기업결합 유형
2.2.2. 규모 요건: 결합당사회사의 자산 또는 매출액 기준
2.2.3.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심사의 해석 원칙: 실질주의
2.3. 사전 검토 사항(사전/사후, 간이/일반)
2.3.1. 사후신고 vs. 사전신고
2.3.2. 일반심사 vs. 간이심사
2.3.3. 실무상 권고: 전문가를 통한 조기 검토의 중요성
2.4. 공정위 신고 결과 및 제재
2.4.1. 공정위의 심사 결과 유형
2.4.2. 신고 누락·지연 시 제재 및 그 효과
2.4.2.1. 과태료 부과
2.4.2.2. 시정조치 또는 원상회복 명령
2.4.2.3. 형사처벌
2.4.2.4. 평판·신용도에 대한 부정적 영향
3. 인허가
3.1. 인허가 요구 사항
3.2. 외국인 투자자의 주의사항
3.3. 실무적 권고
IV. 특정 산업에 대한 외국인 제한
1. [별표1] 외국인투자대상 제외업종(「외국인투자에 관한 규정」 제4조 관련)
2. [별표2] 외국인투자대상 제한업종 및 허용기준(「외국인투자에 관한 규정」 제5조 관련)
V. 상업등기 및 사업자등록
1. 상업등기
1.1. 등기사항
1.2. 등기의 법적 효과
1.2.1. 효력요건(Constitutive Registration)
1.2.1.1. 사례 1: 회사 설립(「상법」 제317조)
1.2.1.2. 사례 2: 합병(「상법」 제234조, 제528조)
1.2.2. 대항요건(Declaratory Registration)
1.2.2.1. 사례 1: 본점 이전(「상법」 제183조)
1.2.2.2. 사례 2: 대표이사 변경(「상법」 제395조)
1.2.2.3. 사례 3: 해산(「상법」 제228조, 제521조의2)
1.3. 등기 지연 또는 누락 시 패널티
1.4. 실무상 유의사항
1.4.1. 외국인 임원이 포함된 경우의 등기 실무
1.4.2. 법인인감 등록
1.4.3. 개인 인감 등록은 선택 사항
2. 사업자등록
2.1. 사업자등록의 개념 및 법적 근거
2.2. 사업자등록증에 포함되는 주요 정보
2.3. 사업자등록 신청 시 요구되는 서류 및 실무상 핵심 고려사항
2.3.1. 사업장 관련 서류(사업장 확보 증빙)
2.3.2. 사업 관련 인허가증(해당 업종이 인허가 대상일 경우)
2.3.3. 제조업 등의 경우: 시설 증명 또는 위탁계약(OEM 등)
VI. 한국의 인감 제도 및 서명 문화에 대한 이해
1. 인감의 개념과 법적 효력
2. 인감 제도 관련 용어 정리
3. 사용인감의 법적 효력과 통제 방식
4. 인감과 서명의 관계 도식
VII. 사전 절차: 거래 구조 협의 및 실사
1. 비밀유지계약(Non-Disclosure Agreement; NDA)
2. 기본합의서(Letter of Intent; LOI) 및 텀시트(Term Sheet)
3.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4. 실사(Due Diligence)
Part 2. 사업 시작 단계
I. 신규 법인 설립(외국환신고 종류에 따른 분류)
1. 「외국인투자 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설립
2. 「외국환거래법」에 따른 단순 증권취득 방식
3. 외국인투자 전환 등록, 변경 신고
4. 설립 절차 개괄
II. 외국법인의 국내 지사, 연락사무소 설립
1. 지사(Branch)
2. 연락사무소(Liaison Office)
3. 자회사(「상법」상 법인 설립), 지사 및 연락사무소의 주요 비교
4. 실무상 선택 기준
III. 합작 투자(JV)
1. 합작 투자(JV) 소개
2. JV 설계 시 주요 고려사항
3. JV 계약서의 기본 구조
IV. 주식양수도(Share Transfer): 양수인 입장
1. 외국환신고
2. 비상장회사의 주식 양수
2.1. 비상장회사 주식 양수도의 일반적인 절차
3. 상장회사의 주식 양수
3.1. 상장회사 주식 양수 방법
3.1.1. 장내거래(On-Exchange Trade)
3.1.2. 장외거래(Off-Market Private Transaction)
3.1.3. 블록딜(Block Deal, 시간외대량매매)
3.1.4. 공개매수(Tender Offer)
3.1.5. 기타 방식
3.2. 상장회사 주식 양수도의 일반적인 절차(장외거래 기준)
3.2.1. 거래 전략 수립 및 자문사 선정
3.2.2. 사전접촉 및 비밀유지계약(NDA) 체결
3.2.3. 예비 제안 및 예비계약 체결(LOI, Term Sheet, MOU 등)
3.2.4. 실사(Due Diligence)
3.2.5. 주식매매계약(SPA) 체결
3.2.6. 이사회 및 타 주주의 승인
3.2.7. 대금 납부 및 지분 이전 완료
3.3. 「자본시장법」상 공시 및 신고의무
3.3.1. 대량보유상황 보고(5% 룰)
3.3.2. 단기매매차익 반환 의무
3.3.3. 공개매수 의무
3.3.4. 내부정보 이용 제한
3.3.5. 주요사항 공시 및 신고 절차
4. 신주 취득(Stock Issuance)
V. 제3자 계약을 통한 진출
1. 유통 계약(Distributorship Agreement)
2. 대리점 계약(Agency Agreement)
3. 라이선스 계약
4. OEM, ODM
5. 계약형 JV
6. 모든 계약 형태에 공통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조항들
6.1. 준거법 및 분쟁해결 조항(Governing Law & Dispute Resolution Clauses)
6.2. 해지 조항(Termination Clause)
6.3. 기밀유지 조항(Confidentiality Clause)
6.4. 손해배상 조항(Indemnity & Limitation of Liability Clauses)
6.5. 분리가능 조항(Severability Clause)
6.6. 양도금지 조항(Non-Assignment Clause)
6.7. 존속 조항(Survival Clause)
6.8. 불가항력 조항(Force Majeure Clause)
6.9. 권리 불포기 조항(Non-Waiver Clause)
Part 3. 사업 운영 및 발전 단계
I. 증자
1. 실무상 특징
2. 외국인 투자자가 알아야 할 증자 실무 포인트
2.1. 외국인투자 신고 요건 검토(「외촉법」 제2조, 제5조)
2.2. 자본금 10억 원 이상 시 이사·감사 의무(「상법」 제383조, 제409조)
2.3. 증자 시 자본금 납입 증명 방식
2.3.1. 증자 후 자본금 10억 원 이상인 경우: 주금납입보관증명서 제출
2.3.2. 증자 후 자본금 10억 원 미만인 경우: 잔고증명서로 갈음 가능
II. 대출
1. 외부 차입(일반 대출)
1.1. 거주자의 외화자금차입(「외국환거래규정」 7-14)
1.2. 외화 차입 vs. 자금통합관리(Cash Pooling) 실무 비교
1.3. 부수 고려사항
2. 사채 발행(Debt Securities)
2.1 일반사채(Straight Bond)
2.2.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CB)
2.3.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Warrant; BW)
3. 사채 발행 시 준법 사항
3.1. 증권신고서
3.2. 사채관리회사 선임
III. 영업/자산양수도(Business/Asset Transfer): 양수인 입장
1. 인수 개념 및 기본 구조
2. 일반적 절차
2.1. 자산 선별 및 딜 구조 결정
2.2. 실사(Due Diligence)
2.3. 계약 협상 및 체결
2.4. 신고·등기
2.5. 대금지급 및 거래종결
3. 고용승계 및 노무 이슈
3.1. 근로계약의 비승계
3.2. 실무적 대비
4. 계약상 권리·의무 양도 제한
4.1. 채권을 양도할 경우, 사전 동의 또는 통지를 통해 양도 가능성 검토
4.2. 채무를 인수할 경우, 채권자의 명시적 동의를 확보
4.3. 계약 승계를 위해 제3자의 동의 또는 계약 변경 절차 확보
5. 실무상 주의사항
5.1. 자산 목록 작성
5.2. 법률 및 재무 실사
5.3. 계약서 작성
5.4. 인수 후 통합(Post-Merger Integration; PMI)
5.5. 일부 양수도 vs. 포괄 양수도에 따른 부가가치세
5.6. 지연 고려
IV. 사업 구조 조정(Restructuring)
1. 주요 형태별 구조조정 시나리오
1.1. 지사 폐쇄; 자회사 설립
1.2. 자회사 분할(Spin-off)
1.3. 계열사 통합 또는 기능 재배치(합병, 영업양수도)
1.4. 그룹 구조 단순화 전략(Group Restructuring; Group Simplification)
2. 실무상 고려사항: 외국계 기업의 구조조정과 규제 대응
V. 상장(Initial Public Offering; IPO)
1. Exit 대비 전략으로서 IPO
2. 코스닥시장(KOSDAQ) 상장 요건 요약
2.1. 기술특례상장
3. 유가증권시장(KOSPI) 일반기업 상장 요건 요약
3.1. 지주회사 및 외국법인
3.2. 기술특례상장
4. IPO 절차
5. 미국식 SPAC과 비교
6. 보호예수(Lock-up)
Part 4. Exit 및 사업 종료 단계
I. 지분 매각(Share Transfer): 양도인 입장
1. 계약상 주요 조항 및 유의사항
1.1. 진술·보장(Representations & Warranties)
1.2. 책임제한 및 배상한도(Limitations on Liability)
II. 사업 매각(M&A; Trade Sale): 양도인 입장
1. 거래 구조 설계
2. 매각 단계별 주의사항
2.1. 실사 대응(Due Diligence)
2.2. 계약서 작성 및 협상
2.3. 대금 및 조건 협상
2.4. 신고·인허가 및 종결조건 충족
2.5. 종결 및 사후관리
2.5.1. 근로계약 관리
2.5.2. 제3자 계약 정리
3. 계약상 주요 조항 및 유의사항
3.1. 진술·보장(Representations & Warranties)
3.2. 책임제한 및 배상한도(Limitations on Liability)
3.3. 조건부 대금 지급(Earn-Out)
III. 배당 및 중간배당(Dividend, Interim Dividend)
1. 기본 개념 및 Exit 수단으로서의 의의
2. 관련 법령 요건
2.1. 정기배당(결산배당)
2.2. 중간배당
3. 비합리적 배당의 법적 책임
IV. 해산 및 청산(Dissolution, Liquidation)
1. 정식 해산 및 청산 절차
2. 자금 회수 절차 및 필요 문서
3. 해산간주 및 청산간주
4. 실무상 자금 회수 흐름 요약
Part 5. 대표적 투자 시나리오
시나리오 1: 외국 기업의 자회사 설립 → 자금·기술 투입 → 시설 인수 통한 국내 사업 확장
실제 사례
절차 개요
시나리오 2: 경영 비참여 지분 인수 → 사업 확장 및 IPO → 고수익 Exit
실제 사례
절차 개요
시나리오 3: 해외 기업의 한국 합작법인(JV) 설립 → 사업 발전/운영
실제 사례
절차 개요
시나리오 4: 다국적기업 구조 조정 - 사업 매각 및 소유 구조 정비
직접자회사
사업 일괄 매각
부록 1 - 법인등기부등본
I. 법인등기부등본 소개
II. 법인등기부등본 확인 방법
1. 인터넷 확인
2. 오프라인 발급
III. 법인등기부등본 예시: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록 2 - 회사 통제권 및 Exit 계약 조건
I. 준거법과 강행규정에 대한 주의, 그리고 Severance 조항의 필요성
예시 조항
II. 회사 통제권 관련 조항
1. Board Composition(이사회 구성 및 선임권)
예시 조항
2. Reserved Matters(주요사항에 대한 거부권/동의권)
예시 조항
3. Drag-Along Right(동반매도청구권)
예시 조항
4. Tag-Along Right(동반매도요구권)
예시 조항
5. Preemptive Right(신주 인수 우선권)
예시 조항
6. Right of First Refusal(ROFR; 구주 매각 우선매수권), Right of First Offer(ROFO; 우선협상권)
예시 조항
III. Exit 및 Deadlock 대응 관련 조항
1. Exit Events/Exit Mechanism(Exit 이벤트 및 절차)
예시 조항
2. Deadlock Events/Deadlock Resolution(교착상태 발생 및 해결 메커니즘)
예시 조항
3. Put Option(풋옵션; 주주의 매도청구권)
예시 조항
4. Call Option(콜옵션; 상대방 주식 매수권)
예시 조항
IV. 통제권 미보유 시 보조·보장 조항
1. Information Rights(정보공개 및 열람권)
예시 조항
2. Audit and Inspection Rights(회계감사 및 실사권)
예시 조항
3. Non-Compete(경업금지)
예시 조항
4. Non-Solicitation(인력유인금지)
예시 조항
5. Minimum Dividend or Liquidity Event Requirements(최소 배당 또는 유동화 이벤트 보장)
예시 조항
6. Notification Duties(경영변화 등 주요 사안 통지의무)
예시 조항
실무에 기반한 현실적인 안내서
이 책은 법률 이론을 나열하는 대신, 한국에 실제로 투자하고자 하는 외국인의 입장에서 반드시 마주치는 절차와 제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 투자자가 처음 접할 수 있는 법률적 허들-예를 들어 외환신고나 기업결합 신고, 인허가 절차 등-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며, 실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략적 투자 설계를 위한 로드맵 제공
사업 시작부터 Exit(자금회수) 전략까지를 일관된 흐름으로 정리한 점이 인상 깊다. 단순히 법률 조항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투자자의 전략적 판단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포착하고 있는 점에서 깊이가 느껴진다. 신설법인 설립, 합작투자, M&A 등 다양한 진입 방식은 물론, 증자, IPO, 청산 등 후속 절차까지 연결해 설명하는 구조는 마치 정교한 설계도를 보는 듯하다.
한-영 실무 교량을 잇는 목적의식
비록 현재는 한국어로 출간되었지만, 명백히 외국인 독자를 대상으로 쓰였다는 점에서 이 책의 목적의식은 뚜렷하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힌 것처럼, 한국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외국 투자자들에게 한국 제도의 실상을 ‘현장감 있게’ 보여주고자 하는 노력은 단지 법률 정보 그 이상이다. 한국에 투자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는 책이다.
복잡한 제도를 선명하게 풀어낸 해설력
복잡한 한국의 제도-인감문화, 사업자등록, 지분 양수, 비상장주식 매입 등-을 외국인의 시선으로 꼼꼼히 재해석하고 설명하는 문장력도 강점이다. 특히 Part 1에서 공통적으로 이해해야 할 제도들을 먼저 설명한 구성은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부록에 실린 계약 조항 예시들도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자료가 된다.
작가정보
미국 워싱턴 D.C.와 텍사스주 변호사 자격을 보유한 미국변호사이다. 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에서 미국법학 J.D.equivalent 과정을 이수하고, 미국 Regent University School of Law에서 미국법학 석사(LL.M.)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법학 석사 과정 중 한국과 미국의 회사법을 비교법적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법무법인(유한) 에이펙스에서 외국변호사로 재직 중이며, 외국인의 한국 내 투자 및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 자문을 수행해 왔다. 특히, 다국적 기업 및 국내 주요 기업의 inbound 및 outbound 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법인 설립, 지분 인수, 영업양수도, 합작투자, 외국환 거래, 계약 자문 등 전반적인 투자 구조에 대한 실무를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EY 법률 네트워크와 협업하여 다국적 기업의 복잡한 프로젝트에 다수 참여한 바 있으며, 국제 투자 및 기업법분야에서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인의 한국 투자에 있어필수적인 법적 고려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본서를 집필하였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