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이의무 후예들의 문학탐방

이재운 지음
아우내

2025년 06월 17일 출간

국내도서 : 2023년 09월 0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129.90MB)   |  623 쪽
ISBN 9791191852837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0,000원

쿠폰적용가 9,0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 책은 생생한 천지 자연의 소리와 삶이 녹아 있는 산문과 시를 감상하여 한문과 문장의 사고력이 증진되어 논술고사에 적지 않는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이행의 시는 기교를 배격했고 떠오르는 시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자연성장(自然成章)시켰다. 또한 성종부터 인조까지 8대에 걸친 170여년 간의 역사를 담고 있다.
우리 역사를 알고 싶은 독자들에게 유익할 것이다."
서문 / 5
추천사 / 7
추천사 / 8
일러두기 / 9
제1편 이의무(연헌) 선생의 삶과 문학 / 21
제1장 이의무(李宜茂, 연헌공) 선생의 일생 / 23
1. 이의무의 약력 / 23
1) 응제에 참가 연이어 세 차례 으뜸(장원)을 하다 / 24
2) 호당에 사가독서 선발 후 목민관이 되다 / 25
3) 이의무 별세, 인혈의 명당에 묻히다 / 25
2. 연헌공 이의무가 연산군에게 직언한 주요 내용 / 25
1) 무오사화로 이의무 선생이 어천역에 유배된 동기 / 26
2) 백성을 사랑하다 투옥되다 / 27
3) 연헌(蓮軒)공의 능안(陵岸) : 오자등과(五子登科)의 영광 누리다 / 31
3. 능안 전기 / 33
1) 지리와 연혁 / 33
2) 능안의 유래 / 34
3) 영역 국내의 내력 / 35
4) 연헌공 신도비 : 거장의 예술적 작품 / 36
5) 연헌공 신도비 건립사 / 38
6) 용재공과 능안 / 39
7) 가담여적(佳談餘滴) / 41
4. 연헌공(휘의무) 행장(行狀) 발취문 / 41
1) 성품과 일화 / 41
2) 현명한 부인을 맞다 / 44
5. 덕수이씨 연헌공 신도비명(역본) / 45
6. 연헌집의 발간과 번역 / 49
7. 성종실록 춘추관 봉교 찬(成宗實録 春秋館 奉教 撰) / 50
8. 성종과 연산군 시절 연헌공 이의무의 주요 업무 / 50
9. 연헌공의 관서 지방 순행지 답사 / 51
1) 파주공관(坡州公館) : 연행록에 기록된 파주목 객사 / 51
2)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일제의 객사 처리 / 53
3) 연헌공 휘 의무의 주요 행적 / 54
제2장 이의무의 문학 탐방 / 55
1. 연헌공의 시(詩)와 부(賦) / 55
2. 이의무, 적소에서 풀려나다 / 56
3. 성종이 실시한 논과 율시에서 장원하다 / 79
1) 이의무가 제출한 답안지 / 80
2) 응제(應製) : 희우부(喜雨賦, 비를 기뻐하는 것에 대하여) / 84
3) 형화부(螢火賦) [반딧불에 대하여], 응제(應製) / 87
4. 화석정에 대한 부(賦)와 서(序) / 89
5. 청주 망선루부차운 관찰사 손공운에 차운하다 / 92
6. 망선루, 사라질 위기에 이건하다 / 94
7. 가문의 영광과 신분 상승을 위한 과거시험 / 95
8. 신증동국여지승람 서문을 짓다 / 97
제3장 이의무 후손들의 활동 / 99
1. 선친의 유고(遺稿)인 《연헌잡고(蓮軒雜稿)》의 발문(跋文) / 99
2. 고조부 연헌 선생의 제묘문(祭 高租 蓮軒先生 墓文) / 100
3. 한석봉으로부터 ‘덕수이씨 봉선지암’ 글씨를 받아오다 / 100
4. 봉선암 건립 배경 / 101
5. 봉선암 답사기 / 104
6. 연헌재 건축기 / 107
1) 연헌재 / 107
2) 건축기 / 108
7. 객포산인 원정 현대판 정주영 간척사업 농지를 확보하다 / 108
8. 연헌공(휘 의무)의 후손(휘荇 위주로 한 가승도) / 111
9. 연헌공의 외가 / 112
10. 덕수이씨 선조들의 혼맥 / 115
11. 상신 7인 / 116
1) 이 행(李荇) : 1478년~1534년 / 116
2) 이 기(李芑) : 1476년(성종 7)~1552년(명종 7) / 116
3) 이단하(李端夏) : 1625년(인조 3)~1689년(숙종 15) / 116
4) 이 여(李畲) : 1645년(인조 23)~1718년(숙종 44) / 117
5) 이 집(李㙫) : (1664년~1733) / 117
6) 이 은(李溵) : 1722년(경종 2)~1781년(정조 5) / 118
7) 이병모(李秉模) : 1742년(영조 18)~1806년(순조 6) / 119
12. 필자의 논(論): 걸어서 천국가다 / 120
제2편 이행(용재)의 삶과 문학 / 123
제1장 이행(李荇)의 삶 / 125
1. 한양 남산골 청학동에서 태어나다 / 125
2. 진언하다 장형(杖刑)을 받고 유배되다 / 127
3. 충주 달천에서 유배 / 128
4. 함안에서의 유배 생활 / 138
5. 거제도 유배자 중 역사상 가장 많은 240편의 시를 짓다 / 142
1) 군미(君美) 홍언방(洪彦邦)을 곡(哭)하다 / 145
2) “택지에게 보내다(奇擇之)” 홍언충(洪彦忠) / 146
3) 용재공의 매형 소식을 받다 / 148
4) 침면(沈湎) : 술에 쩔어 아주 헤어나지 못함 / 155
5) 1506년 거제 배소(配所) 유배 생활 중에 / 157
6) 소요동기(逍遙洞記) / 164
6. 중종반정 일어나다 / 168
1) 연산군의 제사를 용재공의 증손자 동악공 안눌이 받들다 / 170
2) 강릉 향시의 고시관으로 갔다 / 170
3) 이함(李菡), 중종반정에 적극 가담하다 / 172
4) 1510년 3월 16일 봉은사에서 묵다 / 174
5) 기묘사화와 용재공 / 184
6) 조선 중기 사장파 문학의 거두 정사룡 / 196
7) 증고사 이행의 한림별곡 / 198
8) 김안로와 이행 / 201
8. 함종현 유배 / 201
9. 이행의 용모와 성품 / 204
10. 反面敎師로 삼는 詩를 남기다 / 208
제2장 이행(李荇)의 문학 / 211
1. 용재공이 사용한 주문연 / 211
2. 산문(散文) / 224
1) 홍문관의 투호(投壺) / 224
2)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의 서문 / 224
3) 《동궁계몽(東宮啓蒙)》의 서문 / 225
4) 역대군신도상(歷代君臣圖像)의 서문 / 226
5)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서문 / 227
6) 면천객사 중수기(沔川客舍重修記) / 229
7) 왕비 윤씨(尹氏) 옥책문(玉冊文) / 230
8) 종형(從兄) 경흥부사(慶興府使) 이국향(李國香)께 드리는 제문(祭文) / 231
3. 불후의 명작으로 평가받는 작품 / 233
1) 박중열(朴仲說) 묘지(墓誌) / 233
2) 의정부 좌의정 신공(申公) 신도비명(神道碑銘) -신용개- / 241
3) 종형(從兄) 경흥부사(慶興府使) 이공(李公) 묘지 / 244
4) 화남악창수집(和南岳唱酬集) 발(跋) [정사룡(鄭士龍) 찬(撰)] / 245
5) 《동사집(東槎集)》 후서(後序) [소세양(蘇世讓) 찬] / 246
6) 용재집(容齋集) 발(跋) [이안눌(李安訥) 찬] / 246
4. 용재공은 시, 문장, 글씨 특히 그림에도 탁월하였다 / 252
5. 용재공 이행과 읍취헌 박은과의 계보 관계 / 255
6. 주세붕이 편찬한 용재집 행장 / 255
1) 행장(行狀) / 255
2)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인 최부(崔溥)의 문인이다 / 255
3) 박은과 함께 해동의 강서파, 시호는 문정(文定), 문헌(文獻) / 256
4) 관료 생활 초기 / 257
5) 중종 반정 이후 / 257
6) 사후 배향 되다 / 261
7. 《용재집 容齋集》 / 261
1) 사행시고(使行詩攷) / 262
2) 《용재문집》 발간 / 263
3) 중종 때 과거시험 출제 / 267
4) 중종이 주고의 글을 읽고 감격하다 / 268
8. 잠두봉 / 269
1) 뱃놀이의 강상시회 문화를 개척하다 / 269
2) 양강에 배를 띄우고 달구경 하면서 시록 뒤에 쓰다 / 270
9. 녹사(錄事)가 말에서 떨어지다 / 282
제3편 이안눌(동악)의 삶과 문학 / 283
제1장 이안눌의 삶 / 285
1. 이안눌의 탄생 / 285
2. 동악시단(東岳詩壇) 구성 / 286
1) 동악시단에 대한 기록 / 289
2) 정조가 평가한 동악-석주의 시 세계 / 291
3) 우암(송시열)과 백헌(이경석)의 평가 / 292
4) 백사(白沙) 이항복과 이안눌 자신의 평가 / 292
3. 정시문과에 급제 / 292
4. 충청도 경시관이 되다 / 297
1) 단양 도담삼봉을 구경하다 / 298
5. 단천군수에 임명 / 303
6. 홍주목사에 임명 / 303
7. 동래부사 임명과 업적(1608.2.~1609.11.) / 305
8. 임진란의 참상을 알다 / 307
1) 25인의 의용단을 처음 알리다 / 308
2) 대마도 무역선을 줄여 공적 비용을 줄이다 / 310
3) 지역민이 사랑한 청룡암 시 / 314
4) 동악공 동래부사의 발자취 / 316
5) 이안눌 부사의 송덕비를 다시 세우다 / 319
6) 동래성 전투(東萊城戰鬪) / 323
7) 동래 부사의 나들이 / 324
8) 임진왜란 때 다대포 항전 / 324
9. 담양부사에 임명되다 / 330
10. 이안눌 금산군수에 임명되다 / 334
11. 시(詩)의 신(神) 칭호를 얻다 / 335
1) 성곡서원(星谷書院) / 335
2) 천태산 국사봉 아래 고즈넉한 절집 신안사(身安寺) / 337
3) 길재 선생을 모신 청풍사 / 339
4) 춘당공 이양과 야은 길재 선생과의 관계 / 339
5) 채미정기 / 341
6) 금산문화원, 이안눌 군수의 ‘금계록’를 발간하다 / 343
7) 강선대(降仙臺)라 이름하고 아름다운 시를 짓다 / 343
12. 경주 부윤 임명과 업적 / 346
1) 경주 부윤 재임 시 경주향교 명륜당 크게 증수하다 / 347
2) 선조의 과오를 진정으로 사죄하다 / 348
3) 회재(晦齋) 후손과 구원(舊怨)을 풀다 / 349
4) 명륜당 중건 / 351
13. 동부승지에 임명되다 / 352
14. 외직을 자청 강화부사 임명되다 / 353
1) 예조 호조, 참판 임명 사퇴, 특진관으로 바른말을 하다 / 358
2) 사문재진사(查文齋進使)로 차출되다 / 358
3) 이괄의 난 / 359
15. 경성에서 12개월 유배 생활하다 / 360
16. 홍천에서 663일간의 이배 생활 / 361
1) 연봉역은 현재 어디인가? / 366
2) 유배지와 서대를 유추(비정)하는 근거 / 366
17. 귀양에서 사면되다 / 369
18. 동악공에 대한 조선왕조실록 기록 / 369
19. 강화유수에 임명되다 / 372
1) 강화향교 명륜당 창건 / 374
2) 비석 설치에 대하여 / 374
20. 인조왕 추존 주청부사 임명 / 376
21. 명국의 예부 예상 질문을 준비하다 / 376
22. 공청도 도순찰사 임명 / 376
23. 청백리 선정 / 380
24. 문혜(文惠) 시호를 받다 / 381
25. 구산사(龜山祠)에 동악(東岳)을 봉안하다(손재집 제8권/제문(祭文)) / 383
26. 이안눌 선생을 존경해야 할 이유 / 387
제2장 동악공의 명문 / 391
1. 명시(名詩) / 391
1) 鄭相公思美人曲, 江上聞歌 / 391
2) 천지로 장막 삼고(시조) - 이안눌(李安訥) / 392
4) 등통군정(登統軍亭) / 392
5) 석주 권필과 임진왜란 참전 병사를 위한 시 / 393
6) 이안눌의 수창시(首唱詩) / 394
7) 이안눌이 지은 오억령 만시(挽詩) / 395
8) 종숙부(從叔父) 동악(東岳)선생에 대한 이식의 만사 4수(정축년) / 395
9) 의주 통군정에서 동악공과 명나라 사신 고척준과의 만남 / 397
2. ​예조판서 증 좌찬성 동악(東嶽) 이공(李公)의 행장(行狀) / 398
3. 동악집(東岳集) 발문 / 415
4. 이안눌 수표교 다리 밝기 놀이에서의 일화 / 417
5. 동악공과 찰방 휘 안성(택당공의 부친)과의 우애 / 418
제4편 이식(택당)의 삶과 문학 / 421
제1장 택풍당 사설 교육에 금자탑을 쌓다 / 423
1. 택당의 가계와 인맥 / 423
1) 택풍당지(澤⾵堂志) / 426
2) 택풍당(澤風堂) / 429
3) 《택당집》 서론 (요약) 우안 송시열이 짓다 / 430
2. 과거 부정 시험에 휘말리다 / 432
3. 이괄과 내통한 자의 죄상을 고하다 / 435
4. 이안눌(7촌 당숙)을 걱정하다 / 437
5. 정묘호란(1627년 1월)이 일어날 것을 예견하다 / 438
6. 충주목사로 나가 백성을 사랑하고 교육시키다 / 440
7. 충주목사 시 김육의 잘못된 상소 / 441
8. 기천서원을 사액서원으로 만들다 / 444
9. 길가의 집 / 445
10. 대사간(정3품)에 임명되었다 / 446
11. 진부령 서쪽과 동쪽 방향 도로를 개설하다 / 451
1) 진부령을 개설하기 위한 기금모집 설명문, 모연문(募緣文) / 451
2) ‘무시무시령’ 양간지풍 / 453
3) 간성지에 소개된 왕곡방(王谷坊) / 454
4) 무주현을 무주부로 승격 주장으로 무주 군세를 키우다 / 455
5) 사고사(史庫寺) 불태워지다 / 457
6) 무주(茂朱) 적상산성(赤裳山城) 호국사(護國寺) 비문 / 458
12. 무우정기(舞雩亭記) / 462
13. 택당 명시선(名詩選) / 464
14. 삭탈관직당하여 門外 송출된 계기, 그리고 고시 10편을 짓다 / 468
제2장 이식의 명구(名句) / 475
1. 1622년 7월 기망일에 서호에서 회고하다 / 478
2. 시아대필(示兒代筆) (택당집 별집 15권) / 481
1) 추록(追錄) / 494
2) 과문(科文) 공부에 필요한 서목 / 508
3) 부부(夫婦) / 509
4) 왜송설(矮松說) / 511
3. 수운암(峀雲庵)에 대한 기문(記文) / 514
4. 을유년 정월에 이조판서의 사면을 청한 여섯 번째 소 / 516
5. 택당 선생집 서(澤堂 先生集 序) : 우암 송시열(宋時烈) 작 / 517
6. 일본 일광(日光) 동조궁(東照宮)의 조선 범종 명문을 쓰다 / 520
7. 두시비해(杜詩批解) 동아시아 연구서가 되다 / 521
8. 택당공 이식의 글씨 / 522
9. 택당공 이식의 지조 / 523
10.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묘지(墓誌) / 524
11. 광해군 대의 정치 상황과 택당의 자세 / 528
12. 인조대의 시대 상황과 택당의 현실 인식 / 529
1) 정묘호란 이후 양병설로 대비책을 적극 주장하다 / 530
2) 포위된 남한산성 안에서 팔도의 사민(士民)에게 내린 교서 / 531
3) 요동 백성의 쇄환(刷還)을 청한 주문 / 532
4) 실록의 편찬과 역사 인식 / 536
5) 택당 이식의 남한산성 일기를 통한 철학관 / 536
6) 인조의 삼배구고두 사건을 통한 교훈 / 546
13. 기록의 신, 택당공의 저작 활동 / 551
1) 이식의 졸기 / 552
2) 택당공의 승모(昇貌) / 553
3) 택당을 사모하는 경택재 223년간 이어 오다 / 554
14. 이식 선생의 정의로운 후손 / 556
1) 조선의 마지막 포청천 이노익 전라감사 / 556
2) 조선왕조실록에서 본 이노익의 주요 기록과 행적 / 559
〈택풍당 유적지도〉 / 561
〈묘역〉 / 562
제5편 이미(함광헌)의 삶과 문학 / 563
제1장 이미의 생애와 시 / 565
1. 출생과 사망 / 565
2. 이미 관련 자료 사진 / 567
3. 李瀰의 시와 글 / 569
1) 題 朝陽閣 李㵟의 詩 / 569
2) 고려 문충선공(文忠宣公) 신도비문 / 570
3) 이미 가승도 및 혼맥 / 574
제2장 〈부록〉 서담원의 “含光軒 李瀰의 詞 硏究” / 575
含光軒 李瀰의 詞 硏究 / 575
〈국문초록〉 / 575
1. 서론 / 576
2. 李瀰의 詞에 대한 인식과 창작 배경 / 578
3. 李瀰 詞의 격식과 표현 기법 / 590
1) 李瀰 詞의 격식 / 590
2) 李瀰 詞의 표현 기법 / 602
4. 李瀰 詞의 특징과 의의 / 610
5. 결론 / 612
나가는 말 / 615

○이식 선생은 학문의 정통성을 설득력 있게 논함으로 이단의 위험성을 알리고 어리석음을 자각해 하였다.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으면서 하는 일 없이 시간만 보내게 할 뿐 가르치는 일이 없게 되면, 금수와 다를 바 없다." 군자(君子)의 도는 자신의 몸을 지키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따라서 학문을 일단 성취하고 난 뒤에 다행히 세상에서 쓰일 수 있다면, 충성을 다하여 공무(公務)에 봉직(奉職)할 것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에도 어디까지나 의리에 따라서 일을 처리해야지, 유자(儒者)의 법도 밖으로 벗어나서 아무렇게나 행해서는 안 될 것이요, 또 그 과정에서 자신의 신념과 합치되지 않는 것이 있으면 자신의 몸을 이끌고 물러 나와야 할 것이다.
이식 선생은 두보의 시에 대하여 주역서(注譯書)를 완성하였다. '시를 배우는 근본은 삼백 편으로 종(宗)을 삼아야 하고, 배우는 표준은 두시(杜詩)를 삼아야 한다' 라 하였다. 400년이 지난 지금도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양권에서 한시를 연구하는 학도들에게 읽히고 있다. - 이식 선생 편에서 -

○반딧불은 화덕(火德)의 밟게 빛나는 것을 품었고 머물렀다 갈 줄 알고 나가서 때를 따르고, 들어와서 스스로 비추니 컴컴한 방에서도 속이지 않는다.
군자는 이를 본받아 자강불식하여 천하에 밝은 덕을 밝힐 수 있으니 만물을 관조하여 내 몸을 살펴서 다른 사람들과 자신에게 부끄러움이 없기를 바란다. - 이의무 선생 편에서 -

○ "조정의 녹을 먹는 집이 전답을 차지하려 애쓴다면 녹이 없는 자들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나의 녹이 경작을 대신할 만하니, 장래 자손들을 위한답시고 전장을 두는 것이 또한 수고롭지 않겠는가?” “신하로서 관직에 있으면서 녹을 먹으면 마땅히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고 국가를 저버리지 않으며 자기 한 몸을 돌보지 않아야 하거늘, 혹시라도 권세를 빙자하여 사사로운 은혜를 심고 재물을 긁어모아 전원을 장만해서 자손을 위한 계책을 심는 짓은 하지 않는다"라 하였다. - 이행 선생 편에서-

○ 일본은 임난이 끝난지 10년만에 통상을 요구해 욌다. 사신을 보내기로 약속한 지 석달이 지나도록 사신이 오지 않자 약속을 깨어 동래부사 이안눌이 한말이다. "일본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불공대천의 원수이다." - 이안눌 선생 편에서 -

○ 문익점 선생은 위험을 무릅쓰고 목화씨를 몰래 들여와 의류 생활에 혁명을 갖어왔다.
백성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 준 선생의 높은 뜻을 비석에 새겨 알렸다. - 이미 선생 편에서

작가정보

저자(글) 이재운

대덕구청 재난안전관리과장으로 정년퇴직하였다.
대덕대학을 졸업하고 미술공부를 하였다.
대전시청 곤충생태관에서 자연학습강사로 강의를 하고 있다.
역사에 관심을 갖고 역사공부를 틈틈이 하면서 『이의무 후예들의 문학 탐방』을 연구하여 집필하였다.
풀잎곤충1급 예능 보유자이며 후학들을 가르치고 기술 전수를 꾸준히 하고 있다.
현재 세종시 노인문화센터에서 상근하고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이의무 후예들의 문학탐방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이의무 후예들의 문학탐방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이의무 후예들의 문학탐방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