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학 입문 필독서 시리즈 2: 탕두가결
2025년 01월 31일 출간
국내도서 : 2019년 03월 1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21.07MB) | 671 쪽
- ISBN 9788980853441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판매가 4,000원
85% 할인 | 열람기간 : 7일쿠폰적용가 23,94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1. 사군자탕(四君子湯) 2
2.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4
3. 황기별갑산(黃?鼈甲散) 6
4. 진교별갑산(秦?鱉甲散) 8
5. 진교부리탕(秦?扶羸湯) 10
6. 자완탕(紫?湯) 12
7.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14
8. 보폐아교산(補肺阿膠散) 16
9. 소건중탕(小建中湯) 18
10.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 21
11. 독삼탕(獨蔘湯) 23
12. 구록이선교(龜鹿二仙膠) 24
13. 보원탕(保元湯) 26
14. 환소단(還少丹) 28
15. 금궤신기환(金?腎氣丸) 30
16. 우귀음(右歸?) 33
17.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35
18. 칠보미염단(七寶美髥丹) 37
19.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39
20. 호잠환(虎潛丸) 41
21. 하거대조환(河車大造丸) 43
22. 반룡환(斑龍丸) 45
발표지제(發表之劑)
1. 마황탕(麻黃湯) 48
2. 계지탕(桂枝湯) 50
3. 대청룡탕(大靑龍湯) 52
4. 소청룡탕(小靑龍湯) 54
5. 갈근탕(葛根湯) 56
6.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58
7.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60
8. 신출산(神朮散) 62
9. 마황세신부자탕(麻黃細辛附子湯)
65
10.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67
11. 재조산(再造散) 69
12. 마황인삼작약탕(麻黃人蔘芍藥湯)
71
13. 신백산(神白散) 73
14. 십신탕(十神湯) 75
15. 은교산(銀翹散) 77
16. 상국음(桑菊飮) 79
17. 방풍해독탕(防風解毒湯) 81
18. 죽엽류방탕(竹葉柳蒡湯) 83
19. 화개산(華蓋散) 85
공리지제(攻裏之劑)
1. 대승기탕(大承氣湯) 88
2. 소승기탕(小承氣湯) 90
3.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92
4. 목향빈랑환(木香檳?丸) 94
5.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96
6. 온비탕(溫脾湯) 98
7. 밀전도법(蜜煎導法) 100
8. 작약탕(芍藥湯) 102
9. 향련환(香連丸) 104
10. 갱의환(更衣丸) 106
용토지제(湧吐之劑)
1. 과체산(瓜?散) 110
2. 희연산(稀涎散) 113
화해지제(和解之劑)
1. 소시호탕(小柴胡湯) 116
2. 사역산(四逆散) 118
3. 황련탕(黃連湯) 120
4. 황금탕(黃芩湯) 122
5. 소요산(逍遙散) 124
6.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126
7. 육화탕(六和湯) 128
8. 청비음(?脾?) 130
9. 통사요방(痛瀉要方) 132
10. 하인음(何人飮) 134
11. 분돈탕(奔豚湯) 136
12. 달원음(達原?) 138
13. 호금청담탕(蒿芩淸膽湯) 140
표리지제(表裏之劑)
1. 대시호탕(大柴胡湯) 144
2.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146
3. 오적산(五積散) 148
4. 삼황석고탕(三黃石膏湯) 150
5. 갈근황금황련탕(葛根黃芩黃連湯)
152
6. 삼소음(蔘蘇飮) 154
7. 인진환(茵蔯丸) 156
8. 대강활탕(大羌活湯) 158
소보지제(消補之劑)
1. 평위산(平胃散) 162
2. 보화환(保和丸) 165
3. 건비환(健脾丸) 167
4. 삼령백출산(蔘?白朮散) 169
5. 지실소비환(枳實消?丸) 171
6. 별갑음자(鱉甲飮子) 174
7. 갈화해성탕(葛花解醒湯) 176
이기지제(理氣之劑)
1.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180
2. 오약순기탕(烏藥順氣湯) 184
3. 월국환(越鞠丸) 186
4.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189
5. 사칠탕(四七湯) 191
6. 사마탕(四磨湯) 193
7. 선복대자탕(旋復代?湯) 195
8. 정기천향산(正氣天香散) 197
9.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199
10. 정향시체탕(丁香??湯) 201
11. 정천탕(定喘湯) 203
12. 소합향환(蘇合香丸) 205
13. 과루해백탕(?樓?白湯) 207
14. 단삼음(丹蔘飮) 209
리혈지제(理血之劑)
1. 사물탕(四物湯) 212
2.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215
3. 귀비탕(歸脾湯) 217
4. 양심탕(養心湯) 220
5.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222
6.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225
7.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227
8. 해혈방(咳血方) 229
9. 진교백출환(秦?白朮丸) 231
10. 괴화산(槐花散) 233
11. 소계음자(小??子) 235
12. 사생환(四生丸) 237
13.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 239
14. 황토탕(黃土湯) 241
15. 흑지황환(黑地黃丸) 243
16. 전구교독탕(癲狗咬毒湯) 245
17.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247
18.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 249
19. 보양환오탕(補陽還五湯) 251
거풍지제(祛風之劑)
1. 소속명탕(小續命湯) 254
2. 대진교탕(大秦?湯) 256
3. 삼생음(三生飮) 258
4. 지황음자(地黃飮子) 261
5. 독활탕(獨活湯) 263
6. 순풍균기산(順風勻氣散) 265
7. 상중하통용통풍방(上中下通用痛風方) 267
8.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269
9. 소풍산(消風散) 271
10.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273
11. 청공고(淸空膏) 275
12.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 277
13.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279
14. 소활락단(小活絡丹) 281
15. 영양구등탕(羚羊鉤藤湯) 283
16. 진간식풍탕(鎭肝熄風湯) 285
거한지제(祛寒之劑)
1. 이중탕(理中湯) 288
2. 진무탕(眞武湯) 290
3. 사역탕(四逆湯) 292
4. 백통가저담즙탕(白通加?膽汁湯)
294
5. 오수유탕(吳茱萸湯) 296
6. 익원탕(益元湯) 298
7.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300
8. 사신환(四神丸) 302
9.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304
10. 도기탕(導氣湯) 306
11. 산기탕(疝氣湯) 308
12. 귤핵환(橘核丸) 310
13. 삼부탕(蔘附湯) 312
14. 천태오약산(天台烏藥散) 314
15. 흑석단(黑錫丹) 316
16. 반류환(半硫丸) 318
17. 장수산(漿水散) 320
18. 래복단(來複丹) 322
거서지제(祛暑之劑)
1. 삼물향유음(三物香?飮) 326
2.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329
3. 축비음(縮脾飮) 331
4. 생맥산(生脈散) 333
5. 육일산(六一散) 335
리습지제(利濕之劑)
1. 오령산(五?散) 338
2. 소반하가복령탕(小半夏加茯?湯) 341
3. 신착탕(腎着湯) 343
4. 주거환(舟車丸) 345
5. 소착음자(疏鑿飮子) 347
6. 실비음(實脾飮) 349
7. 오피음(五皮飮) 351
8.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353
9. 대귤피탕(大橘皮湯) 355
10. 인진호탕(茵蔯蒿湯) 357
11. 팔정산(八正散) 淋痛尿血 359
12. 비해분청음(??分淸飮) 361
13. 당귀점통탕(當歸拈痛湯) 363
14. 오림산(五淋散) 365
15. 삼인탕(三仁湯) 367
16. 감로소독단(甘露消毒丹) 369
17. 계명산(鷄鳴散) 371
18.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373
19. 이묘환(二妙丸) 376
윤조지제(潤燥之劑)
1. 자감초탕(炙甘草湯) 380
2. 자조양영탕(滋燥養榮湯) 382
3.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384
4. 구즙우유음(?汁牛乳飮) 386
5. 윤장환(潤腸丸) 388
6. 통유탕(通幽湯) 390
7. 수풍순기환(搜風順氣丸) 392
8. 소갈방(消渴方) 394
9. 백복령환(白茯?丸) 396
10. 저신제니탕(?腎薺?湯) 398
11. 지황음자(地黃飮子) 400
12. 소밀고주(?蜜膏酒) 402
13. 청조탕(淸燥湯) 404
14. 사삼맥문동음(沙蔘麥門冬?) 406
15. 청조구폐탕(?燥救肺湯) 408
16. 경옥고(瓊玉膏) 410
17.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412
18. 자신통관환(滋腎通關丸) 414
19. 증액탕(增液湯) 416
사화지제(瀉火之劑)
1. 황련해독탕(黃蓮海毒湯) 420
2. 부자사심탕(附子瀉心湯) 422
3.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424
4. 백호탕(白虎湯) 426
5.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428
6.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430
7. 양격산(凉膈散) 432
8.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434
9. 감로음(甘露飮) 436
10. 청위산(淸胃散) 438
11. 사황산(瀉黃散) 440
12. 전을사황산(錢乙瀉黃散) 442
13. 사백산(瀉白散) 444
14. 사청환(瀉靑丸) 446
15.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448
16. 당귀용회환(當歸龍?丸) 450
17. 좌금환(左金丸) 452
18. 도적산(導赤散) 454
19. 청골산(淸骨散) 456
20. 보제소독음(普濟消毒飮) 458
21. 청진탕(?震湯) 460
22. 길경탕(桔梗湯) 461
23. 청인태평환(淸咽太平丸) 463
24.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465
25. 신이산(辛夷散) 467
26. 창이산(蒼耳散) 469
27. 묘향산(妙香散) 471
28. 자설단(紫雪丹) 473
29. 지보단(至寶丹) 475
30. 만씨우황환(萬氏牛黃丸) 477
31. 옥녀전(玉女煎) 479
32. 청온패독음(淸瘟敗毒飮) 481
33. 화반탕(化班湯) 483
34. 신서단(神犀丹) 484
35. 청호별갑탕(靑蒿鼈甲湯) 486
제담지제(除痰之劑)
1. 이진탕(二陳湯) 488
2. 척탐탕(滌痰湯) 490
3. 청주백환자(靑州白丸子) 492
4.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494
5. 순기소식화담환(順氣消食化痰丸) 496
6. 몽석곤담환(?石滾痰丸) 498
7. 금불초산(金沸草散) 500
8. 반하천마백출탕(半夏天麻白朮湯) 502
9. 상산음(常山飮) 504
10. 절학칠보음(截?七寶飮) 506
11.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508
12. 지미복령환(指迷茯?丸) 510
13. 자금정(紫金錠) 511
14. 소함흉탕(小陷胸湯) 513
15. 십조탕(十棗湯) 515
16.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 517
17. 영계출감탕(?桂朮甘湯) 518
18.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 520
19. 지수산(止嗽散) 522
수삽지제(收澁之劑)
1.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524
2. 복토단(茯?丹) 遺精消渴 526
3. 치탁고본환(治濁固本丸) 528
4. 가자산(訶子散) 530
5. 상표초산(桑??散) 532
6.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534
7.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536
8. 백자인환(柏子仁丸) 538
9. 모려산(牡蠣散) 540
10. 도화탕(桃花湯) 542
11. 위희환(威喜丸) 543
12. 제생오매환(濟生烏梅丸) 545
13. 봉수단(封髓丹) 546
살충지제(殺蟲之劑)
1. 오매환(烏梅丸) 548
2. 화충환(化蟲丸) 550
옹양지제(癰瘍之劑)
1. 진인활명음(眞人活命飮) 554
2. 금은화주(金銀花酒) 556
3. 탁리십보산(托裏十補散) 558
4.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560
5. 탁리정통탕(托裏定痛湯) 562
6.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563
7. 성소환(醒消丸) 565
8. 소금단(小金丹) 566
9. 매화점설단(梅花點舌丹) 568
10. 보안만령단(保安萬靈丹) 570
11. 섬수환(蟾?丸) 572
12. 일립주(一粒珠) 574
13. 육신환(六神丸) 576
14. 양화탕(陽和湯) 578
경산지제(經産之劑)
1. 임신육합탕(姙娠六合湯) 582
2. 교애탕(膠艾湯) 588
3. 당귀산(當歸散) 590
4. 흑신산(黑神散) 592
5. 청혼산(淸魂散) 594
6. 영양각산(羚羊角散) 596
7. 당귀생강양육탕(當歸生薑羊肉湯)
598
8. 달생산(達生散) 600
9. 삼출음(蔘朮?) 602
10. 목단피산(牧丹皮散) 604
11. 고경환(固經丸) 606
12. 백자인환(柏子仁丸) 608
13. 교가산(交加散) 610
14. 천선등산(天仙藤散) 612
15. 백출산(白朮散) 614
16. 죽엽탕(竹葉湯) 616
17. 자완탕(紫?湯) 618
18. 실소산(失笑散) 620
19. 여성산(如聖散) 622
20. 생화탕(生化湯) 624
21. 보산무우방(保?無憂方) 626
22. 태산반석산(泰山磐石散) 628
23. 저당환(抵當丸) 630
24. 안태음자(安胎?子) 632
25. 고충탕(固?湯) 634
유과(幼科)
1. 회춘단(回春丹) 638
2. 포룡환(抱龍丸) 640
3. 비아환(肥兒丸) 642
4. 팔진고(八珍?) 644
5. 보적단(保赤丹) 645
[탕두가결 서문]
고인(古人)이 병을 치료할 때, 약에 군신좌사(君臣佐使)를 두고, 처방에 기우(奇偶)를 두며, 방제(方劑)에는 대소(大小)를 두어, 이로써 탕두(湯頭, 처방의 이름)가 유래하였다.
장중경(張仲景)은 방서(方書)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데, 그가 지은 상한론(傷寒論)에는 태양증(太陽證), 소양증(少陽證), 태음증(太陰證), 소음증(少陰證)을 기록해놓았고, 또 마황증(麻黃證), 계지증(桂枝證), 시호증(柴胡證), 승기증(承氣證) 등이 있다. 후자는 질병을 부를 때 병명(病名)으로 하지 않고, 약재나 처방의 이름으로 병증을 부른 것인데, 이것은 후인들이 편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니 장중경이 탕두(湯頭)를 대강 지었겠는가? 지금 사람들은 증후(症候)를 제대로 변증하지도 않고, 탕두(湯頭)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게 해놓고, 마음가는대로 치료하니, 이는 기구를 만드는데 법도가 없는 것이고, 행진할 때 행렬이 맞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니 질병치료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옛 사람들은 처방을 만들 때 군신좌사로써 기초를 삼고, 배오를 합당하게 하였다. 따라서 옛 사람을 좇아서 치료하는 것이 결국 올바르게 치료하는 것이다. 이 말은 의미가 심히 깊고, 금과옥조(金科玉條) 같아 후인들은 모범을 삼아야한다.
처방을 잘 사용하게 되면, 신명(神明)이 생기고, 처방과 약재를 능수능란하게 변통(變通)하게 된다. 잘 모르는 사람이 언뜻 보면, 약을 쓰는 것이 회음에 배수진을 친 것과 같아서 처방의 의미를 의심하나, 그것은 병법(처방)의 중심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구본(舊本)에는 말이 많고, 잘못된 것이 있으며, 뜻이 뚜렷하지 않아 좋은 판본이라 할 수 없었다. 그래서 다시 편집하였는데, 주병증(主病證)을 가결에 넣고, 사이에 고인(古人)들이 용약(用藥)하고 창방(創方)한 의미를 넣었다. 어떤 병에 어떤 처방이라는 문(門)을 나누어 의미를 갖추었고, 이법(理法)을 갖추었으며 체용(體用)을 온전하게 갖추었다. 천고(千古)의 심전(心傳)이 이에 올곧아졌다.
이는 실로 의문(醫門)의 정종(正宗)이고 사람을 살리는 도(道)이다. 그러나 옛 처방들의 수가 심히 많아서, 다 싣기에 어려움이 있어 자주 사용하는 것만 가려, 200여개의 가결(歌訣)을 실었고, 정방(正方)과 부방(附方)을 모두 합하면 300여개인데 실로 뛰어남이 있다. 대체로 쉬워, 쉽게 알 수 있고, 짧아서 쉽게 외울 수 있다. 이로써 강령을 내걸으니, 능히 처방에 통달할 수 있고 무궁한 변화에 응할 수 있다. 좋은 독자가 뜻을 더함이 옳다.
康熙 甲戌 夏月 休寧 八十老人 汪? 題
강희년 33년 (1694년) 여름 아무 걱정없는 팔순 노인 왕앙이 표제함.
[편저자 서문]
예로부터 의학에 입문하는 의생들에게 가결로 된 책들을 암송하게 했습니다. 가결은 노래이기 때문에 쉽게 외워지는데, 음률에 맞게 쓰였기 때문에 의학서 이전에 예술적 가치도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가결로 된 책들은 한 가지가 아닌데, 대표적인 예는 우리가 흔히 아는 약성가(藥性歌)입니다. 본초학을 가장 쉽게 배우는 방법은 바로 이 약성가를 외우는데 있습니다. 워낙 유명한 약성가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버전(7언시, 8언시)이 존재합니다. 본초학에 약성가가 있다면 방제학에는 왕앙이 지은 탕두가결(湯頭歌訣)이 있습니다. 이 탕두가결은 임상에서 유용한 처방을 가결로 만들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책입니다.
왕앙(汪昻, 1615~1699)은 명나라 말과 청나라 초에 활동한 의학자입니다. 주요 저서로는 본초비요(本草備要)가 있습니다. 주로 활동한 지역은 강서성(江西省)이었는데, 소년 시절부터 고금(古今)의 문헌에 탁월했고, 의학 뿐만 아니라 문학에 능한 것이 여러 가결(歌訣)을 지은 것으로 드러납니다. 왕앙은 30대에 의학에 입문하였는데, 늦은 나이였지만 의학에 정진하여 진단과 변증을 잘 하였고, 저술에 힘썼습니다. 본초비요(本草備要), 의방집해(醫方集解), 탕두가결(湯頭歌訣), 소문영추유찬약주(素問靈樞類纂約注) 등의 좋은 책들을 저술하였습니다.
탕두가결은 그가 1694년도에 지은 책입니다. 당시의 의사들이 증후를 분별하지 않고, 마음대로 치료를 하는 것을 개탄하며, 고인(古人)들이 군신좌사(君臣佐使)의 배합을 맞게 사용한 방법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탕두가결을 잘 살펴보면 이법방약(理法方藥)을 완벽하게 나누어 놓은 것을 살펴볼 수 있는데, 왕앙이 가결의 암기에만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방제 분석과 이해를 통해 방제의 완법(完法)을 추구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탕두가결은 특히 언어가 깔끔하고 운율이 아름다워 현재까지도 의학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
탕두가결은 증보(增補)가 된 것까지 따지면 본방(本方)만 300개가 넘습니다. 부방(附方)까지 따지면 400개가 넘어가기 때문에 모든 가결을 암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자주 사용하는 처방이나 유명한 처방들 위주로 암기를 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특히 이 책은 군신좌사를 명확히 나누었기 때문에 처방에서 군약(君藥)과 신약(臣藥)이 어떻게 조화가 되는지, 그리고 좌사약(佐使藥)이 어떤 식으로 짝을 이루고, 어떤 식으로 배오가 되는지 분석해볼 수 있고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나중에 왕앙과 기존 처방을 뛰어넘어 창방을 하게 될 때 많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아무쪼록 방제학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책에 대한 문의가 있으신 분들은 카카오톡 nicehmchoi로 연락주시면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세밀하게 교정을 봐주고, 아낌없는 조언을 해준 문주호 한의사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한의원 진료실에서 한의사 최 현 명 올림
작가정보
저자(글) 최현명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