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가정보학 문제집
2025년 05월 0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86MB) | 367 쪽
- ISBN 9791199197718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판매가 15,000원
40% 할인 | 열람기간 : 10일쿠폰적용가 22,5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 합격의 확신을 완성하는 최종 점검 필독서
정보가 국력인 시대, 국가정보학 완전 정복의 새로운 기준
공무원 지망 수험생들에게 국가정보학 분야는 그 전문성과 특수성, 생소함 등으로 인해 체계적인 학습과 실력 향상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고, 국가정보학이라는 관문을 성공적으로 돌파하여 최종 합격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줄 『국가정보학 문제집』이 탄생했습니다. 이 문제집은 여러분의 학습 여정에 든든한 나침반이자, 실력을 완성해주는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
국가정보학의 정석 홍윤근 교수의 『국가정보학』과 30년 전문가의 통찰력이 만나다
본 문제집의 가장 큰 강점은 국가정보학 분야의 名著인 홍윤근 교수님의 『최신 국가정보학』을 기본서로 하여, 그 핵심 이론과 원리를 분석하고 문제화했다는 점입니다. 여기에 30여 년간 국가정보의 최전선에서 치열한 경험을 쌓은 저자의 실무적 통찰력이 더해져 다른 어떤 문제집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깊이와 실전 감각을 선사합니다. 단순 이론 암기를 넘어, 실제 현장의 고민과 판단이 녹아든 문제들은 여러분의 응용력과 복합적 사고 능력을 극대화할 것입니다.
이론 학습의 완성부터 막바지 최종 점검까지, 단 한 권으로!
본 문제집은 국가정보학 학습의 전 과정을 지원하며, 특히 학습 마무리 단계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➀ 심층 학습 동반자: 기본서 학습 후 연계된 문제를 풀며 이해도를 즉각적으로 점검하고, 놓치기 쉬운 핵심 포인트를 확실하게 다질 수 있습니다.
➁ 최적의 실력 진단 도구: 난이도 있는 문제들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취약점을 정확히 진단하여 보완할 수 있습니다.
➂ 막바지 최종 마무리: 시험을 앞두고 그동안 학습한 방대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실전 감각을 최고조로 끌어올려 최종 마무리를 하는 데 가장 이상적인 솔루션입니다.
➃ 합격 자신감 충전: 엄선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면서 깊어지는 이해도와 향상되는 문제 해결 능력을 직접 체감하며, '할 수 있다'는 합격의 자신감을 얻게 될 것입니다.
본 문제집은 홍윤근 교수님의 『최신 국가정보학』 기본서 각 장의 핵심 내용에 맞춰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시험 합격을 위한 지식 습득을 넘어, 국가정보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춘 미래의 핵심 인재로 성장하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제1장 정보
제2장 국가정보
제3장 국가정보학
제2편 정보활동론
제4장 수집론
제5장 분석론
제6장 공작론
제7장 방첩론
제8장 정보협력론
제3편 정보기구론
제9장 세계정보기구 개관
제10장 분리형 정보기구
제11장 통합형 정보기구
제4편 정보정책론
제12장 정보실패론
제13장 정보통제론
제5편 한국의 국가정보활동
제14장 한국 정보활동의 역사
제15장 한국 국가정보기구의 특징
제6편 기출 문제
1. 2024년도 9급 기출문제
2. 2024년도 7급 기출문제
3. 2023년도 9급 기출문제
4. 2023년도 7급 기출문제
5. 2022년도 9급 기출문제
6. 2022년도 7급 기출문제
7. 2021년도 9급 기출문제
8. 2021년도 7급 기출문제
제7편 실전 모의고사
1. 실전 모의고사(1회)
2. 실전 모의고사(2회)
3. 실전 모의고사(3회)
4. 실전 모의고사(4회)
5. 실전 모의고사(5회)
6. 실전 모의고사(6회)
001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❶ Agent ❷ Spy ❸ Osint ❹ Humint
(답) ❸번 : Osint는 공개정보를 의미. 나머지는 Humint 종류이다 * 책(기본서) 61p
002
다음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❶ Techint ❷ Imint ❸ Osint ❹ Sigint
(답) ❸번 : Osint는 공개정보를 의미. 나머지는 Techint 종류이다 * 책(기본서) 61p
003
적대국의 철도이동 경로에 감지기를 설치하여 군사장비 등 물동량 등을 수집하는 것은 어떤 수집에 해당하는가?
❶ Imint ❷ Masint ❸ Osint ❹ Sigint
(답) ❹번 : 신호정보에 해당한다 * 책(기본서) 74p
004
다음 중 인간정보(HUMINT)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❶ 기술정보와 비교하여 정보목표를 정하여 목표의 의도와 계획을 파악하고 필요시 허위정보를 유포하여 적을 기만할 수 있다.
❷ 적에게 피포시 생명을 잃게 되는 등 엄청난 손실과 위험이 수반된다.
❸ 첩보 신뢰성 검증이 용이하다..
❹ 비용이 저렴하나 상대국의 방첩 및 보안활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쉽지않다.
(답) ❸번 : 첩보신뢰성 검증이 항상 숙제로 남아있다 * 책(기본서) 62p
005
다음 중 정보 순환단계로 올바른 것은?
❶ 정보요구 -> 첩보수집 -> 분석 -> 생산 -> 배포 -> 피드백
❷ 정보요구 -> 분석 -> 첩보수집 -> 생산 -> 배포 -> 피드백
❸ 정보분석 -> 정보요구 -> 첩보수집 -> 생산 -> 배포 -> 피드백
❹ 정보분석 -> 첩보수집 -> 정보요구 -> 생산 -> 배포 -> 피드백
(답) ❶번 * 책(기본서) 63p
006
다음 정보 순환단계 중 정보요구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정책결정권자 등 정보수요자가 정보기관에 필요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로, 이에 따라 구체적인 첩보수집 부서를 결정하고 정보생산계획을 수립한다.
❷ 정보요구 방법은 자체의 은밀성으로 인해 구두로 행해진다.
❸ 국가정보기구는 모든 정보요구를 충족할 수 없어 통상 정책의 중요성과 긴급성에 따라 PNIO(국가정보목표 우선순위)를 작성한다.
❹ 각 부문정보기관은 PNIO를 바탕으로 정책수립이나 군의 작전계획 등을 고려하여 연간 첩보수집계획을 작성하는데 이를 EEI(첩보기본요소)로 부른다.
(답) ❷번 : 정보요구는 구두 또는 서면으로 이루어진다 * 책(기본서) 65p
022
다음 중 설명이 올바르지 못한 것은?
❶ OSINT(공개출처정보)는 비밀공작활동에 의한 첩보수집의 방향과 목표를 제시해주고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다.
❷ OSINT(공개출처정보)는 정보자체의 기밀성이나 중요성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상대국이 의도적으로 역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분석과 판단에 혼란을 주기도 한다.
❸ 정보공작기관은 OSINT를 통해 충분이 입수, 검증이 가능한 첩보라 하더라도 비밀공작 자산을 집중 투입할 필요가 있다.
❹ MASINT를 수집하기 위해 적대국의 연안에서 멀리 거리를 두고 해상에서 레이더와 같은 여러 장비로 무기의 연습활동이나 그 성능을 탐지하는 경우도 있다.
(답) ❸번 : OSINT를 통해 충분이 입수 가능한 첩보에 대해서는 불필요하게 공작자산을 투입할 이유가 없으며, OSINT를 통해 입수 불가능한 첩보입수에 공자자산을 집중하게 한다 * 책 77~79p
023
다음은 정보 순환단계에 대한 설명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❶ 정보의 순환단계는 분리형 또는 통합형 정보기관에 구성형태나 조직문화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❷ 정보요구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으로 통상 국가정보기구가 주도하여 정책의 중요성과 긴급성에 따라 국가정보목표 우선순위를 작성한다.
❸ 수집방법은 공개출처수집과 비밀출처수집 방법이 있으며, 수집수단은 인적수단과 기술적 수단으로 분류된다.
❹ 생(生)첩보는 보편적으로 단일 출처의 첩보이며, 대부분 분석가는 최적의 정보생산물을 위해서 모든 출처의 첩보를 분석하고 종합하려고 시도한다.
(답) ❶번 : 정보의 순환단계는 정보기관 구성형태나 조직문화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책 63-67p
024
다음 중 정보의 배포 원칙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❶ 적당성의 원칙 : 많은 양의 정보를 줄수록 정책결정에 도움이 된다.
❷ 적시성의 원칙 : 너무 늦거나 빠르지 않고 사용시기에 맞게 제공한다.
❸ 계속성의 원칙 : 배포한 사용자에게 상황변화 등 발생시 추가로 보고해야 한다.
❹ 필요성의 원칙 : 정보사용자가 건전한 정책결정을 하도록 필요한 양만큼 배포한다.
(답) ❶번 : 적당성의 원칙은 너무 많은 정보를 주었을 때 정책 혼선을 줄 수 있어 적당한 정보 양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책 68p
025
다음 중 정보 수집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❶ 인간정보를 일컫는 용어로 스파이, 세작, 간첩, 밀정, 발쇠꾼 등 다양하게 있다.
❷ 인간정보(Humint)는 사람을 활용하여 첩보를 수집하는 활동 자체를 뜻하기도 하고 그러한 활동을 통해 생산된 지식을 의미하기도 한다.
❸ 기술정보(Techint)는 새로운 장비와 시설 개발, 전문인력 지속적 충원, 수집된 기술정보 해석 및 판독인력 교육 등이 필요하며, 인간정보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❹ 기술정보(Techint)를 통해 엄격한 보안조치를 하거나 접근을 거부하는 지역에 대한 첩보를 쉽게 수집할 수 있다.
(답) ❸번 : 기술정보는 인간정보에 비해 어마어마한 비용이 든다 *책 70-72p
026
다음 중 기술정보(TECHINT)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❶ 원격측정정보(TELINT)는 미사일 또는 탄두의 시험비행과정에서 지상으로 보내는 일련의 신호를 중간에서 포착하여 성능과 탄두 크기, 궤적 등을 분석하여 입수되는 자료이다
❷ 전자정보(ELINT)는 단순히 전자파를 방출하는 물체를 탐지하고 나아가 적대국의 레이더 성능과 제원을 파악할 수 있다
❸ 신호정보(SIGINT) 감청을 위한 수집수단으로 지상기지, 외교공관, 인공위성, 정찰항공기, 선박 등이 있다
❹ 영상정보(Imint)는 구름이 끼거나 악천후 날씨, 또는 야간에는 신뢰성 있는 정찰임무 수행이 어렵다
(답) ❹번 : 영상정보는 구름이 끼거나 악천후 날씨, 또는 야간에도 레이더나 적외선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정찰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책(기본서) 70-75p
027
다음 중 공개출처정보(OSINT)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❶ 북한과 같은 폐쇄국가에 대한 정보는 신문, 방송 등의 공개자료가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되나 이들이 공개자료를 통해 기만 정보를 흘릴 수도 있어 항상 경계해야 한다.
❷ 정보공작기관은 공개출처정보를 통해 충분히 입수 가능한 첩보에 대해서는 불필요하게 공작자산을 투입할 이유가 없다.
❸ 국가정보기구는 쉽게 획득이 가능한 공개정보 수집, 분석 등의 기능은 없애고 공개출처를 통해서는 입수불가능 하지만 꼭 필요한 첩보 입수에 공작자산을 집중해야 한다.
❹ 공개출처 정보는 접근이 용이하지만 전세계에 출처가 흩어져 있어 필요하고 유용한 자료를 탐색하고 수집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답) ❸번 : 공개출처정보 수집 기능을 없애서는 안되며 오히려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공개정보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 책 78p
070
다음 중 공작과 관계가 먼 단어는?
❶ 특수 활동
❷ 조용한 대안
❸ 깨끗한 전쟁
❹ 제 3의 선택
(답) ❸번 : 더러운 전쟁이다 * 책 99p
071
다음 비밀공작에 대한 설명 중 사실과 다른 것은?
❶ 첩보수집활동과 방첩활동을 포함한다.
❷ CIA는 “미국 정부의 개입사실을 숨길 수 있는 범위내에서 대외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는 해외 특수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❸ 국가의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한 방법이나 영향력을 행사하여 종국적으로 자국의 상황에 맞게 유리하게 전환시키는 활동이다.
❹ 해외에서 자국의 국익, 국가목표, 외교정책 달성의 임무를 외교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때 병행하여 사용하는 은밀한 방안이다.
(답) ❹번 : 외교적으로 달성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 책 100p
073
다음 중 비밀공작의 특징이 아닌 것은?
❶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치밀한 계획하에 철저한 보안과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
❷ 적국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노출시 엄청난 손실과 위험이 상존한다.
❸ 비합법적 활동을 수반하고 있어 생명의 위협도 따르는 법적 처분을 받을 수 있다.
❹ 적국이 아닌 우방국에서는 노출되어도 활동에 크게 지장을 받지는 않는다.
(답) ❹번 : 우방국이라도 추방될 수 있다 * 책 101p
074
다음 중 비밀공작에 대한 설명으로 사실과 다른 것은?
❶ 美 CIA의 경우 공작관의 비합법적 활동에 대해 대통령과 의회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고 있다.
❷ CIA를 비롯한 대부분 선진정보기관은 자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비밀공작에 대해서 관대하게 허용하고 있다.
❸ 비밀공작에 착수함에 있어 최소한의 윤리적인 기준을 갖추어야 하며 정당한 원인과 의도, 적절한 권위, 식별과 통제 등을 선행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❹ 역사적으로 수많은 국가권력이 비밀공작 활동을 뿌리치지 못한 것은 군사적인 수단에 비해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답) ❷번 : 자국민 대상 비밀공작활동은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 책 101p
075
다음 중 비밀공작에 대한 설명으로 그 내용이 올바르지 못한 것은?
❶ 현대적 의미의 비밀공작은 1940년대 후반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에서 최초로 전개된 것으로 인정된다.
❷ 당시 미국의 비밀공작은 정보기관이 본격적으로 주도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법적인 승인하에 공식적으로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이전 비밀공작과 차이가 있었다.
❸ 비밀공작은 공개외교나 군사력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개입이 노출되는 상황에서 수행되었다.
❹ 미국은 1991년 정보수권법이 제정되면서 비밀공작을 실행하기 전에 대통령의 서명을 의무화하면서 ‘그럴듯한 부인’이 어렵게 되었다.
(답) ❸번 : 공개외교나 군사력 사용과 달리 정부가 개입자체를 감추고 위장된 또는 비밀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 책 101~102p
077
다음 중 공작의 4대 요소가 아닌 것은?
❶ 최고결정권자 ❷ 공작목표 ❸ 공작원 ❹ 공작금
(답) ❶번 : 4대 요소는 공작관, 공작원, 공작목표, 공작금이다 * 책 103p
078
다음 중 공작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공작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인원을 말한다.
❷ 주로 공작활동이 이루어지는 현장에 상주하면서 업무를 수행한다.
❸ 각국은 외교관 신분으로 백색공작관을 재외공관에 파견한다.
❹ 흑색공작관은 적에게 노출시 외교관이나 주재원과 같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
(답) ❷번 : 공작관은 주로 본부에 상주한다 * 책 103p
079
다음 중 공작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❶ 공작관은 성공적 공작수행을 위해 다양한 사고력과 임기응변의 능력이 필요하지만 냉철한 지혜와 다재다능한 능력을 갖출 필요는 없다.
❷ 공작원과 조직의 희생이 크더라도 당초 수립한 공작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❸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운이 매우 좋은 공작관을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❹ 공작을 착수하여 종료될 때 까지 용의주도한 전략과 전술을 구사하여야 한다.
(답) ❹번 : ❶번 냉철한 지혜와 다재다능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❷번 공작원과 조직의 희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❸번 선발요건에 운은 포함되지 않는다 * 책 103p
080
다음 중 공작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공작관의 조종 및 지시를 받아 첩보를 수집하거나 직접 비밀활동에 참여한다
❷ 공작기관에 의해 물색되어 교육훈련을 이수한 후 포섭, 채용되어 임무를 수행한다
❸ 공작원을 포섭하는데 있어 금전제공, 약점조성, 설득 등이 있는데 이중 설득을 통한 포섭은 배반가능성이 높아 선호하지 않는다
❹ 공작운영의 가장 기본적인 자산(Asset)으로, 영어로 Agent라고 한다
(답) ❸번 : 설득에 의한 포섭이 가장 배신가능성이 낮다 * 책 104p
081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❶ 반간(反間)
❷ 역용공작원
❸ 와해공작원
❹ 수집공작원
(답) ❹번 : ❶, ❷, ❸은 동일 공작원이다 * 책 104p
082
다음은 협조자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❶ 공작관에게 포섭되어 활동하는 조직원으로, 의식적 협조를 전제로 한다.
❷ 자발적(walk-in) 조직원도 포함된다.
❸ 단순한 첩보수집, 감시•역감시 활동, 편의제공, 지역환경 조사 등을 수행한다.
❹ 모사드는 사회 각 분야에 현지국적을 가진 약 35,000명의 협조자를 두고 있으며, 이들의 전폭적인 협조를 받고 있다.
(답) ❶번 : 협조자는 의식, 무의식 조력자를 모두 포함한다 * 책 105p
083
다음 공작용어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❶ 협조자 ❷ 공작관 ❸ 제 5열 ❹ 프락치
(답) ❷번 : 나머지는 협조자를 의미한다 * 책 105p
084
다음 중 협조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의식, 무의식 협조자 모두를 포함한다
❷ 장래 협조자로 활용하기 위해 인간관계를 가깝게 하는 활동을 친분조성이라고 한다
❸ 레포가 형성되면 공감하는 분야를 찾아 더욱 친밀한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
❹ 정보기관에서만 활용하며, 민간기업에서 협조인물을 활용하는 경우는 없다
(답) ❹번 : 민간기업에서도 신기술 획득, 입찰 및 합병정보 획득을 위해 협조인물을 관리하거나 비밀리에 취직시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 책 105p
085
다음 중 비밀공작의 순환과정으로 맞는 것은?
❶ 공작지령➛공작계획 수립➛공작원 물색➛여건조성➛포섭➛임무부여➛파견 및 귀환➛디브리핑➛보고서작성➛해고
❷ 공작지령➛공작계획 수립➛여건조성➛공작원 물색➛포섭➛임무부여➛파견 및 귀환➛디브리핑➛보고서작성➛해고
❸ 공작계획 수립➛공작지령➛공작원 물색➛여건조성➛포섭➛임무부여➛파견 및 귀환➛디브리핑➛보고서작성➛해고
❹ 공작계획 수립➛공작지령➛여건조성➛공작원 물색➛포섭➛임무부여➛파견 및 귀환➛디브리핑➛보고서작성➛해고
128
다음은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의 공작원 「엘리 코헨」에 대한 설명이다. 사실과 다른 것은?
❶ 이스라엘과 시리아간 골란고원 분쟁이 심화되면서 모사드는 시리아내 고첩망 부식이 절실해졌다.
❷ 엘리 코헨은 모사드의 백색 공작원으로 물색된 이후 6개월간의 강도 높은 공작교육을 거친 후 아르헨티나 국적의 사업가로 신분세탁을 하였다.
❸ 엘리 코헨은 바트당의 쿠데타를 지원하여 정권내 입지를 확고히 구축하고 시리아 군부와도 밀접한 관계를 형성, 이를 토대로 시리아군 배치도 등 어마어마한 정보를 입수하였다.
❹ 세월이 지나면서 코헨이 공작원칙을 지키지 않는 횟수가 늘어나고 경계심이 흐트러지게 되었으며, 결국 침실에서 모스 부호를 날리다가 시리아 방첩기관의 급습을 받아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답) ❷번 : 흑색 공작원으로 물색되었다 * 책 131-134p
129
다음은 역사상 실제 공작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에 대한 설명이다. 사실과 다른 것은?
❶ 독일정보기관에 포섭되었던 마타하리가 피포된 것은 독일 정보기관이 마타하리가 이중첩자임을 간파하고, 프랑스 정보기관에게 노출된 암호해독 알고리즘으로 암호문을 발신하여 잡히도록 유도한 때문이었다.
❷ 시리아계 유대인 엘리 코헨은 영국 MI6의 흑색 공작원으로 물색된 이후 6개월간 강도 높은 공작교육을 거친 후 아르헨티나 국적의 사업가로 신분세탁을 하였다.
❸ 구(舊) 소련 공작원이었던 조르게는 잦은 첩보보고로 인해 무전통신 횟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일본 방첩기관에게 덜미가 잡혔다.
❹ 피포간첩 깐수는 중국 길림성 연변 출신 조선족 2세로,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차별에 불만을 품고 1964년 북한으로 귀화하여 아랍어 교수로 일하다 공작원으로 채용되었으며, 레바논- 필리핀 국적으로 신분세탁후 국내 입국하였다.
(답) ❷번 : 엘리 코헨은 모사드에 의해 물색되었다 * 책 126-141p
158
다음 방첩업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❶ 능동적 방첩은 외국정보기관, 테러집단, 불순조직 등의 정보공작활동을 무력화•차단, 또는 기만, 침투, 역용하는 대간첩활동을 말한다.
❷ 내부에 침투해 있는 적의 공작망을 와해시키거나 침투공작 또는 역용공작을 추진하는 등의 공작은 수동적 방첩업무에 포함된다.
❸ 대간첩활동은 냉전시대에 미•소 보안기관들이 자주 사용하였던 수법으로, 현재도 방첩의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❹ 통상 방첩역량의 70%는 방첩대상에 대한 목표분석, 감시활동 등 사전활동에 사용되고 나머지 30%는 정보배포, 추방(PNG), 사법처리 등 사후활동에 할애된다.
(답) ❷번 :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 방첩업무이다 * 책 146-148p
159
다음 중 수동적 방첩업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비밀분류 ❷ 신원조사 ❸ 암호자재 보안 ❹ 정보수집 및 분석
(답) ❹번 : 능동적 방첩에 해당한다 * 책 149p
160
다음은 수동적 방첩업무 중 보안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❶ 외국정보기관 또는 적대세력의 정보수집 기도와 활동을 차단 및 제한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제한적인 조치를 말한다.
❷ 우리나라의 보안제도는 1953년 군에서 군사비밀이나 문서 등을 불순분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군사기밀보호규정’과 ‘비밀취급인가규정’을 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❸ 우리나라 보안업무는 국가정보원장에게 입법•사법•행정부에 대한 보안업무 지도조정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❹ 국방부 본부 이외 군사보안은 국방부 장관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있다.
(답) ❸번 : 입법부는 국회사무총장, 사법부는 법원행정처장, 행정부는 국가정보원장에게 보안업무 지도조정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 책 150-151p
161
다음 중 보안업무의 원칙이 아닌 것은?
❶ 알 사람만 알아야하는 원칙 ❷ 정당성의 원칙
❸ 혼합화의 원칙 ❹ 보안과 능률의 원칙
(답) ❸번 : 다른 비밀과 혼합되지 않도록 독립시켜야 한다 * 책 151p
162
다음 중 보안업무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❶ 보안의 대상이 되는 정보를 전달할 때 전파가 꼭 필요한지 또는 피전파자가 반드시 전달받아야 하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❷ 정보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적당한 양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한다.
❸ 내용과 가치의 정도에 따라 다른 비밀과 혼합하여 보관함으로써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
❹ 보안과 능률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양자의 적절한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
(답) ❸번 : 내용과 가치의 정도에 따라 다른 비밀과 혼합되지 않고 독립시켜야 한다 * 책 151p
163
다음 중 문서보안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국가보안의 대상이 되는 문서는 국가기관 또는 국가산하 공공단체, 민간 대기업 등의 공무상 모든 문서, 도서(圖畫), 사진, 지도, 암호자재, 전자기록 등을 말한다
❷ 우리나라 1급비밀 취급인가권자와 1급 및 2급 소통용 암호자재 취급 인가권자에는 국가인원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국방부장관이 지정하는 각 군 부대장 등이 포함된다
❸ 비밀문서는 꼭 필요한 부수만큼 생산해야 하며, 비밀등급도 과대 또는 과소하지 않게 분류하고 배포선을 제한해야 한다
❹ 비밀표시가 되어있지 않은 문서라도 국가기밀에 해당하는 문서는 보안의 대상이 된다
(답) ❶번 : 국가보안 대상에는 민간 대기업은 포함되지 않는다 * 책 151p
164
다음 중 보안업무규정 제 9조(비밀•암호자재취급 인가권자)에서 적시한 우리나라 1급 비밀 취급인가권자와 1급 및 2급 소통용 암호자재 취급 인가권자가 아닌 인물은?
❶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❷ 국회의장
❸ 감사원장
❹ 국무조정실장
(답) ❷번 : 국회의장은 적시되어 있지 않다 * 책 152p
165
다음 중 서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❶ 1급 비밀 : top secret
❷ 2급 비밀 : secret
❸ 3급비밀 : confidential
❹ 대외비 : internal
(답) ❹번 : 대외비는 confidential 또는 restricted, sensitive라고 한다 * 책 152p
166
다음 중 인원보안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는 것은?
❶ 비밀을 취급하는 중요인물을 통제하고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한 안전방책이다.
❷ 비밀취급인가 권한을 가진 사람에 대한 보안의식 심사, 지도 및 감독,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❸ 인원보안 관리수단에는 철저한 신원조사, 감독과 평가를 통한 동향 파악, 보안교육, 비밀누설을 않겠다는 서약서 징구 등이 있다.
❹ 국가정보원은 인원보안을 위해 공직자 전체를 대상으로 신원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답) ❹번 : 국가정보원은 국가안전보장에 한정된 국가기밀 취급 공직자에 대한 신원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책 153p
167
다음 중 시설보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국가안보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시설에 대한 위해 및 탐지 행위로부터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제반 대책과 활동이다.
❷ 시설보안의 수단으로 보안방벽과 보안구역 지정이 있다.
❸ 보호구역중 통제구역은 비인가자가 주요시설 및 3급비밀 소통용 암호자재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받아 출입해야 하는 지역이다.
❹ 보안방벽은 암벽 등 자연방벽, 자물쇠 잠금 등 인공방벽, 경비견 등 동물방벽, 경보장치 등의 전자전기 방벽 등을 활용한다.
(답) ❸번 : 통제구역은 비인가자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다 * 책 153-154p
180
다음은 우리나라의 대테러 활동에 관한 설명이다. 사실과 다른 것은?
❶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인구과 경제의 중요기능이 집중되어 있고 불법체류 외국인의 증가와 북한과 근접해 있는 등으로 테러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❷ 반면 해외에서는 우리나라의 국제적 지위 향상으로 인해 테러의 표적이 되는 경우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❸ 우리나라는 1982년 국가대테러활동지침(대통령 훈령 292호)을 제정하였지만 법률적 근거가 없어 테러혐의자에 대한 자금추적 등 대응활동에 한계가 나타나자 2016년 3월 마침내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 제정되었다.
❹ 테러방지법은 국가정보원에 대테러관련 정보수집권과 추적권을 부여하고 있다.
(답) ❷번 : 테러의 표적이 되는 경우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책 163-164p
181
다음 중 우리나라 대테러방지법(2016년 3월 제정)의 내용과 다른 것은?
❶ 국가정보원에 대테러관련 정보수집권과 추적권을 부여하고 있다.
❷ 국무총리 산하에 대테러 활동에 관한 중요정책을 심의•의결하기 위한 국가테러대책위원회를 설립•운영한다.
❸ 국가테러대책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테러대책 실무위원회와 관계기관의 장으로 하여금 테러전담기구를 설치•운영하도록 하였다.
❹ 대테러 업무수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권이나 국민의 기본권 침해 방지를 위해 국민권익위원회 산하에 대테러 인권보호관 1명을 두었다.
(답) ❹번 : 국가테러대책위원회 산하에 인권보호관을 두었다 책 164p
182
다음은 사이버테러 대응활동에 관한 설명이다. 사실과 다른 것은?
❶ 오늘날 사이버공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엄청난 분량의 첩보 때문에 적의 정보수집을 막기위한 활동은 점점 쉬워지고 있다.
❷ 사이버테러는 사이버공간에서 정보통신망 자체를 공격 대상으로 하는 불법행위로, 해킹, 바이러스 유포, 메일 폭탄, 전자기적 침해장비 등을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과 정보통신망 공격행위를 말한다.
❸ 사이버테러는 개인, 기업체, 국가기관의 전산망 교란 및 마비와 함께 정보자료를 절취, 훼손, 왜곡시켜 경제적 피해와 국가안보까지 위협하고 있다.
❹ 사이버공간은 비대면성, 경비의 저렴성, 정보보안의 취약성, 통신의 쌍방향성, 활용의 편의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답) ❶번 : 적의 정보수집을 막기위한 활동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책 165p
199
다음은 국제범죄 대응활동에 대한 설명이다. 사실과 다른 것은?
❶ 세계 각국은 국제범죄활동에 대한 공조 필요성을 절감하고 UN을 주축으로 1961년 ‘마약에 대한 단일협약’, 1971년 ‘정신성물질에 대한 협약’, 1988년 ’마약 및 향정신성물질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유엔협약‘ 등 3개 국제협약이 체결되었다.
❷ 1998년 UN산하에 ’마약 및 국제범죄 대응기구(UNODC)’가 설립되어 국제범죄에 대한 국제적 공조와 협력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었다.
❸ 2000년 제 55차 UN 총회에서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유엔협약’이 체결되었다.
❹ 우리나라는 경찰이 중심이 되어 국내외 정보수사기관과 긴밀한 정보네트워크를 통해 국제범죄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배포하면서 대응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답) ❹번 :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대응하고 있다 * 책 174-175p
200
세계 각국은 국제범죄활동에 대한 공조 필요성을 절감하고 UN을 주축으로 1961년 이후 3개 국제협약을 체결하면서 국제공조체계가 구축되게 되었다. 다음 중 3개 국제협약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❶ 마약에 대한 단일협약
❷ 정신성 물질에 대한 협약
❸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유엔협약
❹ 마약 및 향정신성물질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유엔협약
(답) ❸번 : ❸번은 2000년 11월에 체결된 협약으로 국가정으로, 문제에서 말한 3개 협약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책 174-175p
233
정보협력은 크게 정보자료 교환, 수집수단 협력, 합동공작 협력 등 3가지 형태가 있다. 다음 중 그 설명이 틀린 것은?
❶ 정보기관은 우호적 관계의 상대기관이나 정보협정을 체결한 타국의 정보기관에게 자신의 기관이 수집한 자료중 신뢰성이 낮거나 검증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자체 공작보안을 유지한다.
❷ 대부분 정보자료는 출처 보호를 위해 일정 부분 각색되어 정보출처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한 후에 제공한다.
❸ 통상 정보협력에 사용되는 정보자료는 휴민트로 수집한 자료 뿐만 아니라 테킨트로 수집한 자료도 포함된다.
❹ 특정분야에 대한 개별국가간의 정보수준과 수집방법의 차이 등에 따라 타국의 정보기관에 대해 특정 정보나 기술 지원과 협력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답) ❶번 : 타국의 정보기관에게 자신의 기관이 우월성을 가지고 수집한 첩보를 제공한다 * 책 192p
국가정보학 실력 완성의 결정적 한 수, 『국가정보학 문제집』
국가정보학은 그 중요성만큼이나 학습의 깊이와 넓이를 요구하는 만만치 않은 과목이다. 수험생들에게는 방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소화하고, 이를 실전 문제 해결 능력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핵심 과제다. 이러한 여정에서 홍진호/홍윤근 저자의 『국가정보학 문제집』은 이론 학습을 공고히 하고 실력을 최종 점검하는 데 필수적인 나침반 역할을 한다.
이 문제집의 가장 큰 가치는 국가정보학의 정석으로 인정받는 홍윤근 교수의 저서 『최신 국가정보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30년 현장 전문가의 실무적 통찰력을 정교하게 결합했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한 이론 요약이나 기출 변형을 넘어서서 기본서의 핵심 원리를 꿰뚫는 동시에, 실제 정보 현장에서 요구되는 판단력과 응용력까지 길러주는 '살아있는 문제'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책은 기본 이론 학습을 마친 후 자신의 이해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심화 학습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수험생에게, 그리고 시험을 앞두고 최종적으로 실력을 다지고 정리하려는 수험생 모두에게 최적의 선택이다. 각 장별로 엄선된 문제들은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을 명확히 파악하고, 남은 기간 효과적인 마무리 학습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무엇보다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 자체가 실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곧 합격에 대한 강력한 자신감의 원천이 된다.
결론적으로, 이 『국가정보학 문제집』은 홍윤근 교수의 『최신 국가정보학』을 학습하는 이들에게는 빼놓을 수 없는 '필수 동반자'이자, 국가정보학 실력의 완성을 목표로 하는 모든 수험생에게 가장 확실한 '최종 점검 도구'이다. 이론과 실전의 완벽한 조화를 통해 합격 가능성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싶다면, 이 문제집은 단연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홍진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졸업
중국 북경 수도경제무역대학 어학 연수
한국외국어대학 중국어과 단기 연수
국가정보원 근무
정보교육원 고위안보정책과정 이수
공군 학사장교(85기)
현)글로벌컨설팅네트워크 대표
현)사이버범죄예방 강사
저자(글) 홍윤근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러시아 상트 빼째르부르그대학 어문학부 수료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72기) 수료
건국대학교 대학원 안보재난관리학과 졸업(정책학 박사)
국가정보원 근무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안전관실 안전매니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건국대학교 안보재난관리학과 겸임교수
현)한반도안보전략연구원 이사 겸 연구위원
현)한국국가정보학회 이사
현)신한대학교 특임교수
러시아를 알자, 러시아&루스끼, 서울: 하이비젼(2018)
북한의 재난관리 - 실태와 개선, 서울: 스페이스메이커(2020)
북한주민의 재난 및 재난관리에 대한 연구, INSS, 국가안보와 전략(2020)
북한의 재난과 남북협력 방향, 한국환경연구원(2020)
북한 자연재해 자료구축과 협력 전략, 공저(강택구 외) : 한국환경연구원(2021)
북한의 재난관리체계 개선과 지속가능한 협력전략, 한반도안보전략연구원(2022)
드론 무인멀티콥터 조종 개론, 서울; 도서출판 지수명(2023)
어느 교장선생의 가서, 서울 : 도서출판 지수명(2024)
북한의 국내외 북한 통계 진단과 품질 개선방안(공저), 서울 : 박영사(2024)
최신 드론조종 국가자격 필기시험(전자책), 서울 : 도서출판 지수명(2024)
2025 개정 최신 국가정보학, 도서출판 지수명(2024) 등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