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경계
2025년 03월 28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06월 3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24.18MB) | 350 쪽
- ISBN 9791167429742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7,0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0세기 말까지 대중문화를 선도해간 지역은 주로 유럽과 미주였다. 그러나 최근 20, 30년을 돌아볼 때 이러한 현상은 분명히 달라졌다.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인도의 영화산업, 그리고 K–Pop과 같은 한류의 각 장르는 세계인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다. 이제 아시아는 세계 대중문화의 중심이 되고 있다. 특히 한류의 약진에 관한 뉴스를 접하다보면 한국인으로서 크나큰 자긍심을 갖게 된다. 1990년대에는 일본의 대중음악(J–Pop)이 아시아권에서 유행했고 당시에는 꽤 대단하다고 봤었다. 하지만 지금의 K–Pop만큼 전 세계를 휩쓸지는 못했던 것 같다.
한류는 영화, 드라마, 음악, 문학 등 예술(예능) 장르뿐만 아니라 패션, 뷰티, 의료, 음식 등 생활 문화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다. 20세기에는 늘 세계 대중문화의 ‘변두리’에서 ‘중심’을 동경하는 입장이었던 한국의 대중문화가 21세기 한류의 대유행과 함께 이렇게까지 주목을 받으리라고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거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언가 분명히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매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지금까지 한류에 관한 많은 논의가 경제적 타산이나 자국중심주의적 사고에 머무르는 일이 없었는지 이제는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는 2019년도부터 ‘아시아 대중문화와 한류의 상호 이해에 기반한 인문학 교육’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아시아대중문화 시리즈〉는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를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의미 있는 학술적 성과를 담아내어 학계와 사회 일반에 널리 공유할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나아가 대중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에서의 논구와 사유를 통해 자문화와 타문화의 조화로운 공존을 꾀하고, 보다 풍요로운 인류의 문화적 자산을 가꾸어가는 데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한류에서 ‘K–’의 사회문화적 담론−초국가적 근접성으로의 전환 / 진달용
Ⅰ. 머리말
Ⅱ. 한류(Korean Wave)에서 K의 의미
Ⅲ. 한류의 성장
Ⅳ. 한류에 K는 있는가
Ⅴ. 한류에서 K의 의미−초국가적 근접성을 중심으로
Ⅵ. 맺음말
일본 내 한류(K–컬처) 현상과 인문학적 관점 / 김경호
Ⅰ. 머리말
Ⅱ. 인문학의 개념과 관점
Ⅲ. 일본 내 한류(K–컬처) 현상
Ⅳ. K–컬처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분석
Ⅴ. 맺음말
전근대 한일 대중문화와 K–인문학 고전 / 김학순
Ⅰ. 한류 콘텐츠로서의 K–고전
Ⅱ. 〈대장금〉의 인기와 K–고전의 출발
Ⅲ. 조선과 에도의 대중문화와 고전소설
Ⅳ. 전근대 한일의 상업 출판문화
Ⅴ. 전근대 한일의 의약 문화
Ⅵ. 일본의 K–고전 수용과 방향성
한국문학의 인문학적 물음과 일본어 번역−이청준의 「소리」를 찾아서 / 정백수
Ⅰ. 「소리」를 찾아서
Ⅱ. 「진정한 말」을 찾아서
2부 K–컬처의 수용과 변용
K–Pop의 대만 진출 과정과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 / 이하나
Ⅰ. 신(新)한류 시대, 대만에서의 K–Pop 열풍
Ⅱ. ‘한류(韓流)’ 용어의 기원과 K–Pop의 대만 진출 과정
Ⅲ. 대만 청년세대의 한류(韓流) 인식과 K–Pop 수용의 양상
Ⅳ. 한국과 대만의 성숙한 문화 교류를 위하여
K–Pop이 대만 청소년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영자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맺음말
K–컬처 세대로서 일본 Z세대의 가능성−한국 X세대와의 비교를 통해 / 조규헌
Ⅰ. 머리말
Ⅱ. J–컬처와 한국 X세대
Ⅲ. K–컬처와 일본 Z세대
Ⅳ. 맺음말
한류 역사드라마의 일본 수용 양상과 탈정치성 / 김욱
Ⅰ. 한일문화교류와 역사 콘텐츠의 월경 가능성
Ⅱ. 일본 역사드라마 장르의 전개 양상과 인식의 변화
Ⅲ. 한국 역사드라마의 수용양상과 ‘퓨전 사극’의 인기
Ⅳ. 한류 역사드라마가 시사하는 콘텐츠로서의 ‘역사’
3부 한류의 확장과 K–컬처의 미디어
미디어를 통한 일본의 한류 붐과 K–여성 문학의 확장 / 이가현
Ⅰ. 머리말
Ⅱ. 일본의 한류 붐−〈겨울연가〉에서 『82년생, 김지영』까지
Ⅲ. 일본의 페미니즘 담론−90년대 여성 작가 붐과 그 이후
Ⅳ. 현대 한국의 여성 문학−일상의 직설적 표현
Ⅴ. 맺음말
미디어의 관점에서 바라본 일본 한류의 역동성 / 이석
Ⅰ. 머리말
Ⅱ. 1차・2차 한류의 미디어
Ⅲ. 일본과 한국의 인스타그램 이용 현황
Ⅳ. 인스타그램과 대중성의 관계
Ⅴ. 3차 한류 팬덤의 정치성
Ⅵ. 맺음말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유럽의 한류 수용과 지속가능성 / 김새미
Ⅰ. 머리말
Ⅱ. 신한류 정책과 유럽에서의 한류 연구
Ⅲ.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한류 콘텐츠 생산과 문화생산자의 대응
Ⅳ. 유럽에서의 한류 수용과 확장성
Ⅴ. 맺음말
작가정보
(陳達鏞, Jin, Dal–Yong)
캐나다 Simon Fraser University 특훈교수, 커뮤니케이션 전공. 대표 저서로는 『Understanding Korean Webtoon Culture: Transmedia Storytelling, Digital Platforms, and Genres』(2022), 『한류신화에 관한 10가지 논쟁』(2022), 『Artificial Intelligence in Cultural P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Platforms』(2021), 『Globalization and Media in the Digital Platform Age』(2019),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2016) 등이 있다.
(金敬鎬, Kim, Kyung–Ho)
일본 메지로대학(目白大学) 외국어학부 한국어학과 교수, 한일대조어학(음운론, 번역학, 표기) 전공. 대표 논저로는 『국가주의를 넘어선 일본과 한국의 공생과 교류(国家主義を超える日韓の共生と交流)』(일본 明石書店, 2016.6), 「한글 표기를 통한 한자어 어휘 교육에 관한 제언」(『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Applied Linguistics』 3, 2022.2), 「세계지도(지리서)의 외국지명 한자표기에 관한 서지적 고찰」(『아시아문화연구』 45,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12) 등이 있다.
(金學淳, Kim, Hark–Soon)
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일본 고전문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세계 SF 콘텐츠, 도래하지 않은 현실로서의 미래』(북마크, 2024.1), 『일본인의 질병 대책과 의료 현장』(지식공간, 2023.2), 「에도시대 과학기술과 SF적인 상상력−<가라쿠리> 기술의 발전과 로봇의 시작」(『일본어문학』 99, 한국일본어문학회, 2023.12), 「에도문학에 잠입한 닌자−변신하는 닌자와 진화하는 인술」(『일본문화학보』 96, 한국일본문화학회, 2023.2) 등이 있다.
(李荷娜, Lee, Ha–Na)
대만 중국문화대학교(中國文化大學)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문화콘텐츠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공자서사(孔子敍事)로서 공문도통(孔門道統)의 서술 체제와 창작의 의미 고찰」(『Journal of Korean Culture』 47,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11),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 考察을 통한 孔子의 位相 硏究」(『동아시아고대학』 46,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6), 「『論語』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양상과 가능성」(『民族文化』 46, 한국고전번역원, 2015.12) 등이 있다.
(梁英子, Yang, Young–Ja)
대만 실천대학교(實踐大學) 국제기업관리학과(國際企業管理學系) 조교수, 중국학 전공. 대표 논저로는 공저 『ASIA CULTURE LAB 1−신과 인간』, 『ASIA CULTURE LAB 2−삶과 문화』(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8)와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분석−대만 실천대학교 『기초 한국어』 과목 이수자를 중심으로」(『중국인문과학』 83, 중국인문학회, 2023.4), 「台灣地方節慶活動經濟效益之研究−以 2019 高雄內門宋江陣為例」(『중국인문과학』 74, 중국인문학회, 2020.4) 등이 있다.
(曺圭憲, Cho, Kyu–Heon)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한일문화콘텐츠전공 교수, 일본학 전공. 주요 논문으로는 「탈(脫)한류 하는 일본 속 K컬처: 문화수용에서 문화융합으로」(『아시아리뷰』 13,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3.12), 「뉴미디어 시대의 한일 간 문화융합 프로세스에 관한 일고찰: 소확행과 일본 여행의 접점」(『일본연구』 39,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3.1) 「3, 4차 일본 한류 현상의 특수성 고찰」(『일본문화연구』 77,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1), 「일본 크리에이티브 산업과 도시문화콘텐츠의 관계성: 도쿄브랜드를 중심으로」(『외국학연구』 51, 중앙대학교외국학연구소, 2020.1) 등이 있다.
(金旭, Kim, Wook)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최근 논저로는 「전시기 조선・대만의 어용 문인단체와 대동아문학자대회」(『일본문화연구』 90,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4), 「NHK 대하드라마 <료마전(龍馬伝)>과 일본의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인식: 시바 료타로 <료마가 간다(竜馬がゆく)>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일본연구』 39,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 2023.2), 공저로 「The Ethical Conflicts in Views of a Colony from Japanese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in the 1920s: Waves of the Peninsula in the Keijo Daily News」(『Forum for world literature studies』 15–5, Knowledge Hub Publishing Company Limited(Hong Kong), 2023.12) 등이 있다.
(李碩, Lee, Seok)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조교수, 일본 서브컬처 전공. 대표 논저로는 『시코쿠에서 일본을 읽다』(공저, yeondoo, 2023.5), 「1970년대 전환기의 일본 록 음악에 관한 고찰−록 밴드 핫피엔도와 캐롤에 주목하여」(『일본학』 56호, 동국대학교일본학연구소, 2022. 4), 「1990년대 한국의 『은하영웅전설』 수용에 관한 고찰−1990년대 초반 베스트셀러와의 비교 연구」(『현대소설연구』 87,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9) 등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