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노동법

임종률 , 김홍영 지음
박영사

2025년 02월 28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2월 1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5.54MB)   |  760 쪽
ISBN 9791130389837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49,000원

쿠폰적용가 44,1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편 총 론

제1장 노동법의 의의_3

Ⅰ. 노동법의 개념 3
Ⅱ. 시민법과 노동법 4
1. 시민법과 노동문제 4
2. 노동법의 생성ㆍ발전 5
Ⅲ. 우리나라 노동입법 과정 7
1. 초기의 노동입법 7
2. 권위주의 시대의 노동입법 8
3. 민주화시대의 노동입법 9
4. 세계화시대의 노동입법 10
Ⅳ. 노동법의 체계 13
Ⅴ. 노동법의 법원 15
1. 법원의 의의와 종류 15
2. 법원 상호간의 충돌 17


제2장 헌법의 노동조항_19

Ⅰ. 근로의 권리 19
1. 권리의 주체와 법적 성격 19
2. 권리의 내용 20
3. 국가유공자 등의 우선적 고용 20
Ⅱ. 근로조건의 법정 21
1. 기본원칙 21
2. 필수적 입법 21
Ⅲ. 노동3권 22
1. 개관 22
2. 단결권 25
3. 단체교섭권 28
4. 단체행동권 30
5. 노동3권의 제한 33


제3장 노동법상 권리ㆍ의무의 주체_35

Ⅰ. 근로자의 개념 35
1. 노동법상 근로자 개념의 유형 35
2. 근로자 개념에 관한 쟁점 38
Ⅱ. 사용자의 개념 44


제2편 집단적 노동관계법

제1장 노동조합_49

제1절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49
제2절 노동조합의 보호요건 52
Ⅰ. 실체적 요건 52
1. 적극적 요건 52
2. 소극적 요건 57
Ⅱ. 절차적 요건 60
1. 설립신고제도 60
2. 노동조합의 설립 절차 61
3. 법외노조 67
제3절 노동조합의 운영 70
Ⅰ. 민주적 운영과 행정감독 70
1. 단체자치와 민주적 운영 70
2. 행정감독 71
Ⅱ. 조합원 지위의 취득과 상실 72
1. 조합원자격 72
2. 조합원 지위의 취득 73
3. 조합원 지위의 상실 74
4. 조직강제 75
Ⅲ. 노동조합의 기관 79
1. 총회와 대의원회 79
2. 임원 84
3. 회계감사원 85
Ⅳ. 노동조합의 통제 86
1. 통제권의 근거와 한계 86
2. 통제처분의 대상 86
3. 통제처분의 내용과 절차 89
Ⅴ. 노동조합의 재정 90
1. 재정운영의 자주성ㆍ투명성 90
2. 조합비 징수와 재정지출의 한계 91
3. 노동조합의 재산 92
Ⅵ. 노동조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제공 94
1. 노동조합 사무소 94
2. 조합비공제 협정 및 연대금 협정 95
3. 전임자 및 근로시간면제자 96
제4절 노동조합 조직의 변동 101
Ⅰ. 합병 101
Ⅱ. 분할 101
Ⅲ. 조직형태 변경 102
Ⅳ. 해산 104


제2장 단체교섭 _106

제1절 단체교섭의 의의 106
Ⅰ. 단체교섭의 방식 106
Ⅱ. 단체교섭의 개념 107
Ⅲ. 단체교섭의 기능과 법적 보호 108
제2절 단체교섭의 주체 109
Ⅰ. 단체교섭의 당사자 109
1. 근로자측 교섭당사자 109
2. 사용자측 교섭당사자 110
Ⅱ. 단체교섭의 담당자 112
1. 본래의 교섭담당자 113
2. 수임자 115
Ⅲ. 복수노조와 교섭창구 단일화 117
1. 교섭창구 단일화 의무 117
2. 교섭창구 단일화의 예비적 절차 118
3.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119
4. 교섭대표노조의 지위 121
5. 교섭단위 122
6. 공정대표의무 123
제3절 단체교섭의 대상 126
Ⅰ. 교섭대상의 의의와 범위 126
1. 교섭대상의 의의 126
2. 교섭대상의 일반적 범위 127
Ⅱ. 교섭대상에 관한 쟁점 129
1. 특정 근로자 개인에 관한 사항 129
2. 집단적 노동관계에 관한 사항 129
3. 권리분쟁사항 131
4. 경영사항 132
5. 인사사항 134
제4절 단체교섭의 방법 136
Ⅰ. 성실교섭 의무 136
1. 법적 근거 136
2. 성실교섭 의무의 내용 136
Ⅱ. 단체교섭의 절차와 태양 138


제3장 단체협약 _139

제1절 단체협약의 의의와 성립 139
Ⅰ. 단체협약의 의의 139
1. 단체협약의 기능 139
2. 단체협약의 법적 취급 139
3. 단체협약의 법적 성질 140
Ⅱ. 단체협약의 성립 142
1. 당사자 사이의 교섭상 합의 143
2. 합의 내용의 문서화 144
3. 체결 전후의 절차 145
제2절 단체협약의 효력 146
Ⅰ. 규범적 효력 146
1. 규범적 효력의 내용 146
2. 규범적 부분 148
3. 단체협약보다 유리한 근로계약 등의 효력 148
4. 근로조건 불이익변경과 규범적 효력 150
Ⅱ. 채무적 효력 151
1. 이행의무 151
2. 평화의무 155
3. 채무적 부분 158
Ⅲ. 단체협약의 문제 협약 158
1. 인사절차 협정 159
2. 정리해고 및 채용 관련 협정 161
3. 쟁의행위 관련 협정 163
제3절 단체협약의 적용 165
Ⅰ. 단체협약의 본래적 적용범위 165
Ⅱ.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 166
1. 사업장단위 일반적 구속력 166
2. 지역단위 일반적 구속력 172
제4절 단체협약의 실효 175
Ⅰ. 단체협약의 실효 사유 175
1. 유효기간의 만료 175
2. 단체협약의 해지 177
3. 그 밖의 실효 사유 178
Ⅱ. 단체협약 실효 후의 근로조건 179


제4장 쟁의행위 및 조합활동 _182

제1절 쟁의행위의 개념 182
Ⅰ. 개념의 다의성 182
1. 노동조합법상의 쟁의행위 182
2. 정당성이 문제되는 쟁의행위 184
Ⅱ. 관련 문제 185
1. 개별법규에 따른 예외적 해석 185
2. 준법투쟁 186
제2절 쟁의행위에 대한 노동조합법의 규율 188
Ⅰ. 쟁의행위 보호법규 188
1. 정당한 쟁의행위의 보호 188
2. 쟁의 기간에 대한 보호 189
Ⅱ. 쟁의행위 제한법규 192
1. 쟁의행위의 기본적 제한 192
2. 주체 및 목적에 따른 제한 192
3. 방법에 따른 제한 194
4. 절차에 따른 제한 202
제3절 쟁의행위의 정당성 207
Ⅰ. 정당성의 의의 207
Ⅱ. 쟁의행위의 주체와 정당성 208
Ⅲ. 쟁의행위의 목적과 정당성 210
1. 정치파업 210
2. 동정파업 211
3. 교섭대상과 정당한 쟁의목적 212
4. 쟁의목적에 관한 그 밖의 문제 214
Ⅳ. 쟁의행위의 시기ㆍ절차와 정당성 215
1. 쟁의행위의 시기와 단체교섭 215
2. 노동조합법상 절차 규정의 위반 216
Ⅴ. 쟁의행위의 방법과 정당성 217
1. 소극적 방법 217
2. 공정성의 원칙 218
3. 재산권과의 균형 219
4. 인신의 자유ㆍ안전의 보호 220
제4절 위법한 쟁의행위와 법적 책임 223
Ⅰ. 손해배상 책임 223
1. 단체책임 223
2. 개인책임 224
3. 단체책임과 개인책임의 경합 225
Ⅱ. 징계책임 226
Ⅲ. 형사책임 227
제5절 쟁의행위와 근로계약관계 230
Ⅰ. 쟁의행위 참가자의 근로계약관계 230
1. 파업 참가자의 임금 230
2. 태업 참가자의 임금 233
3. 쟁의행위 종료와 직장복귀 234
4. 파업 기간과 출근율 235
Ⅱ. 근로희망자의 근로계약관계 235
1. 근로희망자의 임금 235
2. 근로희망자와 휴업수당 236
제6절 조합활동 238
Ⅰ. 조합활동의 의의 238
Ⅱ. 조합활동의 정당성 239
1. 조합활동의 주체 239
2. 조합활동의 목적 240
3. 조합활동의 방법 241
제7절 직장폐쇄 247
Ⅰ. 직장폐쇄의 의의 247
1. 직장폐쇄의 개념 247
2. 직장폐쇄의 인정 근거 247
Ⅱ. 직장폐쇄의 정당성의 한계 248
1. 대항성 248
2. 방어성 249
Ⅲ. 정당한 직장폐쇄의 효과 252
1. 임금지급 의무의 면제 252
2. 직장점거의 배제 253


제5장 노동쟁의의 調整 _254

Ⅰ. 쟁의조정의 의의 254
1. 쟁의조정의 유형 254
2. 쟁의조정제도의 기초개념 255
3. 쟁의조정의 기본원칙 258
Ⅱ. 공적 調整의 절차 260
1. 調停 260
2. 조정전지원 및 사후조정 263
3. 중재 264
4. 긴급조정 268
Ⅲ. 사적 조정ㆍ중재 269


제6장 부당노동행위제도 _271

제1절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271
Ⅰ. 구제제도와 처벌제도 271
Ⅱ. 우리 제도의 특색 272
Ⅲ. 제도의 목적 273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요건 274
Ⅰ. 부당노동행위의 주체ㆍ객체 및 유형 274
1. 부당노동행위의 주체 274
2. 부당노동행위의 객체 278
3.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278
Ⅱ. 불이익취급 279
1. 근로자의 정당한 단결활동 등 280
2. 사용자의 불이익처분 283
3. 이유로 하는 것 284
Ⅲ. 반조합계약 287
1. 두 가지 반조합계약 287
2. 유니언숍 협정 289
Ⅳ. 단체교섭거부 289
Ⅴ. 지배개입 290
1. 지배개입의 형태 291
2. 지배개입의 의사 294
3. 복합적 형태의 지배개입 295
4. 운영비원조 298
제3절 부당노동행위의 행정적 구제 301
Ⅰ. 초심의 절차 301
1. 구제의 신청 301
2. 조사와 심문 303
3. 판정 및 화해 304
Ⅱ. 재심의 절차 310
1. 재심의 신청 310
2. 재심의 판정 및 그 밖의 절차 310
Ⅲ. 행정소송 311
1. 행정소송의 제기 311
2. 이행명령 312
3. 본안 심리 및 판결 313
제4절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제재와 민사구제 316
Ⅰ. 부당노동행위의 형사제재 316
Ⅱ. 부당노동행위의 민사구제 317
1. 민사구제의 법적 근거 317
2. 민사구제의 독자성 318
3. 단체교섭거부와 민사구제 319
4. 지배개입과 손해배상 321


제7장 교원ㆍ공무원의 단결활동 _322

Ⅰ. 교원의 단결활동 323
1. 노동조합의 조직과 운영 323
2.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325
3. 노동쟁의 調整과 쟁의행위 327
Ⅱ. 공무원의 단결활동 328
1. 노동조합의 조직과 운영 328
2.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330
3. 노동쟁의 調整과 쟁의행위 331


제3편 개별적 노동관계법


제1장 근로기준법 _335

Ⅰ. 노동관계의 특성과 근로기준법 335
1. 노동관계의 특성 335
2. 노동보호법과 근로기준법 336
Ⅱ. 근로기준법의 적용 336
1. 적용범위 336
2. 영세사업장의 부분적 적용 339
3. 국가 등에 대한 적용 340
4. 적용대상으로서의 근로자와 사용자 340
Ⅲ. 근로기준법의 실효성 확보 343
1. 근로계약에 대한 효력 343
2. 벌칙 343
3. 근로감독관 344
4. 감독행정에 관련된 사용자의 의무 345


제2장 노동관계 규율의 기초 _348

제1절 근로계약 348
Ⅰ. 근로계약의 의의 348
Ⅱ. 근로계약 당사자의 권리ㆍ의무 349
1. 근로계약상의 주된 의무 349
2. 근로계약상의 부수적 의무 351
3. 근로자의 취업 청구권 354
제2절 취업규칙 356
Ⅰ. 취업규칙의 의의와 법적 성질 356
1. 취업규칙의 의의 356
2.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 357
Ⅱ. 취업규칙의 작성ㆍ변경 359
1. 작성 359
2. 의견청취 360
3. 불이익변경 362
4. 신고 369
5. 감급의 제한 369
Ⅲ. 취업규칙의 효력 370
1. 근로계약에 대한 효력 370
2. 취업규칙의 주지와 효력 370
3. 법령ㆍ단체협약 위반의 취업규칙 371
제3절 노동관계의 기본원칙 373
Ⅰ. 근로조건 대등결정의 원칙 373
Ⅱ. 평등대우의 원칙 374
1. 성차별 금지 375
2. 국적 등에 따른 차별 금지 379
Ⅲ. 공민권 행사 보장의 원칙 381
Ⅳ. 인격 존중의 원칙 382
1. 강제근로의 금지 382
2. 폭행의 금지 383
3. 기숙사 생활의 보호 383
4. 성희롱의 방지 383
5. 직장내 괴롭힘 금지 387
Ⅴ. 취업 개입 금지의 원칙 388
1. 중간착취의 배제 388
2. 기피 명부의 금지 389


제3장 노동관계의 성립 _390

Ⅰ. 채용의 자유 390
1. 채용 준비 단계 390
2. 채용 마무리 단계 391
Ⅱ. 근로계약 체결에 따르는 사용자의 의무 392
1. 근로조건의 명시 392
2. 위약금 예정의 금지 395
3. 강제저축의 금지 397
Ⅲ. 채용내정 398
1. 채용내정의 의의 398
2. 채용내정의 취소 399
Ⅳ. 시용 400
1. 시용의 의의 400
2. 본채용의 거절과 시용기간 경과 401


제4장 노동관계의 전개 _403

제1절 임금 403
Ⅰ. 임금의 의의 403
1. 임금의 개념 403
2. 평균임금 406
3. 통상임금 409
Ⅱ. 임금 수준의 보호 416
1. 최저임금 416
2. 휴업수당 420
3. 성과급근로자의 보장급 424
Ⅲ. 임금의 지급 424
1. 전차금 상계의 금지 424
2. 임금 지급의 방법 425
3. 비상시의 선지급 432
4. 도급사업 근로자의 임금 보호 432
5. 임금채권의 시효 434
제2절 근로시간과 휴식 435
Ⅰ. 법정근로시간 435
Ⅱ. 법정근로시간의 유연화제도 436
1. 탄력적 근로시간제 436
2. 선택적 근로시간제 442
Ⅲ. 연장근로 445
1. 통상적 연장근로 446
2. 특별연장근로 449
3. 특례업종 연장근로 451
Ⅳ. 근로시간의 산정 452
1. 기본 원칙 452
2. 외근 간주시간제 455
3. 재량근로 간주시간제 457
Ⅴ. 휴게시간 및 휴일 458
1. 휴게시간 458
2. 휴일 460
Ⅵ. 가산임금과 관련제도 465
1. 가산임금 465
2. 보상휴가 468
3. 포괄임금제 469
Ⅶ. 연차휴가 470
1. 휴가권의 발생 470
2. 휴가의 시기 476
3. 휴가의 사용 479
4. 휴가의 대체ㆍ소멸ㆍ사용촉진 481
Ⅷ. 근로시간 규정의 적용 제외 484
1. 대상 근로자 484
2. 적용 제외 규정의 범위 486
제3절 안전과 보건 487
Ⅰ. 산업안전보건법 487
Ⅱ. 안전ㆍ보건 관리체제 487
Ⅲ. 유해ㆍ위험 방지조치 등 488
Ⅳ. 근로자의 보건관리 490
제4절 재해보상 493
Ⅰ. 재해보상제도의 의의 493
1. 근로기준법의 재해보상 제도 493
2. 산재보험법 493
Ⅱ. 업무상 재해 495
1. 업무상 재해의 개념 495
2. 업무상 재해의 인정 기준 497
Ⅲ. 재해보상의 종류와 내용 504
1. 산재보험법에 따른 보상 504
2. 근로기준법에 따른 보상 508
Ⅳ. 재해보상과 손해배상 510
1. 사용자의 고의ㆍ과실에 따른 재해 510
2. 제3자의 고의ㆍ과실에 따른 재해 513
Ⅴ. 재해보상의 실시 514
1. 산재보험법의 급여 실시 514
2. 근로기준법상의 보상 실시 518
제5절 이동인사ㆍ휴직ㆍ징계 520
Ⅰ. 전직 520
1. 전직의 의의 520
2. 전직의 제한 520
Ⅱ. 전출과 전적 524
1. 전출ㆍ전적의 의의 524
2. 전출ㆍ전적의 제한 524
3. 전출ㆍ전적 후의 노동관계 526
Ⅲ. 휴직과 직위해제 527
1. 휴직 527
2. 직위해제 530
Ⅳ. 징계 532
1. 징계의 의의 532
2. 징계의 제한 533
제6절 사업주변경과 노동관계 543
Ⅰ. 사업주변경과 노동관계의 승계 543
1. 사업의 합병과 분할 543
2. 사업의 양도 544
3. 용역업체 변경과 고용승계기대권 548
Ⅱ. 노동관계 승계의 효과 548
1. 개별적 노동관계 548
2. 집단적 노동관계 550


제5장 노동관계의 종료 _551

제1절 해고 551
Ⅰ.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의 금지 552
1. 정당한 해고 사유의 유형 553
2. 취업규칙의 해고 사유 556
Ⅱ. 정리해고의 제한 558
1. 정리해고 제한의 의의 558
2. 정리해고의 요건 558
3. 그 밖의 제한과 사후조치 566
Ⅲ. 해고 시기의 제한 567
1. 해고 금지 기간 567
2. 해고 시기 제한의 예외 569
Ⅳ. 해고의 예고 570
1. 해고예고 의무 570
2. 해고예고 의무의 예외 572
Ⅴ. 해고의 서면 통지 573
1. 서면 기재 573
2. 통지의 방법과 시기 574
3. 위반의 효과 575
제2절 해고 이외의 노동관계 종료사유 576
Ⅰ. 사직 및 합의해지 576
1. 사직 통고와 합의해지 청약 576
2. 사직원의 효력 발생 577
Ⅱ. 계약 기간 만료 및 정년 도달 579
1. 계약 기간의 만료 579
2. 정년의 도달 583
Ⅲ. 당사자의 소멸 585
제3절 노동관계 종료에 따른 법률관계 587
Ⅰ. 퇴직급여 587
1. 퇴직급여법 587
2. 퇴직급여제도의 설정ㆍ변경 588
3. 퇴직금제도 590
4. 퇴직연금제도 598
Ⅱ. 퇴직에 따른 금품 청산 601
1. 청산 기한 601
2. 특별지연이자 602
Ⅲ. 임금 청산의 특례 603
1. 임금채권의 우선변제 603
2. 임금채권 보장 606


제6장 연소자와 여성 _609

Ⅰ. 연소자의 보호 609
1. 근로계약 체결에 대한 보호 609
2. 업무에 대한 보호 611
3. 근로시간에 대한 보호 612
Ⅱ. 여성의 보호 613
1. 업무에 대한 보호 613
2. 근로시간에 대한 보호 614
3. 생리휴가 617
4. 출산전후휴가와 유산ㆍ사산휴가 618
5. 남녀고용평등법상의 모성보호 620
Ⅲ.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 622
1. 육아휴직 622
2. 육아기 근로시간단축 624
3. 가족돌봄휴직과 가족돌봄휴가 625
4. 가족돌봄 등 목적의 근로시간단축 627


제7장 비정규근로자 _628

Ⅰ. 기간제근로자 628
1. 기간제법 628
2. 기간제근로자의 사용 기간 629
3. 차별의 금지 632
4. 그 밖의 보호 634
5. 기간제 근로계약의 종료 635
Ⅱ. 단시간근로자 636
1. 단시간근로자와 적용 법령 636
2. 근로기준법 적용의 특례 636
3. 기간제법에 따른 특별 보호 638
Ⅲ. 사내도급근로자 640
Ⅳ. 파견근로자 641
1. 적용 법률 641
2. 근로자파견의 개념 642
3. 파견의 규제 644
4. 파견근로자의 근로조건 650


제8장 부당해고등의 구제 및 차별의 시정 _653

Ⅰ. 부당해고등의 구제 653
1. 구제신청 653
2. 조사와 심문 654
3. 판정 655
4. 구제명령 등의 확정과 효력 658
5. 임금상당액과 중간수입 660
6. 관련 민사소송의 쟁점사항 662
Ⅱ. 차별의 시정 665
1. 시정신청 665
2. 조사ㆍ심문과 조정ㆍ중재 666
3. 판정 667
4. 절차의 실효성 제고 669


제4편 노동법의 그 밖의 부문


제1장 노동위원회제도 _673

Ⅰ. 노동위원회제도의 의의 673
Ⅱ. 노동위원회의 종류와 관할 674
1. 위원회의 종류 674
2. 위원회의 업무와 관할 674
Ⅲ. 노동위원회의 조직 675
1. 노동위원회 위원 675
2. 위원장ㆍ상임위원ㆍ조사관 677
Ⅳ. 노동위원회의 업무 처리 677
1. 전원회의와 부문별 위원회 677
2. 위원회의 사건 처리 680
3. 재심과 행정소송 681


제2장 노사협의제도 _683

Ⅰ. 노사협의제도의 의의 683
1. 제도의 성립 과정과 성격 683
2. 단체교섭과 노사협의 684
Ⅱ. 노사협의회의 설치와 구성 685
1. 노사협의회의 설치 685
2. 노사협의회의 구성 686
Ⅲ. 노사협의회의 임무와 운영 687
1. 노사협의회의 임무 687
2. 노사협의회의 운영 689
3. 고충처리 691


제3장 실업급여제도 _693

Ⅰ. 고용보험법의 의의 693
1. 고용보험법의 목적과 적용 693
2. 고용보험 사업 694
Ⅱ. 실업급여 695
1. 구직급여의 수급자격 695
2. 구직급여의 지급 696
3. 실업급여 수급권의 보호 등 698


사항색인 699
판례색인 707

머리말(제22판)

제21판을 발간한 지 벌써 1년이 다 되었다. 그 사이에 개정된 법령이 적지 않다. 첫째, 임금체불에 대한 규율을 강화하도록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었다(반의사불벌죄의 제외, 재직 중 체불에 대한 특별지연이자, 체불액의 3배 배상, 상습체불사업주의 보조금 참여나 공사입찰 제한 등). 둘째, 저출생의 사회 문제에 대응하여 육아 지원을 확대하고자 근로기준법ㆍ남녀고용평등법ㆍ고용보험법 등이 개정되었다(난임치료휴가, 임신기 근로시간단축, 출산전후휴가, 배우자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단축, 연차휴가 산정 등). 셋째, 산업안전보건법은 폭염ㆍ한파에 대한 보건상의 조치를 추가했다. 이에 따라 제22판에서는 이들 개정 법령들의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했다.
지난 1년 동안에도 많은 노동판례들이 쏟아져 나왔다. 제22판에서는 중요한 판례(통상임금의 개념 및 판단기준, 플랫폼 종사자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에서 상시 근로자 수의 판단 시 사업의 기준, 하수급인 근로자의 임금 보호에서 최초 도급인의 배제, 임금 보호를 위한 건설업 특례의 강행규정성, 근로시간 적용제외인 관리ㆍ감독 근로자의 의미, 작업중지권 행사에 대한 불리한 처우 금지, 일ㆍ가정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배려의무, 기간제근로자의 근로조건 서면명시, 대학 시간강사의 초단시간 근로자성 여부, 단시간근로자의 차별 금지, 복지포인트 미배정이 계속되는 차별인지 여부, 불법파견 직접고용 시의 근로조건, 부당해고 구제신청에서 피신청인의 추가ㆍ변경 및 제척기간, 부당대기발령의 구제이익, 노사협의회의 협의사항인 근로자 감시 설비의 의미 등)의 소개에 소홀함이 없도록 노력했다. 특히 통상임금의 개념 및 판단기준에 관해 종전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 11년 만에 고정성 기준을 폐지하는 새로운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내려졌는데 이를 반영하여 해당 부분을 새로이 서술했다.
한편, 이 책으로 강의하면서 여러 곳에서 설명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부분들을 발견했고 이에 대해 적절히 수정했다. 법령 개정의 취지와 판례를 반영하여 저자의 종전 견해를 수정도 했다(작업중지권 행사에 대한 불리한 처우 금지, 불법파업 직접고용 시 근로계약 기간의 설정 등). 또한 한국노동법학회가 핵심판례로 새로이 추가한 판결에 대해서도 이를 표시하였다(임금성 판단, 도급적 노무자의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성,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 등).
앞으로도 법령ㆍ판례의 변화 및 학계의 연구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이 책을 보완ㆍ수정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제22판에 대해서도 김홍영 전자우편(hongyoung@skku.edu)을 통한 독자 여러분의 기탄없는 질의나 의견 또는 비판을 환영한다.
제22판의 출간을 위하여 정성껏 작업에 임해주신 박영사 편집부 이승현 차장님을 비롯하여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25년 1월 21일
임종률ㆍ김홍영

작가정보

저자(글) 임종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숭실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 독일 Frankfurt 대학 객원교수
한국노사관계학회 회장, 한국노동법학회 회장
노사관계개혁위원회 상임위원, 노사정위원회 위원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 역임
현: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저  서
쟁의행위와 형사책임, 경문사, 1982
집단적 노사자치에 관한 법률(공저), 1992

저자(글) 김홍영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충남대학교 교수,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역임
현:성균관대학교 교수

저  서
로스쿨 노동법(공저), 2011
로스쿨 노동법 해설(공저), 2011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노동법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노동법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노동법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