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도론으로 닦는 보살의 육바라밀
2025년 03월 10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07월 0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21.16MB) | 498 쪽
- ISBN 9791160161151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13,86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중도실상中道實相의 이치 해석.
대승의 육바라밀 실천으로
반야공般若空 체득하여 중도실상 요달!
대승경전, 본생담, 설화, 전설 등을
반야공사상으로 회통한 불교 백과사전!
용수보살전(龍樹菩薩傳) 16
『고승전』이 전하는 구마라집 전기 23
대지석론서(大智釋論序) 41
대지론초서(大智論抄序) 45
용수보살 화엄경(華嚴經) 약찬게 52
『대지도론』 용수보살 게송(偈頌) 58
대지도론(大智度論) 60
제1부 부처님을 이야기하다 60
부처님이 반야바라밀을 설하신 인연 60
부처님의 몸은 헤아릴 수 없다 62
부처님의 생로병사는 중생을 위한 방편이다 64
유마거사가 아난존자를 막은 뜻 66
무량한 중생만큼 무량한 부처님 68
부처님을 만나뵙는 방법 70
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보지 않은 것이다 72
부처님 뵙는 공덕이 중요한 이유 74
일체지를 갖춘 분이란 어떤 사람인가? 76
한 사람이 모든 법을 알 수 있는가? 79
부처님 말씀은 제일의실단(第一義悉檀)이다 82
결코 논파할 수 없는 이론 91
모든 진실한 말씀은 부처님의 법과 통한다 95
“이와같이 내가 들었다[如是我聞]”의 뜻 97
부처님 말씀은 어떻게 경전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나? 99
부처님과 아난의 인연 112
왕사성(王舍城)의 유래 118
기사굴산(영취산)의 유래 122
마하가섭이 기사굴산에서 미륵부처님을 기다리신 인연 124
부처님께서 결가부좌 하시는 이유 127
부처님이 미소 지으신 이유 129
부처님이 쉰 음식을 받고 혀를 내미신 까닭 131
지혜제일 사리불 135
사리불이란 이름을 얻은 인연 140
무쟁삼매제일 수보리 144
사리불과 비둘기 146
습기가 남지 않은 이를 부처님이라 한다 148
사리불에게 남은 습기 149
필릉가바차가 사과하면서도 꾸짖다 152
소를 기르듯 선한 법을 기른다 153
필요하기에 말하고, 필요하지 않기에 말하지 않는다 157
청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다 160
공덕이 부족했던 수발타가 열반을 이루다 162
애욕은 모든 번뇌의 왕이다 166
영혼 또한 생멸이다 167
도는 눈이 아니라 지혜로 얻는 것이다 168
부처님의 세 가지 비밀함 169
병을 얻는 인연 171
부처님이 항상한 몸(常身)을 나타내신 이유 174
부처님의 명호 176
부처님 명호에 대한 게송 184
제2부 보살마하살을 이야기하다 188
보살은 누구인가? 188
보살은 물러남이 없다 190
보살이 물러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모습인가? 192
보살의 불가사의한 중생심 193
보살은 반드시 서원(誓願)을 세운다 198
보살은 부처님 세계를 생각한다 199
서원이라는 마부가 복덕의 소를 인도한다 200
보살은 온화하고 친절하다 202
보살은 거짓이 없기에 믿음을 얻는다 203
보살은 게으름이 없다 204
보살은 이양과 명예를 떠났다 205
보살은 법보시를 즐긴다 207
보살은 인연의 법을 말한다 209
보살은 법을 설하되 바라는 바가 없다 211
보살은 법을 설하되 두려움이 없다(四無所畏) 213
공덕과 지혜로 두려움을 물리친다 214
보살은 깊은 법인을 건넜다 216
보살은 모든 마사(魔事)를 초월했다 218
보살은 일체의 업장(業障)에서 해탈했다 221
보살은 뜻에 걸림이 없다 224
보살은 얽매임이 없다 225
보살은 중생을 여실하게 제도한다 227
지혜롭지 못했던 지혜보살 문수사리 228
보살의 세 가지 공덕 233
다라니란 무엇인가? 234
다라니의 종류 236
삼매란 무엇인가? 239
염불삼매 - 부처님을 생각하여 삼매에 들다 242
보살은 등(等)과 인(忍)을 얻는다 244
보살은 대인(大忍)을 성취했다 247
보살은 5통(通)을 얻는다 249
보현보살을 만난 인연 252
지극한 마음으로 공경하고 삼가라 254
보살이 부처님께 공양하는 이유 256
제3부 6바라밀을 이야기하다 258
1. 보시바라밀 258
시비왕의 보시바라밀 258
보시의 공덕 264
종자를 심기도 전에 싹을 틔우다 267
위마라 보살이 자신에게 시주하게 된 이유 269
몸을 등심지로 보시하여 법을 얻다 276
법보시란 무엇인가 278
법보시로 입에서 향기가 나다 280
사리불이 보시바라밀을 이루지 못했던 이유 284
마(魔)의 보시, 부처의 보시 285
보시바라밀을 원만히 한다는 것 287
세 가지 보시 291
보시는 보시 자체를 버리는 것 293
재물ㆍ베푸는 자ㆍ받는 자가 모두 없다 294
시체와 몸이 바뀌어도 나라 할 수 있는가? 296
보시가 보시바라밀을 낳는다 298
보시가 지계바라밀을 낳는다 300
보시가 인욕바라밀을 낳는다 302
보시가 정진바라밀을 낳는다 303
보시가 선정바라밀을 낳는다 309
보시가 반야바라밀을 낳는다 312
2. 지계바라밀 315
지계바라밀이란 좋은 행의 길로 나아가는 것 315
수타수마왕의 지계바라밀 317
교만으로 복덕의 병을 깨뜨리다 320
생명을 소중히 하라[不殺生] 321
훔치지 말라[不偸盜] 326
삿된 음행을 하지 말라[不邪婬] 329
거짓말을 하지 말라[不妄語] 332
술을 마시지 말라[不飮酒] 339
1일 지계의 공덕과 즐거움 341
독룡의 지계 344
지계가 6바라밀을 낳는다 346
3. 인욕바라밀 352
인욕바라밀이란 무엇인가 352
제바달다가 인욕하지 못한 과보 354
내가 아닌 공덕에 대한 공양 357
욕망에 대한 인욕 359
찬제 선인의 인욕 362
보살의 생인(生忍) 364
겁쟁이란 비난보다 참지않는 죄가 더 크다 368
법인(法忍)이란 법을 잘 감당하는 것 371
환경에 대한 인욕(外法忍) 373
번뇌에 대한 인욕(內法忍) 376
보살은 번뇌를 인욕하되 번뇌를 끊지 않는다 378
번뇌도 삿되지 않고 공덕도 묘하지 않다 380
세상의 끝을 알기 전에 독화살부터 뽑아라 383
반야바라밀에 머물러 인욕바라밀을 구족한다 386
4. 정진바라밀 391
정진 바라밀 391
게으름은 모든 공덕을 태우는 큰불이다 393
모든 도와 공덕이 정진으로 얻어진다 396
욕망에서 정진으로, 정진에서 불방일로 399
스스로 정진하여 과보를 얻는다 400
정진의 다섯 가지 모습 402
정진에서 정진바라밀로 나아가라 403
정진바라밀이 6바라밀을 낳는다 405
몸의 정진, 마음의 정진 407
사슴왕의 몸 정진 409
꿩의 몸 정진 412
대시보살의 정진바라밀 413
5. 선정바라밀 426
선정바라밀을 닦는 이유 426
상사리 선인의 선바라밀 428
선정바라밀을 얻는 방편 429
색을 물리침 431
소리를 물리침 432
냄새를 물리침 433
맛을 물리침 435
닿음(접촉)을 물리침 437
다섯 가지 가림[5蓋]을 제거하라 445
다섯 가지 지지[支]를 성취하라 452
선정에 집착하여 삵이 된 선인(仙人) 454
삼매로 유희자재하다 455
선바라밀은 어지럽지 않고 맛 들이지 않는 것 457
선정의 게송 458
6. 반야바라밀 461
반야바라밀이란 무엇인가 461
보살은 반야바라밀의 행을 실천한다 463
보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이유 465
머무르지 않는 법으로 반야바라밀에 머문다 467
공(空)에 대한 열 가지 비유 468
(1) 환의 비유 468
(2) 아지랑이의 비유 471
(3) 물속 달의 비유 471
(4) 허공의 비유 472
(5) 메아리의 비유 474
(6) 건달바성의 비유 475
(7) 꿈의 비유 477
(8) 그림자의 비유 478
(9) 거울의 비유 479
(10) 변화(化)의 비유 481
반야바라밀은 모든 지혜를 포섭한다 483
매 순간이 반야바라밀 486
6바라밀은 반야바라밀과 한 법이다 489
반야바라밀의 게송 491
☞ 용수보살은 남천축의 범지(梵志: 지금의 브라만) 종족 출신이다. 태어날 때부터 뛰어나게 총명하여 어떤 일이든 다시 알려 주지 않아도 되었다. 젖먹이일 때 범지들이 4베다 경전을 외우는 것을 들었는데, 경전마다 4만 게송이 되는 것을 다 외우고 그 뜻을 모두 깨달았다고 한다. 약관(弱冠)의 나이에도 여러 나라에 이름을 드날릴 만큼 독보적인 인물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천문ㆍ지리ㆍ도위(圖緯)ㆍ비참(秘讖) 및 온갖 도술에 이르기까지 못하는 것이 없었으니, 오늘로 치자면 여러 과학 지식에도 해박한 사람이었다. (16p)
☞ 어느날 용수가 고요한 수정방(水精房)에 홀로 있었는데, 대룡(大龍)보살이 이 같은 모습을 보고 안타깝고 가엾게 여겨 곧바로 그를 맞아 바다로 들어가 궁전에 있는 칠보장(七寶藏)을 열고 칠보 화함(華函)을 꺼내 모든 방등(方等)의 심오한 경전과 한량없는 묘한 법을 그에게 주었다.
용수가 이를 받아 읽은 지 90일 만에 통하여 이해함이 매우 많았으며, 그 마음속 깊이 보배로운 이익을 체득(體得)하게 되었다.
용이 그 마음을 알고는 물었다.
“경을 두루 보았습니까?”
용수가 대답했다.
“그대가 준 함에 들어 있는 경은 한량없어 다할 수 없이 많습니다. 내가 읽은 것만 해도 염부제의 열 배입니다.”
용이 말했다.
“내 궁중에 있는 경전은 이곳에 있는 경전보다 많아 셀 수도 없습니다.”
용수는 이미 모든 경전의 여여한 모습을 증득하고 무생(無生)에 깊이 들어가 두 가지 인(忍)을 구족하였다. 이에 용이 다시 그를 남천축으로 돌아가게 하였으니, 이때부터 용수는 불법을 크게 홍포하고 외도를 꺾어 조복시켰으며, 대승을 널리 밝히는 우바제사(優波提舍) 10만 게(偈)를 지었다.
또 『장엄불도론(莊嚴佛道論)』 5천 게와 『대자방편론(大慈方便論)』 5천 게, 『중론(中論)』 5백 게를 지어 대승의 가르침이 천축에 크게 행해지도록 했다. 또한 『무외론(無畏論)』 10만 게를 지었는데, 『중론』은 그 안에서 나온 것이다. (19p)
제2의 석가, 용수보살의 최상승 반야법문과
세간에서 육바라밀 실천으로 깨닫기
‘제2의 석가’라 하는 인도의 고승 용수보살은 일생동안 대승불교에 대한 수많은 저술을 편찬하였기에 “천부논주(天部論主)”라고 불린다. 그의 많은 논서 중 『대지도론』은 가장 중요한 논서라고 할 만하다. 구마라집이 무위(武威)에서 17년간 영어의 생활을 마치고 장안(長安)에 온 후, 소요원(逍遙園)에서 이 경을 역출하였다(402-405). 『대지도론』은 본래 『마하반야바라밀경』에 대한 주해를 목적으로 쓰여진 논서이다. 불교사에 있어 『대지도론』은 용수보살이 저술한 『백론』, 『중론』, 『십이문론』과 함께 “4론”으로 꼽히며, 그의 사상의 핵심인 중관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 논서이다.
『대지도론』은 일찍부터 중국 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에서 널리 유행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유럽에서도 학계에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으로 번역하여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논서가 대승의 요체인 반야에 대해서 상세하고도 명쾌하게 해설하고 있으며, 그밖에도 초기불교에 관한 중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로 『대지도론』이 구마라집에 의해 역출되자마자 승단의 주의를 끌었으며, 승조, 혜원, 도안, 천태 지의, 영유, 지거, 길장, 혜사, 법늠, 승간, 담영, 영견 등 종파를 막론한 역대 고승대덕들이 모두 주석서를 내어 『대지도론』이 동아시아 불교에 미친 영향이 얼마나 지대했는지를 방증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그 중 현재에 온전히 전하는 것은 혜영(慧影)의 『대지도론소』 7권본 뿐이다.
『대지도론』에서 강설하는 주요 내용은 중도실상(中道實相)에 관한 것이다. 즉, 세간과 출세간, 또는 속제와 진제의 2제(諦)로 실상의 이치를 해석하는 것이며, 이것은 반야의 지혜를 통해서만이 요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반야공(般若空)의 지혜는 대승보살도에 입각한 육바라밀을 실천함으로써 비로소 체득됨을 강설하고 있다. 이것은 용수보살 이전에 인도불교에서 불교의 주체, 사상, 교단 등 모든 방면에서 봉착했던 한계를 단박에 넘어서는 새로운 장이 열리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지도론』이 다루는 내용은 매우 광범위하여, 불교의 여러 학설, 사상, 설화, 역사, 지리, 승가제도 등 다방면에서 고루 심도있는 논의를 하고 있다. 인용한 경전과 논서를 봐도, 원시불교경전 및 각종 부파불교의 저술에서부터 반야경전을 비롯한 화엄, 법화, 정토, 보적 등의 다양한 대승경전을 두루 포섭하고 있다. 심지어 당시에 민간에 전하던 본생담, 설화, 전설 등을 모두 반야공의 사상으로 회통시켜 대승불교 및 고대인도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대지도론』은 “불교의 백과사전”이자 “논장의 왕”이라 칭송받고 있다.
『대지도론』에 의하면 출가한 스님들이 삼보인 이유는 중생으로부터 떠나 오직 “깨달음만을 추구”하기 때문이 아니라,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너무나도 잘 알려진 『반야심경』의 “색즉시공 공즉시색, 색불이공 공불이색”이라는 문구는 『대지도론』의 종지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경문으로, 이에 근거한다면 세간의 법과 출세간의 진리가 둘이 아님을 깨닫는 것이 바로 대지도(大智度)의 길이다. 그렇다면 깨달음의 장소는 이른바 “속세”라는 공간을 떠난 그 어딘가가 아닌 바로 현실의 생활 속에 있는 것이며, 대지도의 길을 걷는 주체 역시 세속의 현장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중생인 것이다.
그러나 『대지도론』은 세속의 중생이 부처님의 “일체지(一切智)”와 합치되기 위해선 “보살”로 거듭나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보살로서 살아가는 방법론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 등 6바라밀의 실천이다. 용수는 이 6바라밀을 실천할 것을 단지 기계적으로 주창하는 것이 아니라, 왜 6바라밀을 실천해야 하는지, 각각의 덕목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상세하면서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지도론』에서는 6바라밀 가운데 특히 보시의 덕목을 설명하는 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는데, 보시란 “남”을 위하는 것이 아닌 “나”를 위한 것이며, 보시를 통해 궁극적으로 나와 너라는 아상(我相)을 버리게 됨으로써 반야의 눈을 뜨게될 수 있음을 강설한다.
용수보살은 또한 결국 피안으로 이르는 이 여섯 가지 덕목이 각자 개별적인 것이 아님을 밝힌다. 보시를 닦음으로써 나머지 다섯 가지 덕목이 공고해지고, 지계를 닦음으로써 나머지 다섯 가지 덕목이 공고해진다. 반야바라밀은 6바라밀의 궁극적 목적이기도 하지만, 또한 나머지 다섯 바라밀의 실천 속에서 매 순간 습응되며, 역으로 다섯 바라밀의 실천을 돕는다. 6바라밀은 여섯이지만, 동시에 하나인 것이다.
6바라밀의 뜻은 무량하게 크고 깊지만, 그 실천은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다. 『대지도론』에서 밝히는 이치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덧 부처님의 도를 향해가며 느끼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되며, 진정한 삶의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아무쪼록 많은 불자들이 『대지도론』을 통하여 6바라밀을 삶 속에 잘 녹이고, 구경(究竟)에 부처님이 말씀하신 상락아정(常樂我淨)의 일미(一味)를 맛보시기를 기원한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