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원론
2025년 02월 28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1월 2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6.29MB) | 637 쪽
- ISBN 979113038864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9,7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절 인간과 사회 1
제2절 사회와 규범 2
Ⅰ. 질서와 법 2
Ⅱ. 규범의 당위성 4
제3절 법과 현실 5
제4절 죄와 벌 7
Ⅰ. 법적 책임 7
Ⅱ. 법과 형벌 9
제5절 법 지 식 10
Ⅰ. 법 지식의 필요성 10
Ⅱ. 법률과 판례의 검색 13
제2장 법의 본질 ㆍ 16
제1절 법의 개념 16
Ⅰ. 법의 뜻 16
Ⅱ. 법개념의 연혁 19
제2절 법의 내용 22
Ⅰ. 법의 기능 22
Ⅱ. 법의 구조 24
제3절 법의 존재와 가치 25
Ⅰ. 법의 존재 25
Ⅱ. 법의 가치 27
제3장 법의 체계 ㆍ 30
제1절 법의 연원 30
제2절 성 문 법 32
Ⅰ. 성문법의 의미 32
Ⅱ. 헌 법 34
Ⅲ. 법 률 35
Ⅳ. 명 령 37
Ⅴ. 규 칙 39
Ⅵ. 자치법규 39
Ⅶ. 조약ㆍ국제법규 40
제3절 불 문 법 42
Ⅰ. 불문법의 의미 42
Ⅱ. 관 습 법 42
Ⅲ. 판 례 법 46
Ⅳ. 조 리 48
제4절 법의 분류 49
Ⅰ. 국내법과 국제법 50
Ⅱ. 공법ㆍ사법ㆍ사회법 50
Ⅲ. 일반법과 특별법 53
Ⅳ. 실체법과 절차법 55
Ⅴ. 강행법과 임의법 55
Ⅵ. 원칙법과 예외법 57
Ⅶ. 그 밖의 법 분류 58
제4장 법의 이념 ㆍ 60
제1절 법이념의 뜻 60
제2절 자유와 평등 62
Ⅰ. 자유와 평등의 가치 62
Ⅱ. 자유와 평등의 과제 66
제3절 정 의 68
Ⅰ. 정의의 개념 68
Ⅱ. 법과 정의 74
Ⅲ. 정의와 법적 안정성ㆍ합목적성 76
제4절 법이념과 공공복리 80
Ⅰ. 공공복리의 개념 80
Ⅱ. 사익과 공익의 균형ㆍ조화 81
제5절 법이념과 평화 83
Ⅰ. 인권과 평화 83
Ⅱ. 국제사회와 평화 84
제5장 법과 사회규범 ㆍ 85
제1절 사회규범의 공존 85
제2절 법과 정치 86
Ⅰ. 법과 정치의 관계 86
Ⅱ. 정치에 대한 법적 통제 88
Ⅲ. 법과 혁명 90
제3절 법과 경제 91
Ⅰ. 법과 경제의 관계 91
Ⅱ. 법이념과 경제의 민주화 92
제4절 법과 언론 93
Ⅰ. 언론의 자유와 책임 93
Ⅱ. 언론과 법치주의 94
제5절 법과 도덕 95
Ⅰ. 법과 도덕의 구분 95
Ⅱ. 법과 도덕의 조화 98
제6절 법과 윤리 101
제7절 법과 종교 102
Ⅰ. 법과 종교의 차이 102
Ⅱ. 법과 종교의 관계 103
Ⅲ. 종교 자유의 한계 105
제8절 법과 양심 106
Ⅰ. 양심의 자유 106
Ⅱ. 양 심 범 107
제9절 법과 예 108
제6장 법학과 법률가 ㆍ 109
제1절 법 학 109
Ⅰ. 법학의 개념 109
Ⅱ. 법학의 특성 110
Ⅲ. 법학의 체계와 분류 113
Ⅳ. 법학의 실제 119
제2절 법 률 가 122
Ⅰ. 법률가의 사명 122
Ⅱ. 법조윤리 126
제7장 법의 발전과 계통 ㆍ 127
제1절 법의 발전과정 127
제2절 법의 변천 129
Ⅰ. 원시시대의 법규범 129
Ⅱ. 고대사회의 법 131
Ⅲ. 중세 및 근세사회의 법 134
Ⅳ. 근대사회의 법 136
Ⅴ. 현대사회의 법 138
제3절 대 륙 법 142
Ⅰ. 대륙법의 개념과 특성 142
Ⅱ. 로 마 법 144
Ⅲ. 게르만법 146
Ⅳ. 프랑스법 146
Ⅴ. 독 일 법 147
제4절 영 미 법 148
Ⅰ. 영미법의 개념과 특성 148
Ⅱ. 영 국 법 150
Ⅲ. 미 국 법 151
제5절 이슬람법 152
제6절 사회주의법 153
제7절 중 국 법 154
제8절 우리나라의 고유법 155
제8장 법과 언어 ㆍ 158
제1절 법 언어와 법 규범 158
제2절 법 격언 160
Ⅰ. 법의 일반원칙 161
Ⅱ. 법의 해석 163
Ⅲ. 권 리 166
Ⅳ. 정 의 167
Ⅴ. 소 유 권 167
Ⅵ. 공 익 168
Ⅶ. 기 타 169
제3절 법문의 약어 171
제4절 법과 문학 172
Ⅰ. 법과 문학의 갈등 172
Ⅱ. 법과 문학의 공존 174
Ⅲ. 법과 문학의 동행 176
제9장 법의 효력 ㆍ 180
제1절 법의 정당성과 실효성 180
제2절 법효력의 근거 181
제3절 법의 효력범위 183
Ⅰ. 법효력의 기본원칙 183
Ⅱ. 법의 시간에 대한 효력 189
Ⅲ. 법의 사람에 대한 효력 192
Ⅳ. 법의 장소에 대한 효력 200
제4절 법효력의 한계 202
Ⅰ. 개인의 자유와 법의 한계 202
Ⅱ. 사생활의 자유 203
Ⅲ. 자기결정권 203
Ⅳ. 법 밖의 행위 204
제10장 법의 해석과 적용 ㆍ 207
제1절 법의 해석 207
Ⅰ. 법해석의 의미 207
Ⅱ. 법해석의 원칙 209
제2절 법해석의 방법 212
Ⅰ. 유권적 해석 212
Ⅱ. 학리적 해석 214
제3절 법의 적용 220
Ⅰ. 법적용의 개념 220
Ⅱ. 사실의 확정 220
제11장 법과 권리ㆍ의무 ㆍ 228
제1절 권 리 228
Ⅰ. 법률관계 228
Ⅱ. 권리의 개념 229
Ⅲ. 권리의 분류 233
제2절 의 무 238
Ⅰ. 의무의 개념 238
Ⅱ. 의무의 분류 241
제3절 권리ㆍ의무의 주체와 객체 242
Ⅰ. 법적 주체 242
Ⅱ. 법 인 243
제4절 권리의 행사와 제한 245
Ⅰ. 권리행사의 개념 245
Ⅱ. 권리행사의 제한 246
제12장 법과 인간 ㆍ 252
제1절 자 연 인 252
Ⅰ. 법적 인간 252
Ⅱ. 배 아 253
Ⅲ. 태 아 253
Ⅳ. 출 생 254
Ⅴ. 사 망 254
Ⅵ. 장기이식과 인간복제 256
제2절 법적 인격체 257
Ⅰ. 권리능력 257
Ⅱ. 행위능력 257
Ⅲ. 의사능력 262
Ⅳ. 책임능력 262
Ⅴ. 당사자능력 264
제3절 인 권 264
Ⅰ. 인권의 본질 264
Ⅱ. 인권의 분류 270
Ⅲ. 인권의 역사 272
Ⅳ. 인권보장의 현대적 추세 275
Ⅴ. 헌법상 기본권의 제한과 한계 278
제13장 법의 작용 ㆍ 283
제1절 법률행위 283
Ⅰ. 법률행위의 개념 283
Ⅱ. 법률행위의 분류 285
Ⅲ. 법률행위의 대리 292
Ⅳ. 법률행위의 하자 294
Ⅴ. 법률행위의 부관 298
제2절 의사표시 299
Ⅰ. 민법상 의사표시 299
Ⅱ. 형법상 의사표시 300
Ⅲ.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303
Ⅳ. 하자 있는 의사표시 306
Ⅴ. 의사표시의 효력발생 시기 307
제3절 계약행위 308
Ⅰ. 계약의 자유와 공정성 308
Ⅱ. 계약자유의 통제와 한계 309
제14장 법의 지배 ㆍ 311
제1절 자유민주주의 311
제2절 법치주의 313
Ⅰ. 법치주의의 의의 313
Ⅱ. 법치주의와 권력분립 316
Ⅲ. 법치주의의 발달과 유형 317
제3절 자율과 규제 321
Ⅰ. 행정규제 321
Ⅱ. 자율권의 확산 322
제4절 법의식과 준법정신 324
Ⅰ. 법 의 식 324
Ⅱ. 준법정신의 생활화 328
제5절 양성평등주의 330
Ⅰ. 양성평등의 원칙 330
Ⅱ. 양성평등의 발전 331
Ⅲ. 여성의 법적 보호 333
제15장 법과 복지국가주의 ㆍ 337
제1절 복지국가주의 337
Ⅰ. 복지국가의 이념 337
Ⅱ. 복지국가의 과제 338
제2절 사회법의 등장과 발달 340
Ⅰ. 자본주의 변화와 법질서 340
Ⅱ. 사회법의 내용 340
제3절 노 동 법 341
Ⅰ. 개 념 341
Ⅱ. 근로자와 사용자 342
제4절 경 제 법 348
제5절 사회보장법 348
제6절 사회복지법 350
제16장 법과 성범죄 ㆍ 351
제1절 성범죄와 성문화 351
제2절 법과 음란성 353
Ⅰ. 음란성의 개념 353
Ⅱ. 표현의 자유와 음란성 354
Ⅲ. 음란물의 규제와 처벌 356
제3절 성범죄와 형벌 357
Ⅰ. 성 매 매 357
Ⅱ. 강 간 죄 359
Ⅲ. 강제추행죄 360
Ⅳ. 공연음란죄 362
Ⅴ. 성 희 롱 362
Ⅵ. 성폭력범죄와 성매매에 대한 특별법 365
제17장 법과 재판 ㆍ 368
제1절 사법권의 독립 368
제2절 재판관의 책임 370
Ⅰ. 재판관의 양심 370
Ⅱ. 재판관의 판결 372
제3절 소송의 주체 376
Ⅰ. 검 사 376
Ⅱ. 피 고 인 378
Ⅲ. 변 호 인 379
제4절 소송의 분류 380
Ⅰ. 정식재판 380
Ⅱ. 전자소송제도 392
Ⅲ. 간이소송절차 393
제5절 대체적 분쟁해결 방식 397
Ⅰ. 주선ㆍ협상ㆍ알선ㆍ화해 398
Ⅱ. 조정ㆍ중재 398
제6절 국민참여재판 제도 399
Ⅰ. 배심제도 399
Ⅱ. 배심제도의 연혁 400
Ⅲ. 국민참여재판으로서의 배심제 401
제18장 법의 제재 ㆍ 404
제1절 법적 제재 404
Ⅰ. 법적 제재의 개념 404
Ⅱ. 법의 경합과 가중처벌 406
Ⅲ. 민사책임과 형사책임 408
Ⅳ. 징벌적 손해배상 409
제2절 헌법상 제재 410
Ⅰ. 탄핵제도 410
Ⅱ. 내각해임건의권과 국정조사권 411
Ⅲ. 인사청문권과 선거법 위반자의 당선무효 411
Ⅳ. 국회의원의 징계 412
Ⅴ. 정당의 제재 413
Ⅵ. 국민에 의한 통제 413
제3절 행정법상 제재 414
Ⅰ. 일반 국민에 대한 제재 414
Ⅱ. 공무원에 대한 제재 420
제4절 형법상 제재 423
Ⅰ. 형벌의 개념 423
Ⅱ. 형벌의 종류 425
Ⅲ. 형벌의 적용 428
Ⅳ. 형의 유예와 가석방ㆍ보안처분 428
Ⅴ. 형의 실효ㆍ시효ㆍ사면ㆍ복권 431
제5절 민법상 제재 432
Ⅰ. 손해배상 432
Ⅱ. 강제집행 432
제6절 사이버공간에서의 제재 433
Ⅰ. 사이버공간의 자유와 한계 433
Ⅱ. 일반적 사이버 범죄의 유형 434
Ⅲ. 사이버 테러 범죄의 유형 435
제7절 노동법상 제재 435
Ⅰ. 징계와 정리해고 435
Ⅱ. 부당노동행위 436
Ⅲ. 임금 및 퇴직금 미지급 437
Ⅳ. 업무상 재해 437
제8절 국제법상 제재 439
Ⅰ. 국가에 대한 제재 439
Ⅱ. 개인 및 기관에 대한 제재 440
제19장 법과 재산권 ㆍ 441
제1절 재산권의 보장 441
Ⅰ. 재산권의 개념 441
Ⅱ. 재산권의 진화 442
제2절 민법상의 재산권 444
Ⅰ. 물건의 뜻 444
Ⅱ. 물건의 분류 444
Ⅲ. 물 권 법 448
Ⅳ. 채 권 법 462
Ⅴ. 지식재산권 467
제3절 상법상의 재산권 473
Ⅰ. 회사의 개념과 종류 473
Ⅱ. 보험과 어음ㆍ수표 480
제4절 행정법상의 재산권 480
Ⅰ. 공물의 개념 480
Ⅱ. 공물의 특수성 481
제5절 형법상의 재산권 482
Ⅰ. 재물의 개념 482
Ⅱ. 재물과 뇌물에 관한 죄 483
제20장 법과 권리구제 ㆍ 489
제1절 권리구제 489
Ⅰ. 권리의식과 권리구제 489
Ⅱ. 권리구제의 내용과 방법 491
제2절 권리의 경합과 상호저촉 493
Ⅰ. 권리의 경합 493
Ⅱ. 권리의 상호저촉 495
제3절 헌법상 권리구제 498
Ⅰ. 청구권적 기본권 498
Ⅱ. 헌법소원 500
Ⅲ. 감사원 심사청구권 501
제4절 행정법상 권리구제 501
Ⅰ. 행정상 손해전보 502
Ⅱ. 행정쟁송 505
Ⅲ. 행정절차 506
Ⅳ. 소청심사 508
제5절 형법상 권리구제 508
Ⅰ. 정당방위와 긴급피난 508
Ⅱ. 자구행위 511
제6절 민법상 권리구제 512
Ⅰ. 물권적 청구권 512
Ⅱ.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513
Ⅲ. 채무불이행에 대한 강제집행권 520
Ⅳ. 개인회생제도 및 개인파산제도 520
Ⅴ. 자력구제 522
제21장 법과 국가 ㆍ 523
제1절 처 음 에 523
제2절 국가의 개념과 형태 525
Ⅰ. 국가의 개념 525
Ⅱ. 국가의 형태 526
제3절 헌법의 기본이념 527
제4절 권력분립주의와 의회주의 528
Ⅰ. 삼권분립주의의 실제 528
Ⅱ. 의회주의와 정당원칙 530
Ⅲ. SNS의 대중적 민주주의 532
제5절 국회의 헌법상 지위 533
Ⅰ. 국 회 533
Ⅱ. 국회의원 534
제6절 정부의 형태 536
Ⅰ. 대통령제 536
Ⅱ. 의원내각제 537
Ⅲ. 이원정부제 539
Ⅳ. 사회주의 국가의 정부형태 539
Ⅴ. 우리나라의 정부형태 539
제7절 지방자치 541
제22장 법과 가족 ㆍ 543
제1절 처 음 에 543
제2절 친족관계 545
Ⅰ. 친족의 개념과 범위 545
Ⅱ. 촌 수 546
Ⅲ. 친족간의 부양의무 548
제3절 가족관계 548
Ⅰ. 가족의 구성 548
Ⅱ. 성불변주의 폐지 549
제4절 부부관계 550
Ⅰ. 약 혼 550
Ⅱ. 혼 인 552
Ⅲ. 이 혼 557
Ⅳ. 사 실 혼 561
제5절 부모와 자녀의 관계 562
Ⅰ. 친생자녀 562
Ⅱ. 양 친 자 563
Ⅲ. 친 양 자 564
Ⅳ. 친 권 565
제6절 상속관계 566
Ⅰ. 상속의 개념 566
Ⅱ. 상속의 순위 567
Ⅲ. 상 속 분 568
Ⅳ. 상속의 승인ㆍ포기 569
Ⅴ. 유 언 570
Ⅵ. 유 류 분 571
부 록 573
1. 우리나라 헌법개정사 ㆍ575
2. 법원조직표 ㆍ576
3. 영국ㆍ미국ㆍ프랑스ㆍ독일의 사법제도 ㆍ577
4. 공무원 직위ㆍ직급 비교표 ㆍ579
5. 국회운영 정족수 ㆍ580
6. 정부조직 기구도 ㆍ581
7. 대한민국헌법 ㆍ582
사항색인 597
인명색인 608
작가의 말
제10판을 출간하면서
법학 입문서인 법학개론을 개편하여 법학원론의 발간으로 이어진 것이 40년을 넘었다. 뒤돌아보면 법학원론은 법학교육 변화의 산 증인이 되었다. 그 동안 세상은 변하고 또 많은 걸 바꾸어 놓았다. 성숙과 발전에는 진통이 따르지만 법의 정신은 변함이 없다.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으로 법학교육의 변화를 가져왔다. 심오한 이론과 유동적 실제를 동시에 논하는 법학의 총체적 연구보다는 개별적 실무적 접근에 초점을 두는 시험 준비가 대학원 과정이 되자 본연의 법학교육은 시들고 있다. 방대하고 복잡한 법학을 두루 접근하기에는 제도적 한계가 있기에 법학 교육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여야 한다.
법의 기초과목을 외면한 채 실정법에 몰두하면 법학은 더 이상 발전을 기대할 수 없고 법학의 기반이 흔들린다. 게다가 깊은 법적 소양과 사명감이 없는 법 전공은 영혼이 없는 법학인 양성에 그칠 우려가 있어 법학의 기본과목 함양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법이 생활화되는 법문화시대에 시민의 법치주의 의식을 높일 교양 법학은 더욱 중요시된다. 이 모든 것은 법학입문서가 풀어야 할 과제이다.
개정판이 거듭되는 영예에 책임감을 느끼면서 법학의 기본 입문서로서 그리고 법적 마인드의 길잡이로서의 완성도를 위해 법 개정과 새 판례에 따라 대폭 다듬었다. 모쪼록 법이 우리 생활에 친근하게 다가가기를 기대한다. 이 책이 장수한 것은 후학들의 노고와 열성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그 분들에게 새삼 감사와 존경을 드립니다.
개정판 출간을 함께 해주신 김병준 교수님 그리고 박영사 김선민 이사님, 이승현 차장님께 깊은 고마움과 신뢰를 드리며 아울러 홍지의 변호사님에게도 격려의 말을 드립니다.
2025년 1월
-i-
洪 性 讚 씀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