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백문백답[書法百問百答]
2025년 01월 16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54.26MB) | 456 쪽
- ISBN 9791199082601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0,7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번~5번은 서예 개론(書藝槪論), 6번~11번은 서예 자세와 집필법(執筆法), 12번~21번은 운필법(運筆法), 22번~41번은 서예 용어, 42번~46번은 법첩 선택 및 공부 방법, 47번~53번은 결구법(結構法), 54번~71번은 서체(書體)의 종류, 72번~81번은 서예에 대한 마음가짐, 82번~85번은 비(碑)와 첩(帖), 86번~91번은 서화(書畫)와 전각(篆刻), 91번~98번은 서예 작품과 도구, 99번~100번은 서예 감상과 진적(眞迹) 감정(鑑定)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서예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서예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은 전자책으로 출간되었다. 디지털 시대에 맞춰 독자들이 무거운 종이책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읽을 수 있으며, 음성으로도 감상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유튜브 채널 ‘서예명가TV’를 통해 이 책의 내용을 강의한 동영상도 함께 제공되므로, 독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내용을 학습하고 즐길 수 있다.
- 서예의 궁금중 100가지 해결하기 -
역자(譯者) 소개
역자(譯者) 서문(序文)
저자(著者) 전언(前言)
차 례
1. 한자(漢字)는 어떻게 발생했는가? [中國文字是怎樣産生的] 5
2. 서예 예술(書藝藝術)이란 무엇인가? [什麼是書法藝術] 11
3. 어떻게 하면 서예학습에 흥미를 기를 수 있을까? [怎樣培養學書的興趣]15
4. 서예를 배우는데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 [學書需要哪些步驟] 18
5. 서예와 일반 글씨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寫字與書法有什麼區別] 23
6. 서예를 할 때 바른 자세는 어떠한 것인가? [怎樣約定寫字的姿勢] 26
7. 붓은 어떻게 잡을 것인가? [怎樣執筆] 32
8. 쌍구법(雙鉤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雙鉤] 36
9. 단구법(單鉤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單鉤]
10. 필위(筆位)란 무엇인가? [什麼叫筆位]
11. 오지제력(五指齊力)이란 무엇인가? [什麼叫五指齊力]
12. 팔은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가? [怎樣運腕]
13. 침완법(枕腕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枕腕]
14. 제완법(提腕法)란 무엇인가? [什麼叫提腕]
15. 현완법(懸腕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懸腕]
16. 용필이란 무엇인가? [怎樣用筆]
17. 필봉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筆鋒]
18. 중봉(中鋒)이란 무엇인가? [什麼叫中鋒]
19. 측봉(側鋒)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側鋒]
20. 회봉(回鋒)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回鋒]
21. 절봉(折鋒)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折鋒]
22. 만호제력(萬毫齊力)이란 무엇인가? [什麼叫萬毫齊力]
23. 역입평출(逆入平出)이란 무엇인가? [什麻叫逆入平出]
24. 장두호미(藏頭護尾)란 무엇인가? [什麼叫藏頭護尾]
25. 무수불축(無垂不縮)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無垂不縮]
26. 무왕불수(無往不收)란 무엇인가? [什麼叫無往不收]
27. 잠두연미(蠶頭燕尾)란 무엇인가? [什麼叫蠶頭燕尾]
28. 현침수로(懸針垂露)란 무엇인가? [什麼叫懸針垂露]
29. 일파삼절(一波三折)이란 무엇인가? [什麼叫一波三折]
30. 질삽(疾澀)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疾澀]
31. 견사(牽絲)란 무엇인가? [什麼叫牽絲]
32. 옥루흔(屋漏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屋漏痕]
33. 절차고(折釵股)란 무엇인가? [什麼叫折釵股]
34. 획사인니(畫沙印泥)란 무엇인가? [什麼叫畫沙印泥]
35. 내엽(內擫)과 외척(外拓)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內擫」與「外拓」]
36. 방필(方筆)과 원필(圓筆)이란 무엇인가? [「方筆」與「圓筆」]
37. 필력(筆力)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筆筆力]
38. 필세(筆勢)란 무엇인가? [什麼叫筆勢]
39. 필의(筆意)란 무엇인가? [什麼叫筆意]
40. ‘永(영)’자 팔법(八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永’字八法]
41. 구세(九勢)란 무엇인가? [什麼叫九勢]
42. 구궁격(九宮格)이란 무엇인가? [什麼叫九宮格]
43. 법첩(法帖)은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怎樣選帖]
44. 비첩(碑帖)의 임모(臨擧)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怎樣臨摹碑帖]
45. 독첩(讀帖)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怎樣讀帖]
46. 배임(背臨)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怎樣背臨]
47. 지백수흑(知白守黑)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知白守黑]
48. 향배(向背)란 무엇인가? [什麼叫向背]
49. 소밀(疏密)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疏密]
50. 음양(陰陽)이란 무엇인가? [什麼叫陰陽]
51. 먹[墨]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怎樣用墨]
52. 조윤(燥潤)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燥潤]
53. 농담(濃淡)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濃淡]
54. 갑골문(甲骨文)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甲骨文]
55. 종정문(鐘鼎文)이란 무엇인가? [什麼叫鐘鼎文]
56. 석고문(石鼓文)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石鼓文]
57. 과두문(科斗文)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科斗文]
58. 조충서(鳥蟲書)란 무엇인가? [什麼叫鳥蟲書]
59. 와당문(瓦當文)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瓦當文]
60. 소전(小篆)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小篆]
61. 간서(簡書)란 무엇인가? [什麼叫簡書]
62. 예서(隸書)란 무엇인가? [什麼叫隸書]
63. 팔분서(八分書)란 무엇인가? [什麼叫八分書]
64. 위비(魏碑)란 무엇인가? [什麼叫魏碑]
65. 해서(楷書)란 무엇인가? [什麼叫楷書]
66. 행서(行書)란 무엇인가? [什麼叫行書]
67. 장초(章草)란 무엇인가? [什麼叫章草]
68. 초서(草書)란 무엇인가? [什麼叫草書]
69. 비백서(飛白書)란 무엇인가? [什麼叫飛白書]
70. 방서(榜書)란 무엇인가? [什麼叫榜書]
71. 관각체(館閣體)란 무엇인가? [什麼叫館閣體]
72. 필총(筆冢)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筆冢]
73. 기운(氣韵)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氣韵]
74. 심정필정(心正筆正)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心正筆正]
75. 의재필선(意在筆先)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意在筆先]
76. 필거심후(筆居心後)란 무엇인가? [什麼叫筆居心後]
77. 필단의연(筆斷意連)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筆斷意連]
78. 철획은구(鐵畫銀鈎)란 무엇인가? [什麽叫鐵畫銀鈎]
79. 필성묵정(筆性墨情)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筆性墨情]
80. 안근유골(顏筋柳骨)이란 무엇인가? [什麼叫顏筋柳骨]
81. 전장취소(顚張醉素)란 무엇인가? [什麼叫顛張醉素]
82. 「법서(法書)」와 「법첩(法帖)」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法書」與「法帖」]
83. 비학(碑學)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碑學]
84. 첩학(帖學)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帖學]
85. 남북서파(南北書派)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南北書派是怎樣劃分的]
86. 중국 서예사를 몇 단계로 구분하는가? [中國書學史可分爲哪幾個階段]
87. 서화동원(書畫同源)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怎樣理解書畫同源]
88. 전각과 서예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篆刻與書法是否有關係]
89. 서예를 쓸 때 어떤 붓이 적당할까? [書法宜用硬毫還是軟毫]
90. 기(氣)는 어떻게 운행하는가? [怎樣運氣]
91. 영련(楹聯)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楹聯]
92. 제발(題跋)이란 무엇인가? [什麼叫題跋]
93. 붓은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怎樣選擇毛筆]
94. 먹은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怎樣選擇墨]
95. 화선지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怎樣選擇紙]
96. 벼루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怎樣選擇硯]
97. 낙관(落款)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怎樣題款]
98. 낙관(落款)의 인장은 어떻게 찍어야 하는가? [怎樣鈐印]
99. 서예작품은 어떻게 감상해야 하는가? [怎樣欣賞書法藝術]
100. 서예작품의 진적(眞迹)은 어떻게 감정하는 것인가? [怎樣鑒定書法眞迹]
서예는 오랜 역사를 지닌 다양하고 풍부한 전통 예술이다. 또한 서예는 실용적인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수단으로서 빼어나면서도 강인하고, 침착하면서도 창의적이다.
서예는 수천 년에 걸쳐 독자적인 예술로 자리 잡아왔으며, 예로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서예가를 배출해왔다. 이들은 서예에 헤아릴 수 없는 지혜와 열정을 쏟아부었고,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서법을 새롭게 창조하며 주옥같은 작품들을 남겼다. 이 작품들은 서예 예술의 소중한 보고(寶庫)가 되어왔다.
서예를 배우는 것은 개인의 환경을 아름답게 하고 풍부한 문화생활을 누리는 동시에, 자신의 사상과 품격을 수양하며 예술과 문화적 교양을 함양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침착함과 인내심, 끈기를 기르며 심신의 건강에도 이롭다. 물론 서예를 완벽히 익혀 고도의 예술 경지에 오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올바른 자세로 서예의 법도를 준수하며, 끊임없는 노력과 각고의 정진을 이어간다면 누구든 성공할 수 있다.
《서법백문백답》은 제목 그대로 서예의 기초를 소개하는 소책자로, 통속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에서 출발하여 서예를 처음 접하는 초학자들에게 서예란 무엇인지 안내하는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이 책은 초학자들이 서예의 올바른 기준을 이해하고, 기본 법칙을 터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책은 서예에 관한 100가지 질문과 간단명료한 답변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서예를 처음 접하는 초학자뿐 아니라, 오래도록 서예와 함께해 온 사람들에게도 정독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또한 이 책은 전자책으로 출간되었다. 디지털 시대에 맞춰 독자들이 무거운 종이책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읽을 수 있으며, 음성으로도 감상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유튜브 채널 ‘서예명가TV’를 통해 이 책의 내용을 강의한 동영상도 함께 제공되므로, 독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내용을 학습하고 즐길 수 있다.
북 트레일러
작가정보
저자(글) 閔祥德
著者 소개
저자 민상덕(閔祥德)은 중국에서 활동하는 중견 서법가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서법에 입문하여 안진경(顏眞卿)과 왕희지(王羲之)의 글씨에서 시작하여, 회소(懷素) 및 송사가(宋四家)의 서체를 겸하여 배웠고, 나아가 진나라 전서(篆書)와 한나라 예서(隸書)까지 거슬러 올라가 학습했다.
현재 중국서예가협회 회원, 중국서예가협회 안휘(安徽)분회 이사, 북경(北京) 소월헌(曉月軒) 외빈부 서예 자문, 안휘성 미학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안휘성 청년연합회(安徽省青年聯合會) 위원 및 회북시 서예협회 회장(淮北市書法協會主席) 등 여러 직책을 맡고 있다.
번역 조승혁
역자(譯者) 우남(友南) 조 승혁은 성균관대학교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하였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선학(禪學)을 전공하여 『선서화 연구(禪書畫硏究)』로 석사 학위를, 동의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 전기의 불교전적 간행 연구(朝鮮前期佛敎典籍刊行硏究)』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어릴 적부터 조부(祖父)로부터 서예를 배우며 서예와 인연을 맺었으며, 근세의 서성(書聖)으로 추앙받는 여초(如初) 김 응현(金膺顯) 선생에게 서법(書法)을 전수 받으며 서예의 깊이를 더해갔다. 또한 남석(南石) 이 성조(李成祚) 선생에게도 가르침을 받았다.
우남(友南) 조 승혁은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서예(書藝)와 전각(篆刻) 부문에서 초대 작가로 선정되었고, 이후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300여 회 이상의 그룹전에 참여하였으며, 전국 서예 공모전에서도 심사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하였다.
현재 그는 서울의 ‘현현서숙(玄玄書塾)’, 부산의 ‘한국선서화연구원(韓國禪書畫硏究院)’, 양산의 ‘삼역서사(三亦書舍)’를 주재하며 후학 양성과 서예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더불어 유튜브 채널 ‘서예명가TV’를 통해 다양한 법첩의 실기 강의와 서예 이론을 알기 쉽게 전달하며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