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

박영사

2024년 12월 31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11월 1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38.49MB)
ISBN 9791130388052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40,000원

쿠폰적용가 36,0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머리말 i
알리는 글 iii

chapter 01 풍력에너지와 재생에너지(Wind Energy and Renewable Energy)
1.1 에너지의 분류(classification of energy) 3
1.2 세계의 에너지 현황과 전망 5
1.3 기후변화와 재생에너지 6
1.4 재생에너지의 정의 8
1.5 국내외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의 발전 11
1.6 재생에너지 현황 13
1.7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와 풍력발전(wind energy) 22
1.8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wind energy technology and industry) 25

chapter 02 바람과 풍력에너지
2.1 지구의 바람 33
2.2 바람의 종류 34
2.3 풍력에너지의 정의 36
2.4 바람의 운동에너지와 출력 37
2.5 풍력에너지의 기본 변수 39
2.6 풍력발전의 원리 49
2.7 풍력발전시스템의 분류 52

chapter 03 풍력발전의 역사
3.1 고대와 중세 57
3.2 중세 이후와 근세의 풍력발전 58
3.3 근대의 풍력발전 63
3.4 현대와 미래의 풍력발전 69
3.5 국내의 풍력에너지의 역사 73

chapter 04 풍력터빈의 구성과 개념
4.1 풍력터빈의 구성 79
4.2 풍력터빈의 내부 구조 80
4.3 풍력터빈의 개념 설계 83
4.4 풍력터빈의 상세 설계 고려사항 97

chapter 05 풍력에너지 변환의 원리(the principle of wind energy conversion)
5.1 바람의 운동에너지의 변환 101
5.2 양력(lift)과 항력(drag) 103
5.3 풍력터빈의 공기역학적 이론 108
5.4 풍력터빈의 성능 파라미터 126
5.5 로터 회전의 원리 136

chapter 06 풍력발전시스템의 설계와 통합하중해석
6.1 풍력발전시스템의 설계 목표 141
6.2 풍력발전시스템의 상세 설계 과정 142
6.3 풍력발전시스템의 통합하중해석 143
6.4 하중해석용 소프트웨어 148
6.5 통합하중해석 활용 153

chapter 07 복합재료 블레이드의 설계
7.1 블레이드의 공력설계와 구조설계 165
7.2 수평축 복합재료 블레이드 설계 167
7.3 블레이드 공력설계 168
7.4 블레이드 구조설계 180
7.5 블레이드 복합재료의 파손 188
7.6 고유진동수 해석 193

chapter 08 블레이드 소재, 제조, 시험
8.1 블레이드 소재 기술 199
8.2 블레이드 구조 202
8.3 블레이드 제조 공정 205
8.4 분할 블레이드(segmented blade 또는 modular blade) 210
8.5 블레이드의 낙뢰보호장치(LPS, Lightning Protection System) 213
8.6 블레이드 구조시험 215
8.7 스텔스 블레이드(stealth blades) 224
8.8 스피너와 나셀 227
8.9 화재 방지 장치 231

chapter 09 동력전달체계
9.1 풍력터빈의 주요구성 요소 239
9.2 드라이브 트레인 240
9.3 드라이브 트레인의 실례 246
9.4 증속기(gearbox) 247
9.5 요 시스템(yaw system) 270
9.6 피치 시스템(pitch system) 274
9.7 커플링과 고속축 브레이크 281
9.8 풍력터빈용 베어링 282
9.9 핵심 부품별 베어링의 응용 288


chapter 10 풍력터빈용 대형 발전기
10.1 풍력터빈용 발전기(Wind Turbine Generators) 307
10.2 직류 발전기(DC Generator) 309
10.3 교류 동기발전기(AC Synchronous Generator) 311
10.4 교류 비동기발전기(AC Asynchronous Generators) 혹은 유도발전기(InductionGenerator) 319
10.5 대형 풍력터빈용 발전기의 적용 경향 328

chapter 11 전력변환장치
11.1 전력전자 컨버터(Power Electronic Converter) 333
11.2 컨버터의 원리와 구조 334
11.3 전력변환장치의 종류 335
11.4 가변속 풍력터빈의 전력전자 제어 341

chapter 12 풍력 제어시스템
12.1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353
12.2 피치 제어 개념(concept of pitch control) 358
12.3 피치 제어(pitch control) 361
12.4 제어 장치(controller) 368
12.5 요 제어(yaw control) 369

chapter 13 풍력터빈 타워
13.1 타워(tower)의 개요 375
13.2 타워의 종류 377
13.3 원통형 강관 타워 설계 절차 390
13.4 타워의 제조 397
13.5 육상용 타워 기초 400

chapter 14 해상풍력발전과 지지구조
14.1 해상풍력발전(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407
14.2 고정식 해상풍력발전(fixed support offshore wind generation) 409
14.3 부유식 해상풍력발전(floating offshore wind energy)의 개요 421
14.4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의 하부구조물 설계(Foundation design for offshore windturbines) 430
14.5 해상풍력용 해상변전소(OTS, Offshore Transformer Station) 434
14.6 해저 케이블(submarine cables) 437

chapter 15 풍력발전의 인증(certification)
15.1 풍력발전 인증시스템 454
15.2 OD-501 455
15.3 IEC 기술 기준 내용 및 대표 항목 456
15.4 IEC 풍력발전 관련 조직 457
15.5 풍력 인증기관과 종류 460
15.6 인증서(certificate)의 종류 463
15.7 풍력터빈 성능평가 469
15.8 실증시험과 풍력실증시험단지 475

chapter 16 풍력발전시스템의 유지 보수(O&M, Operation and Maintenance)
16.1 풍력터빈 부품의 고장 특성 485
16.2 유지보수의 종류 486
16.3 유지보수 전략 488
16.4 유지보수의 예시 491
16.5 유지보수와 안전 493

chapter 17 풍력발전의 기술 동향
17.1 풍력터빈의 대형화 503
17.2 풍력터빈의 설계기술 동향 507
17.3 블레이드의 기술 동향 509
17.4 수송 및 설치 기술 514
17.5 드라이브 트레인의 기술 동향 515
17.6 베어링 기술의 발전동향 516
17.7 발전기의 기술 동향 518
17.8 컨버터 기술의 발전 동향 522

chapter 18 국내외 풍력시장과 정책
18.1 세계 풍력시장 누적 설치 용량 527
18.2 지역별 풍력 설치 용량 529
18.3 세계 풍력시장 전망 530
18.4 국내 풍력시장 동향 534
18.5 세계 풍력 정책 동향 536
18.6 국가별 정책 변천 541
18.7 국내 풍력 정책 동향(~2022) 543
18.8 현정부(2022~2027)의 국가 에너지 정책 548
18.9 국내의 RPS(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제도 553
18.10 해상 풍력모델의 기술동향 558
18.11 국내 산업 국산화 현황 및 시장 전망 561

chapter 19 풍력발전의 경제성
19.1 설비 가동률(operation ratio) 569
19.2 설비 가동률, 이용률 및 발전량 569
19.3 풍력터빈 가동률(availability) 571
19.4 가동률 관점에 따른 차이점 573
19.5 성능지수 동향 576
19.6 이용률(CF, Capacity Factor) 584
19.7 풍력발전 비용 587

chapter 20 풍력발전단지 개발
20.1 국내 풍력발전단지 현황 605
20.2 육해상 풍력발전의 비교 607
20.3 풍력발전단지 입지개발 기본요소 608
20.4 계통연계 방안 615
20.5 정부의 계통 구축 계획 620
20.6 인 · 허가 628

chapter 21 풍력발전과 환경 영향
21.1 풍력발전기 소음 647
21.2 풍력발전기의 전파방해 650
21.3 레이더 방해(radar interference) 현상 652
21.4 풍력발전기에 의한 경관 영향(visual impact) 654
21.5 거주지와 도로 인근에 풍력발전기 설치에 따른 영향 656
21.6 풍력발전기의 쉐도우 플리커(shadow flicker)와 플래싱(fleshing) 657
21.7 풍력발전기의 동식물에의 영향과 대책 661
21.8 환경오염 666
21.9 풍력발전의 장점과 혜택 667

머리말

우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다양한 기후변화 현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지구온난화 해결을 위해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에너지전환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은 RE-100에 적극적으로 가입하는 실정이다.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풍력에너지는 대규모 단지 건설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기술성이 우수하고, 단위 면적당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이미 우수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한 중공업, 조선, IT, 항공 분야와 연계할 경우, 국내 풍력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풍력에 대한 우리의 인식도 많이 바뀌었다. 우리는 이미 풍력이 미래의 탄소중립 시대를 이끄는 필수 청정에너지원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풍력 발전이 에너지전환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해상풍력발전 기술과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풍력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풍력 산업생태계는 풍력발전시스템 설계와 제조 기술 분야, 각종 소재와 부품 제조 분야, 단지건설 분야, 유지보수 분야, 인허가 분야, 전기사업,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 분야, 그리고 금융 및 보험 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계적인 풍력 산업생태계가 구축된다면, 많은 투자와 고용을 창출하는 국가의 중요한 산업으로 성장하는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풍력에너지 시장 선점과 에너지 안보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무기화 대응에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교재는 풍력을 공부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아울러 본 교재는 풍력에너지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풍력 산업생태계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이 풍력에너지 산업과 기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공저자로 본 교재의 집필에 참여해주신 황병선 박사님, 강기원 교수님, 박식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도표와 그림 교정 작업을 도와주신 박승범 박사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아울러 긴 시간 편집 작업과 인쇄와 출판에 노고를 해 주신 박영사 출판사 관계자분들께도 감사드린다.

2024. 11
대표저자 이 상 일

알리는 글

본 교재를 기획할 때부터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의 전 분야를 다루어야 하는 매우 방대한 작업이었다. 특히 풍력은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다루는 측면이 있어, 저자들의 제한된 지식과 교재의 분량 제한 때문에 많은 사항을 깊이 있게 다룰 수 없음이 매우 안타까웠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이전과는 달리 전문 분야에서도 많은 전문가의 논문과 포털사이트의 지식 전달을 통하여 기술적인 지식을 접할 수 있어 독자들이 알고 싶은 분야에 대하여 더욱 깊은 내용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에 대해 광범위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기술 간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내용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재를 찾기가 어렵다고 항상 생각해 왔다.
따라서 10여 년 전에 풍력터빈에 대한 교재로 「최신 풍력터빈의 이해」가 출판되어 국내의 관련 학생이나 독자에게 조금은 도움을 주어 온 것으로 알고 있다. 금번에 급격하게 발전하는 해상풍력발전 기술과 산업, 그리고 시장에 대한 지식을 좀 더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 국내에서 풍력발전 사업을 위한 정책과 제도는 다소 복잡하여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본 교재에서는 국내 풍력단지 개발과 발전사업을 위해서 거쳐야 하는 법규나 기준 등에 대한 사항도 간략히 다루었다. 이와 관련하여 풍력단지의 건설의 실제적인 업무에서 발생하는 사항의 일부를 수록하게 한 「디엔아이코오프레이션」에도 감사를 드린다.
본 교재에서는 이전에 저자들이 참여하여 발간한 「최신 풍력터빈의 이해(2010)」, 「풍력터빈 블레이드 기술(2016)」, 「풍력발전기 부품과 소재(2020)」, 「해상풍력 유지보수 기술(2020)」, 그리고 「신재생에너지와 미래생활(2021)」 등의 교재의 일부 내용이 활용되었음을 알린다.
교재에 사용된 도표와 사진 등을 일관성이 있고 정리해 주신 박승범 박사에게 깊은 감사를 드리며, 통합해석 분야의 충실한 검토를 해 주신 국립군산대학교의 장윤정 박사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본 교재의 완성을 위하여 참여 저자들이 많은 시간을 들일 수 있도록 지원과 인내를 보내준 가족들에게도 감사드린다.

2024년 10월
저자 일동

작가정보

저자(글) 이상일

교수, 공학박사
국립군산대학교 풍력에너지학과 / 해상풍력연구원
한국풍력에너지학회 회장

저자(글) 강기원

교수 / 센터장, 공학박사
국립군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국립군산대학교 초대용량풍력발전시스템 혁신연구센터

저자(글) 박식

대표, 기술사
㈜ 디엔아이코퍼레이션 및 ㈜ 피앤디솔라 대표
전주비전대학교 전기과 겸임교수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풍력에너지 기술과 산업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