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

이경식 지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4년 11월 10일 출간

국내도서 : 2011년 09월 30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4.96MB)
ISBN 9788952135728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25,000원

쿠폰적용가 22,5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는 신라말ㆍ고려초 새로운 토지조세체계의 확립, 이의 기간과 경리와 운용, 고려 후기의 전제 파행과 전제이정 등 토지문제와 그 타개책에 대한 논의를 담은 책이다. 고려왕조와 토지ㆍ농민ㆍ농업의 상관을 주축으로 한 내용을 엮어 정리하였다.
<b>I. 序言</b>

<b>II. 高麗初 收取制度의 改善과 田柴科의 設施</b>
1. 後三國期의 土地賦稅弊端과 農民抗爭
2. 收租額의 調整과 結負制의 整理
3. 祿邑制의 廢棄와 役分田의 初定
4. 田柴科의 始定과 整備

<b>III. 高麗 土地租稅體系의 基幹</b>
1. 土地의 私的 所有와 所有權
2. 土地把握과 賦稅運用
3. 田柴科의 處地와 收租權
4. 農業生産?農村市場과 勸農

<b>Ⅳ. 土地의 經理와 運用</b>
1. 公處折給田柴
2. 私處折給田柴
3. 莊宅?宮院田 및 寺院田(莊?處)
4. 國?官有地
5. 食邑

<b>Ⅴ. 高麗後期 田制의 跛行과 田民兼幷</b>
1. 田柴科運營의 痲痺와 分給私田의 家産化
2. 農民의 搖動?流移와 丁田制의 頹毁
3. 農地開墾과 賜牌田의 膨大
4. 田民의 兼幷과 農莊問題

<b>Ⅵ. 田制釐正의 努力과 推進</b>
1. 祿科田의 新設과 京畿內 折給
2. 田民의 辨正?計點과 量田
3. 田民推刷?辨正의 頻煩
4. 結負量田制의 變更

<b>Ⅶ. 高麗末 土地問題의 惡化와 私田?弊論</b>
1. 兩班田主間의 對立激烈과 田主?佃客의 葛藤深化
2. 地主制의 擴散과 收租權의 危脆
3. 財政?軍須의 逼迫과 私田田租의 公收
4. 私田?弊論議의 噴出과 그 系譜

<b>Ⅷ. 高麗王朝와 土地</b>
1. 土地觀과 經理原則
2. 高麗王朝와 封建土地關係

<b>Ⅸ. 餘言</b>

고려의 토지ㆍ조세체계는 田柴科였다. 전시과가 始定된 때는 고려가 건국 후 삼국통합을 완수하고서도 4년 후에 役分田制度를 初定하고 다시 그로부터 36년이 지난 뒤였다. 그리고 祿邑制를 폐기한 뒤에 제정하였으며 명칭조차 종전과는 判異하다. 전시과는 그만큼 羅末麗初의 격동, 곧 신라 하대 사회의 붕괴과정과 후삼국의 등장 및 고려왕조의 통합과정을 토지제도로서 간직하고 그 성격을 역사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고려시기 토지제도를 제대로 인식하려면 이에 대한 검토에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p.5)

고려 전기 토지의 사적 소유는, 그 법제적 형태에 사회경제 및 정치적 국면을 결부시켜 전체로서 파악할 때, 그 소유관계는 신분계급적 소유로서 지주전호제적 소유가 자영농민의 소토지 소유와 함께 주축을 이루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 지주층의 중추는 양반이고 전호층의 중심은 평민ㆍ천민 가운데 빈농ㆍ무전농이었다. 사적 토지소유는 소유권의 법적 형태로서 평등성과 자유성을 가졌으나 동시에 그 소유관계가 신분계급적이고 지주전호적임에서, 소유의 평등성과 자유성은 신분의 제약을 받고 계급적인 구속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고려는 이러한 체제를 중앙집권의 권력형태ㆍ통치체계로 구현한 왕조였다. (p.57)

고려는 토지의 사적 소유를 기초로 하고 이 위에서 전정, 족ㆍ반정, 정전을 통해 토지를 파악하고 租ㆍ布ㆍ役의 부과ㆍ수취 등 부세를 운영함으로써 토지와 농민을 지배하고 관리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국가를 경영해 나갔다. 토지제도는 이 가운데서 특히 租와 직결하여 결성한 것이며 그 형태는 전시과였다. 전시과 제도는 … 收租權 분급을 핵심으로 하고 있었다. 절급 규모와 분급대상, 설정의의와 처지, 성격에서 이 점을 대표하고 집약하는 地目은 양반 관료를 위시하여 군인, 한인, 향리 등에게 科에 따라 차등 있게 절급한 科田이었다.(p.75)

고려는 … 田制를 크게 네 부문으로 경리하였다. 왕실 및 국가의 재정지출 부문으로서 國庫收租地, 중앙과 지방의 각급 관아의 행정경비 부문으로서 公?田柴, 문무 양반을 비롯하여 군인ㆍ한인ㆍ향리 등 직역자에 대한 신분적 물적 대우로서 각종 私處折給田柴, 그리고 왕실ㆍ사원에 절급한 內莊宅ㆍ宮院ㆍ寺院의 莊ㆍ處 및 각종 전토가 그것이다. 이 밖에 수조지와는 상관없이 국가와 행정ㆍ군사기관이 소유ㆍ경영하는 籍田, 學田, 驛田, 屯田, 代田 등 국ㆍ관유지가 있고 토지와는 직접 상관은 없으나 民戶의 부세와 직결되어 封爵者 가운데 특별한 이에게 사급하는 食邑이 있었다.(p.107)

전시과는 고려집권왕조국가가 문무양반에서 부병ㆍ한인 그리고 향리를 비롯한 여러 직역자 및 행정ㆍ군사 기구에 田丁을 직역봉공 및 직무봉행에 대한 물적 대우로 절급하여 수조지로서 소지ㆍ점유하게 한 것이 그 정치경제의 핵심이었다. 그런 만큼 이것의 점유에는 신분적, 시간적, 양적, 질적으로 여러 제한이 따랐다. 그 가운데서도 전시과 운영의 중추는 전정의 분급ㆍ체수ㆍ전수가 원칙대로 그리고 같은 계통의 직역자 사이에서 차질 없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조정하는 것이었다. 양반은 양반의 전정을, 군인은 군인의 전정을, 향리는 향리의 전정을 수수하되 이를 官에 신고하여 체수하는 절차를 밟아야 하며, 祖父子孫 사이의 傳受도 이 원칙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大綱이었다.(p.195)

수조지 수득의 기반은 신분직역이고 탈점의 힘은 권세였다. 수조지의 겸병은 양반층 서로 간에 그리고 공ㆍ사전을 막론하고 경쟁적으로 벌어졌다. 충선왕이 國家紀綱의 毁?는 奸臣의 토지점탈에서 말미암은 것이라고 개탄할 정도였다. 수조지의 겸병은 私田의 爭占으로서 양상은 극렬하였다. ‘權貴’로 지목되는 세력에 의해 양반의 녹과전까지 탈취되고 관아 소속의 수조지도 점탈되었다. 그런가 하면 諸道에서 京軍의 田丁을 鄕吏가 자기 것으로 삼기도 하였다. 전제개혁이 논란되던 고려 최말에는 왕실의 莊ㆍ處, 田柴, 外役, 軍田이 모두 貪墨家로 들어갔다는 極言이 나올 만큼 형세는 심각하였다.(pp.228-229)

고려왕조 토지조세체계의 골격은 전시과였다. 전시과 정상 운영의 핵심조건은 수조지의 회수와 재분배가 순조롭고 수조권자 전주와 납조자 전객 사이의 갈등ㆍ마찰이 완충되는 데 있었다. 그러므로 전시과는 국가의 수조지ㆍ수조권에 대한 관리와 통제가 약화ㆍ퇴락하고 아울러 이로 인하여 소유지ㆍ소유권에 대한 지배의 근거에 계통과 기준이 혼선ㆍ상실되어 양반 전주의 수탈이 심해지고 전객 농민의 저항이 고조되면 그 토지조세의 체계 전체가 혼잡ㆍ혼란스럽게 되고, 심하면 나라 전체가 파탄의 위기에 봉착할 수밖에 없었다. 고려 말의 私田問題는 이런 사정의 集成이었다.(p.333)

<b>전시과에서 과전제도까지,
고려시대의 토지제도의 변천과 그 역사적 의의</b>

고려의 토지제도는 봉건관료국가의 토지분급제의 한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조선과 열국기의 봉지제(封地制)를 계승하고 아래로는 조선의 과전ㆍ직전제로 이어지며, 토지의 소유ㆍ경영상에서는 집권통일국가답게 사적 소유와 경영을 한층 확고히 하고 일원화하는 등 한국 토지제도 발달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차지한다. 나아가 세계 각국의 토지ㆍ농업 전통과 대비하여 이 시기 우리 역사ㆍ문화의 일반성과 개별성을 설정하게 하는 바탕이 된다. 이 책은 신라말ㆍ고려초 새로운 토지조세체계의 확립과 기간(基幹), 경리(經理)와 운용, 고려 후기의 전제(田制) 파행과 전제이정(田制釐整) 등 토지문제와 당시에 시도되었던 타개책 등 당시 토지제도에 대한 풍부한 자료와 해석을 담고 있다.

<b>토지제도의 변동을 통해 고려사를 읽어내기 </b>
우리 역사를 토지제도를 통해 통관(通觀)하는 작업을 해온 이경식 교수(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가 9세기 말에서 14세기에 걸친 고려사를 토지제도를 통해 고찰한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 고려>가 출간되었다. 고려의 토지제도에 대한 관련 자료가 적은 데다 연구자마다 주장이나 학설도 분분한 상황에서 출간된 것이라 매우 소중한 학술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이경식 교수는 우리 역사의 전체적인 발전상을 파악하고 세계사적 관련성을 지니고 고려 국가와 사회의 특징과 위치를 이해하려면 당시의 토지제도를 체계적, 계통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필요에서 자료를 분류사 체계로 정돈하였다.

<b>건국시기의 토지제도 정비에서 고려 말 토지 문제까지
고려시기 토지제도사의 골격을 수립한 역저</b>
이 책에서는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토지조세체계가 확립되는 과정과 이의 경리(經理)ㆍ운용(運用)에 대해 살펴보고, 고려 후기에 전제파행(田制跛行)과 전제이정(田制釐整) 등 토지 문제가 대두되는 바탕과 타개책을 고찰한다. 따라서 이 책은 고려 건국 시기의 토지제도 정비에서 고려 말의 토지문제까지 고려시기 토제도사를 고려왕조와 토지ㆍ농민ㆍ농업의 관계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고려시기 토지제도사의 큰 틀을 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또한 기존 학설에 대한 자료들이 상세하게 실려 있어 이해를 돕는다. 특히 심혈을 기울여 쓴 상세한 주석은 저자의 심도 깊은 연구를 뒷받침하는 것을 넘어서 후속 연구자들에게 풍부한 자료 목록이 될 것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경식

저자 이경식(李景植)는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국사 전공)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국사 전공) 박사. 저서는「朝鮮前期 土地制度硏究―土地分給制와 農民支配」「朝鮮前期 土地制度硏究―農業經營과 地主制」「韓國 古代ㆍ中世初期 土地制度史―古朝鮮~新羅ㆍ渤海」「韓國 中世 土地制度史―朝鮮前期」 「高麗前期의 田柴科」 - 2009년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수상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한국 중세 토지제도사: 고려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