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사 개요
2024년 11월 2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16MB) | 283 쪽
- ISBN 9791199012912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판매가 5,300원
열람기간 : 60일쿠폰적용가 4,77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4판 서문 3
약어 4
서론 9
§1. 교리사의 개념과 과제 9
§2. 교리사의 방법과 구분 10
§3. 교리사 관련 문헌 10
제1부 고대 교회에서의 교리의 형성
제1편 사도 후 시대와 고대 가톨릭 시대의 교리의 형성
제1장 사도 후 시대의 기독교 이해 15
§4. 서론 15
§5. 사도 교부들의 기독교 15
§6. 신앙의 원천과 규범 25
제2장 복음의 이단적 재해석과 개혁 시도 30
§7. 영지주의 30
§8. 유대 기독교 33
§9. 마르키온과 몬타누스 35
제3장 교회 신학의 시작 38
§10. 고대 교회 변증가들 38
§11. 정경, 신앙규칙과 교회의 교리화: 반영지주의 교부들 41
§12. 알렉산드리아 신학 50
제4장 3세기 동안의 교리 발전 57
§13. 기독론 57
§14. 회개와 교회 60
§15. 서방과 동방의 기독교적 세계관 64
제2편 고대 교회의 교리 형성
제1장 삼위일체 교리 69
§16. 아리우스, 아타나시우스, 그리고 제1차 니케아 공의회 69
§17.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까지의 발전 75
§18. 삼위일체론의 완성 85
제2장 기독론 교리 89
§19. 기독론적 대립 89
§20. 네스토리우스와 키릴루스, 에페소스 공의회(431년) 95
§21. 에우티케스 논쟁과 에페소스 및 칼케돈 공의회 99
§22. 단성론과 단의론 논쟁 및 그 발전의 귀결 101
제3장 기독교에 대한 전체 관점 및 그리스 기독교에서의 교리 형성 107
§23. 그리스 기독교 107
§24. 성상 논쟁과 제2차 니케아 공의회 110
제4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 아래 서방 교회 교리 발전(교회, 죄, 은총) 113
§25. 아우구스티누스의 종교적·신학적 통합 관점 113
§26. 도나투스주의 논쟁,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과 성례론 118
§27. 펠라기우스주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죄와 은총에 관한 교리 124
§28. 반(半)펠라기우스주의 논쟁 134
§29. 전승과 교황권 137
제2부 중세 교회에서 교리의 유지, 변형, 발전
제1장 7세기에서 10세기까지의 교리사 143
§30. 대(大)그레고리우스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 143
§31. 교리 논쟁: 양자설 논쟁 145
§32. 성상 공경(숭배)과 필리오케 147
§33. 예정론 148
§34. 동정녀 탄생 150
§35. 성만찬 151
§36. 교회와 참회 153
제2장 스콜라 철학 초기의 교리적 견해들 156
§37. 안셀무스부터 페트루스 롬바르두스까지 신학의 역사 156
§38. 기독론적 대립 161
§39. 속죄론 162
§40. 성만찬론 165
§41. 참회론 168
§42. 일곱 성사 168
제3장 스콜라 철학의 전성기 동안의 교회 교리 170
§43. 13세기 신학 170
§44. 개별 교리: 하나님과 그리스도 175
§45. 원죄와 죄 177
§46. 그리스도의 사역 178
§47. 은총과 자유, 칭의와 공로 180
§48. 성사들 182
§49. 교회 개념 190
제4장 스콜라 신학의 쇠퇴와 중세 후기 교회의 위기 192
§50. 교회와 삶 192
§51. 둔스 스코투스 194
§52. 중세 후기 스콜라 신학 연구 197
§53. 아우구스티누스적 경향 204
§54.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207
제3부 종교개혁에 의한 교리의 발전과 가톨릭의 반대 교리 확립
제1편 개신교 교리 개념의 생성
제1장 루터의 교리 213
§55. 루터의 교리사적 위치 213
§56. 루터 교리의 초기 형태 214
§57. 복음적 회개 관점에서 본 복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믿음, 행위, 율법, 복음, 죄, 은총, 칭의, 속죄) 219
§58. 루터의 교회 개념, 말씀과 성례 229
§59. 성경과 교리에 대한 루터의 입장 233
제2장 츠빙글리와 루터 235
§60.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사상 235
§61. 성만찬 논쟁 238
제3장 새로운 교리 241
§62.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241
§63. 초기 개혁파 신앙고백 246
제2편 개신교 교리 개념의 발전과 잠정적 완성
제1장 루터파 교리가 일치신조에 이르기까지 248
§64. 멜란히톤의 신학과 교리사적 의미 248
§65. 루터의 죽음부터 일치 신조까지 루터파 내부의 신학적 논쟁들 252
§66. 일치 신조 256
§67. 칼뱅 신학의 교리사적 의미 260
§68. 교회 교리로서의 칼뱅의 교리 267
제3편 가톨릭 교회에서의 교리 형성의 완성
§69. 트리엔트 공의회에 의한 중세 신학의 교회 교리로서의 확립 270
§70. 아우구스티누스적 은총론에 대한 반발과 교회의 거부 276
§71. 제1차 바티칸 공의회 279
§72. 결론 281
유스티누스는 기독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나는 이것이 안전하고 유익한 유일한 철학임을 발견하였다"(ταύτην μόνην εὕρισκον φιλοσοφίαν ἀσφαλῆ τε καὶ σύμφορον, «디알로고스» 8). 기독교의 진리성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구약성서의 예언들과의 합치를 통하여 입증된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그들의 교훈(δίδαγμα)을 통하여 스스로 하나님을 거부하였다.
테르툴리아누스에 의하면 죄인은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이므로, 하나님께 속죄를 하여야 한다(deo offenso satisfacere). 이는 특히 공개적 고백(exomologesis)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진정한 마음의 회개(paeniteat ex animo), 죄의 고백(confessio delictorum), 속죄 계획의 수립(confessio satisfactionis consilium est, Tertullianus, De paenitentia 8). 이것이 고해성사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속죄(satisfactio)의 원리가 유대교에서 기원한 것과 마찬가지로, 죽을죄의 개념과 일반적 속죄 행위(금식, 기도, 자선)도 동일한 유래를 가지고 있다.
동방과 서방의 기독교 이해의 차이는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Tertullianus, Cyprianus, Clemens, Origenes, Methodius에게서 뚜렷이 나타났다. 서방에서는 종교를 하나님과의 법적 관계로 이해하였다. 관심의 중심에는 죄책감으로서의 죄, 은총과 용서, 교회의 일치와 거룩함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펠라기우스는 400년 이전에 로마에서 활동하였으며 점진적으로 지지자들을 획득하였다. 켈레스티우스가 그와 동참하였고, 418년부터는 에클라눔의 율리아누스도 참여하게 되었다. 펠라기우스는 다음과 같이 교설을 전개하였다. a) 자유의지 또는 언제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possibilitas)은 인간의 본질적 속성에 해당한다. 하나님께서는 이성적 피조물을 자발적인 선의 선물과 자유의지의 능력으로 창조하고자 하셨으며, 양측의 가능성을 인간에게 부여하심으로써 그가 원하는 것을 그의 것으로 만드셨다. 이로써 인간은 선과 악 모두를 수용할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자신의 의지를 어느 한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안셀무스(Anselmus)는 창조하는 본질(creatrix essentia)이 사유하는 영이며 통치하시는 주님이라고 제시하였다. 알렉산더(Alexander)와 보나벤투라(Bonaventura)는 하나님을 영적이며 의로우시고 자비로우신 의지로서 나타나시는 절대적 원인으로 이해하였다. 하나님은 전체 원인(tota causa)으로서, 또한 다른 원인들과 함께(cum aliis causis) 역사하시며, 자유로운 존재도 의도하신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신학대전»(Summa theologica I q. 2-26)에서 다음과 같이 논하였다. 하나님은 제1 운동자(primum movens)이시며, 따라서 어떠한 잠재력의 혼합도 없는 순수 현실태(actus purus absque alicuius potentialitatis permistione)이시다.
고대 교회 교리에 대한 루터의 입장(특히 ⟪공의회와 교회에 대하여»1539), ⟪세 가지 신조»1538) 참조)은 모든 공의회가 구속력 있는 권위가 결여되어 있다는 명확한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의회의 결정들은 그 자체로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성경과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만 수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의회는 새로운 신앙 조항을 제정할 권한이 없으며, 다만 성경과 고대의 신앙에 근거하여 새로운 신앙 조항을 제한하고 정죄할 수 있을 뿐이다."
정통주의 시대의 교리 경직(체계화), 경건주의에 의한 교리의 약화(유연화), 합리주의로 인한 교리의 해체(재구성), 그리고 우리 시대에 이르러 교리가 경험한 해석과 오해, 심화된 이해와 근본적 재고에 관하여 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기존 교리의 폐기나 새로운 교리의 창출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도출된 결론은 신학 분야인 상징주의(Symbolik)와 현대 개신교 신학사가 현행 교리의 타당성과 이해에 관한 역사적 연구에 기여하는 한에서 더욱 견지되어야 할 것이다.
라인홀트 제베르크의 『교리사 개요』는 기독교 교리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탁월한 입문서다. 이 저서는 복잡다단한 교리 발전의 흐름을 핵심 인물과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재구성하여, 초심자도 교리사의 전체 맥락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각 교리의 발생 배경과 신학적 함의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균형 있게 조명함으로써, 교리 형성의 역동적 과정을 생생하게 포착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심화 연구를 위한 체계적인 참고문헌 제시는 이 책의 학술적 가치를 한층 높인다. 『교리사 개요』는 단순한 입문서의 범주를 넘어, 현대 교리사 연구의 방법론적 모범을 보여주는 고전적 저작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라인홀트 제베르크
라인홀트 제베르크(Reinhold Seeberg, 1859-1935)는 독일의 저명한 신학자이자 교회사학자로, 베를린 대학교(현재 훔볼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중세 교회사와 교리사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실증주의적 접근을 통해 전통적인 신학적 입장을 유지했으며, 디트리히 본회퍼의 박사학위 논문 지도교수로서 여러 제자 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제베르크는 20세기 초 독일 신학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학문적 업적은 많은 신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어 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 저술로는 전체 5권의 ⟪교리사 교과서⟫(Lehrbuch der Dogmengeschichte)가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