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형법강론

이상돈 지음
박영사

2024년 10월 31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09월 1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14.45MB)
ISBN 9791130387451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43,000원

쿠폰적용가 38,7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편 형법총론

제1장 형법의 기초
§1. 형법의 의의 3
Ⅰ. 형법의 개념, 성격, 유형 3
Ⅱ. 형법의 임무 3
§2. 죄형법정주의 9
Ⅰ. 죄형법정주의의 의의 9
Ⅱ. 법률주의 10
Ⅲ. 소급효금지원칙 13
Ⅳ. 명확성원칙 17
Ⅴ. 유추금지원칙 21
§3. 형법의 적용범위 28
Ⅰ. 국내법으로서 형법의 적용범위 28
Ⅱ. 형법의 변경과 적용 31

제2장 구성요건론
§4. 범죄의 기본개념 36
Ⅰ. 범죄의 의의 36
Ⅱ. 범죄의 성립조건ㆍ처벌조건ㆍ소추조건 36
Ⅲ. 범죄의 종류 39
§5. 행 위 론 45
Ⅰ. 행위론의 의의 45
Ⅱ. 행위론의 내용 46
Ⅲ. 행위론과 범죄체계론 47
§6. 구성요건의 기초이론 50
Ⅰ. 구성요건의 의의 50
Ⅱ. 구성요건이론 51
Ⅲ. 구성요건의 체계와 구조 53
§7. 행위주체 56
Ⅰ. 행위주체의 범죄능력 56
Ⅱ. 양벌규정 57
§8. 고 의 62
Ⅰ. 고의의 의의 62
Ⅱ. 고의 개념의 구조 63
Ⅲ. 고의의 인식적 요소 65
Ⅳ. 고의의 의지적 요소 72
Ⅴ. 고의의 유형 76
§9. 과 실 78
Ⅰ. 서  론 78
Ⅱ. 과실범의 불법구성요건 79
Ⅲ. 과실범의 위법성과 책임 87
Ⅳ. 과실범의 미수와 공범 89
§10. 결과적 가중범 90
Ⅰ. 서  론 90
Ⅱ. 결과적 가중범의 구성요건 93
Ⅲ. 결과적 가중범의 위법성과 책임 97
Ⅳ.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와 공범 98
§11. 인과관계 101
Ⅰ. 서  론 101
Ⅱ. 인과관계의 유무 102
Ⅲ. 인과관계의 범위 106
Ⅳ. 인과관계의 법적 효과 113
§12. 부작위범 115
Ⅰ. 서  론 115
Ⅱ. 부진정부작위범의 구성요건 118
Ⅲ. 부진정부작위범의 위법성과 책임 127
Ⅳ. 부진정부작위범의 미수와 공범 128
Ⅴ. 부진정부작위범의 처벌 129

제3장 위 법 성
§13. 위법성의 기초이론 131
Ⅰ. 위법성의 의의 131
Ⅱ. 위법성의 통일성과 고유성 133
Ⅲ. 위법성조각의 체계 134
§14. 정당방위 136
Ⅰ. 정당방위 제도의 의의 136
Ⅱ. 정당방위의 성립요건 137
Ⅲ. 정당방위의 법적 효과 145
§15. 긴급피난 148
Ⅰ. 긴급피난 제도의 의의 148
Ⅱ.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150
Ⅲ. 긴급피난의 법적 효과 155
Ⅳ. 의무의 충돌 156
§16. 자구행위 158
Ⅰ. 자구행위 제도의 의의 158
Ⅱ. 자구행위의 요건 159
Ⅲ. 자구행위의 법적 효과 163
§17. 피해자 승낙 164
Ⅰ. 피해자 승낙의 의의 164
Ⅱ. 피해자 승낙의 요건 165
Ⅲ. 피해자 승낙의 효과 169
Ⅳ. 피해자의 양해 170
Ⅴ. 추정적 승낙 171
§18. 정당행위 174
Ⅰ. 법령에 의한 행위 174
Ⅱ. 업무로 인한 행위 179
Ⅲ. 기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182

제4장 책 임 론
§19. 책임이론 185
Ⅰ. 책임의 의의 185
Ⅱ. 책임원칙 188
§20. 책임능력 191
Ⅰ. 책임능력의 의의 191
Ⅱ. 책임능력의 판단과 원인자유행위 192
Ⅲ. 책임무능력자 및 한정책임능력자 199
Ⅳ. 책임무능력의 법적 효과 204
§21. 위법성의 인식과 법률의 착오 206
Ⅰ. 위법성 인식의 의의 206
Ⅱ. 위법성 인식의 내용 208
Ⅲ. 위법성 인식의 흠결과 법적 효과 211
§22. 면책사유 219
Ⅰ. 면책사유의 일반이론 219
Ⅱ. 기대가능성 219
Ⅲ. 강요된 행위 223
Ⅳ. 기타 면책사유 226

제5장 미 수 론
§23. 미수범의 일반이론 229
Ⅰ. 범죄실현의 단계와 제재의 단계 229
Ⅱ. 미수범의 체계 234
Ⅲ. 실행의 착수 236
§24. 장애미수 242
Ⅰ. 장애미수의 의의 242
Ⅱ. 장애미수의 성립요건 242
Ⅲ. 장애미수의 법적 효과 244
§25. 중지미수 245
Ⅰ. 중지미수의 의의 245
Ⅱ.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245
Ⅲ. 중지미수의 법적 효과 251
§26. 불능미수 253
Ⅰ. 불능미수의 의의 253
Ⅱ. 불능미수의 성립요건 253
Ⅲ. 불능미수의 처벌 257

제6장 공 범 론
§27. 공범이론 258
Ⅰ. 공범체계 258
Ⅱ. 정범과 공범의 구별 259
Ⅲ. 공범의 종속과 그 형식 263
Ⅳ. 정범의 우위성 264
§28. 간접정범 265
Ⅰ. 간접정범의 의의 265
Ⅱ. 간접정범의 성립요건 266
Ⅲ. 간접정범의 처벌 271
§29. 공동정범 273
Ⅰ. 공동정범의 의의 273
Ⅱ. 공동정범의 성립요건 274
Ⅲ. 공동정범의 처벌 280
Ⅳ. 합동범과 공동범 283
§30. 교 사 범 288
Ⅰ. 교사범의 의의 288
Ⅱ. 교사범의 성립요건 288
Ⅲ. 교사범의 처벌 295
§31. 종 범 297
Ⅰ. 종범의 의의 297
Ⅱ. 종범의 성립요건 297
Ⅲ. 종범의 처벌 305
§32. 공범과 신분 306
Ⅰ. 공범의 신분에 관한 규율 306
Ⅱ. 구성적 신분과 공범: 제33조 본문의 해석 308
Ⅲ. 가감적 신분과 공범: 제33조 단서의 해석 311

제7장 죄 수 론
§33. 죄수론 314
Ⅰ. 죄수론의 의의 314
Ⅱ. 일 죄 315
Ⅲ. 수 죄 323

제8장 형 벌 론
§34. 형벌의 종류와 경중 329
Ⅰ. 사 형 330
Ⅱ. 자 유 형 331
Ⅲ. 재 산 형 332
Ⅳ. 자 격 형 338
Ⅴ. 형의 경중 339
§35. 형의 양정 340
Ⅰ. 양형의 의의 340
Ⅱ. 형의 양정 순서 341
Ⅲ. 형의 가중ㆍ감경사유 342
Ⅳ. 형의 유예제도 346
§36. 형의 집행과 소멸 352

제2편 형법각론

제9장 생명과 신체에 관한 죄
§37. 살인의 죄 361
Ⅰ. 서 론 361
Ⅱ. 보통 살인죄 361
Ⅲ. 존속살해죄 364
Ⅳ. 촉탁ㆍ승낙에 의한 살인죄 366
Ⅴ. 자살교사ㆍ방조죄 368
Ⅵ. 위계ㆍ위력에 의한 살인죄 369
Ⅶ. 살인예비ㆍ음모죄 370
§38. 상해와 폭행의 죄 371
Ⅰ. 서 론 371
Ⅱ. 상 해 죄 371
Ⅲ. 존속상해죄 373
Ⅳ. 중상해죄ㆍ존속중상해죄 374
Ⅴ. 특수상해죄 375
Ⅵ. 상해치사죄ㆍ존속상해치사죄 375
Ⅶ. 동시범의 특례 377
Ⅷ. 상습상해죄 378
Ⅸ. 폭행죄와 존속폭행죄 378
Ⅹ. 폭행치사상죄 380
ⅩⅠ. 공동폭행죄 381
ⅩⅡ. 상습폭행죄 382
ⅩⅢ. 특수폭행죄 382
§39. 과실치사상의 죄 384
Ⅰ. 서 론 384
Ⅱ. 과실치사상죄 384
Ⅲ. 업무상 과실치사상죄 387
Ⅳ. 중과실치사상죄 393
§40. 낙 태 죄 394
Ⅰ. 서 론 394
Ⅱ. 자기낙태죄 395
Ⅲ. 동의낙태죄 396
Ⅳ. 업무상 낙태죄 397
Ⅴ. 부동의낙태죄 397
Ⅵ. 낙태치사상죄 398
Ⅶ. 낙태의 정당화 398
§41. 유기와 학대의 죄 400
Ⅰ. 서 론 400
Ⅱ. 유 기 죄 401
Ⅲ. 단순학대죄 404
Ⅳ. 유기치사상죄와 학대치사상죄 406
Ⅴ. 아동혹사죄 407

제10장 자유에 관한 죄
§42. 협 박 죄 409
Ⅰ. 서 론 409
Ⅱ. 협 박 죄 410
§43. 강요의 죄 413
Ⅰ. 서 론 413
Ⅱ. 강 요 죄 414
Ⅲ. 중강요죄와 특수강요죄 417
Ⅳ. 인질강요의 죄 418
§44. 체포와 감금의 죄 421
Ⅰ. 서 론 421
Ⅱ. 체포ㆍ감금죄 422
Ⅲ. 체포ㆍ감금죄의 가중구성요건 424
Ⅳ. 체포ㆍ감금치사상죄 425
§45. 약취ㆍ유인 및 인신매매의 죄 427
Ⅰ. 서 론 427
Ⅱ. 미성년자약취ㆍ유인의 죄 428
Ⅲ. 추행ㆍ노동력 착취ㆍ국외이송 목적의 약취ㆍ유인죄 432
Ⅳ. 인신매매죄 434
§46. 강간과 추행의 죄 436
Ⅰ. 서 론 436
Ⅱ. 강간(및 유사강간)의 죄 438
Ⅲ. 강제추행의 죄 443
Ⅳ. 준강간과 준강제추행의 죄 447
Ⅴ. 위계ㆍ위력에 의한 간음ㆍ추행의 죄 449
Ⅵ. 소아 간음과 추행의 죄 452
Ⅶ. 피구금자와 장애ㆍ청소년의 특별보호 454
Ⅷ. 강간 등 상해ㆍ치상죄와 강간 등 살인ㆍ치사죄 456

제11장 명예에 관한 죄
§47. 명예와 모욕의 죄 459
Ⅰ. 서 론 459
Ⅱ. 명예훼손죄 460
Ⅲ. 사자명예훼손죄 468
Ⅳ. 모 욕 죄 469
§48. 신용, 업무와 경매에 관한 죄 472
Ⅰ. 신용훼손죄 472
Ⅱ. 업무방해죄 473
Ⅲ. 경매ㆍ입찰방해죄 481

제12장 사생활의 평온에 관한 죄
§49. 비밀침해와 누설의 죄 484
Ⅰ. 비밀침해죄 484
Ⅱ. 업무상비밀누설죄 485
Ⅲ. 정보통신망법상의 비밀침해와 비밀누설죄 487
§50. 주거침입과 주거ㆍ신체수색의 죄 489
Ⅰ. 서 론 489
Ⅱ. 주거침입죄 489
Ⅲ. 퇴거불응죄 495
Ⅳ. 주거ㆍ신체수색죄 496

제13장 재산에 관한 죄
§51.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죄 497
Ⅰ. 권리행사방해죄 497
Ⅱ. 점유강취ㆍ준점유강취 500
Ⅲ. 강제집행면탈죄 501
§52. 절도의 죄 505
Ⅰ. 서 론 505
Ⅱ. 단순 절도죄 506
Ⅲ. 야간주거침입절도와 특수절도 516
Ⅳ. 자동차등 불법사용죄 518
Ⅴ. 상습절도죄ㆍ절도누범 518
§53. 강도의 죄 521
Ⅰ. 서 론 521
Ⅱ. 강 도 죄 522
Ⅲ. 특수강도죄 524
Ⅳ. 강도상해ㆍ강도치상, 강도살인ㆍ강도치사 525
Ⅴ. 강도강간죄 527
Ⅵ. 준 강 도 528
Ⅶ. 인질강도죄 530
Ⅷ. 해상강도죄 530
Ⅸ. 강도예비ㆍ음모죄 531
§54. 사기의 죄 532
Ⅰ. 서 론 532
Ⅱ. 사 기 죄 533
Ⅲ. 컴퓨터등 사용사기죄 545
Ⅳ. 준 사 기 547
Ⅴ. 편의시설부정이용죄 548
Ⅵ. 부당이득죄 549
§55. 공갈의 죄 551
Ⅰ. 서 론 551
Ⅱ. 공 갈 죄 552
§56. 횡령의 죄 557
Ⅰ. 서 론 557
Ⅱ. 횡 령 죄 558
Ⅲ. 점유이탈물횡령죄 569
§57. 배임의 죄 571
Ⅰ. 서 론 571
Ⅱ. 배 임 죄 573
Ⅲ. 배임수ㆍ증재죄 587
§58. 장물의 죄 592
Ⅰ. 서 론 592
Ⅱ. 장물취득, 양도, 운반, 보관, 알선죄 593
Ⅲ. 상습장물취득ㆍ양도ㆍ운반ㆍ보관ㆍ알선 601
Ⅳ. 업무상 과실ㆍ중과실 장물취득ㆍ운반ㆍ보관ㆍ알선 602
§59. 손괴의 죄 603
Ⅰ. 서 론 603
Ⅱ. 손 괴 죄 604
Ⅲ. 공익건조물 파괴죄 610
Ⅳ. 중손괴죄와 손괴치사상죄 610
Ⅴ. 특수손괴죄, 공동손괴죄, 누범 611
Ⅵ. 경계침범죄 612

제14장 공공의 안전과 평온에 관한 죄
§60. 공안을 해하는 죄 615
Ⅰ. 범죄단체조직죄 615
Ⅱ. 소 요 죄 617
Ⅲ. 다중불해산죄 618
Ⅳ. 전시공수계약불이행죄 619
Ⅴ. 공무원자격사칭죄 620
§61. 폭발물에 관한 죄 621
Ⅰ. 폭발물사용죄 621
Ⅱ. 전시폭발물제조죄등 622
§62. 방화와 실화의 죄 623
Ⅰ. 서 론 623
Ⅱ. 현주건조물등방화죄와 현주건조물등방화치사상죄 625
Ⅲ. 공용건조물등방화죄 631
Ⅳ. 일반건조물등방화죄 631
Ⅴ. 일반물건방화죄 632
Ⅵ. 연 소 죄 633
Ⅶ. 진화방해죄 634
Ⅷ. 실화죄ㆍ업무상실화ㆍ중실화죄 635
Ⅸ. 폭발성물건파열죄ㆍ폭발성물건파열치사상죄 637
Ⅹ. 가스ㆍ전기 등 방류죄, 가스ㆍ전기 등 방류치사상죄 638
ⅩⅠ. 가스ㆍ전기 등 공급방해죄, 가스ㆍ전기 등 공급방해치사상죄 639
ⅩⅡ. 과실폭발성물건파열 등 639
ⅩⅢ. 방화예비ㆍ음모죄 640
§63. 일수와 수리에 관한 죄 641
Ⅰ. 서 론 641
Ⅱ. 현주건조물등일수죄ㆍ현주건조물등일수치사상죄, 공용건조물등일수죄, 일반건조물등일수죄 641
Ⅲ. 방수방해죄 642
Ⅳ. 과실일수죄 642
Ⅴ. 수리방해죄 643
§64. 교통방해의 죄 644
Ⅰ. 일반교통방해죄 644
Ⅱ. 기차ㆍ선박 등 교통방해죄 647
Ⅲ. 기차 등 전복죄 647
Ⅳ. 교통방해치사상죄 648
Ⅴ. 과실교통방해죄ㆍ업무상 과실ㆍ중과실교통방해죄 등 649

제15장 공중의 건강에 관한 죄
§65. 먹는 물에 관한 죄 650
Ⅰ. 먹는물사용방해죄 650
Ⅱ. 수돗물사용방해죄 652
Ⅲ. 수도불통죄 653
§66. 아편에 관한 죄 655
Ⅰ. 서 론 655
Ⅱ. 아편의 사회적 확산과 유통에 관한 죄 656
Ⅲ. 아편의 개인적 사용에 관한 죄 658

제16장 공공의 신용에 관한 죄
§67. 통화에 관한 죄 661
Ⅰ. 서 론 661
Ⅱ. 통화위조ㆍ변조죄 및 행사죄 661
Ⅲ. 위조ㆍ변조통화 행사ㆍ수입ㆍ수출죄 664
Ⅳ. 위조ㆍ변조 통화 취득죄 665
Ⅴ. 위조통화취득후지정행사죄 665
Ⅵ. 통화유사물의 제조ㆍ수입ㆍ수출ㆍ판매죄 666
§68. 유가증권, 인지와 우표에 관한 죄 667
Ⅰ. 서 론 667
Ⅱ. 유가증권 위조ㆍ변조죄 667
Ⅲ. 자격모용에 의한 유가증권작성죄 671
Ⅳ. 허위유가증권작성죄 672
Ⅴ. 위조 등 유가증권 행사ㆍ수입ㆍ수출죄 672
Ⅵ. 인지ㆍ우표 위조ㆍ변조죄 및 행사ㆍ수입ㆍ수출죄 673
Ⅶ. 위조ㆍ변조 인지ㆍ우표 취득죄 674
Ⅷ. 소인말소죄 674
Ⅸ. 인지ㆍ우표유사물 제조ㆍ수입ㆍ수출ㆍ판매죄 675
§69. 문서에 관한 죄 676
Ⅰ. 서 론 676
Ⅱ. 공ㆍ사문서등 위조ㆍ변조죄 683
Ⅲ. 자격모용에 의한 공문서작성죄 689
Ⅳ. 전자기록위작ㆍ변작죄 692
Ⅴ. 허위문서작성죄 694
Ⅵ. 공정증서원본부실기재죄 699
Ⅶ. 위조등문서행사죄 704
Ⅷ. 문서부정행사죄 706
§70. 인장에 관한 죄 709
Ⅰ. 서 론 709
Ⅱ. 공인 등 위조ㆍ부정사용죄ㆍ위조공인 등 행사죄 709
Ⅲ. 사인 등 위조ㆍ부정사용죄, 위조사인 등 행사죄 710

제17장 사회의 윤리에 관한 죄
§71. 성풍속에 관한 죄 713
Ⅰ. 서 론 713
Ⅱ. 음행매개죄 713
Ⅲ. 음화제조ㆍ반포죄 714
Ⅳ. 공연음란죄 719
§72.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 721
Ⅰ. 서 론 721
Ⅱ. 도박죄와 상습도박죄 722
Ⅲ. 도박장소등개설죄 725
Ⅳ. 복표발매ㆍ중개ㆍ취득죄 727
§73. 신앙에 관한 죄 729
Ⅰ. 서 론 729
Ⅱ. 장례식등방해죄 729
Ⅲ. 시체ㆍ유골ㆍ유발오욕죄 731
Ⅳ. 분묘발굴죄 731
Ⅴ. 시체등의 유기죄 734

제18장 국가의 존립과 권위에 관한 죄
§74. 내란의 죄 736
Ⅰ. 서 론 736
Ⅱ. 내 란 죄 736
Ⅲ. 내란목적살인죄 738
Ⅳ. 내란(목적살인) 예비ㆍ음모ㆍ선동ㆍ선전죄 738
§75. 외환의 죄 740
Ⅰ. 서 론 740
Ⅱ. 외환유치죄 740
Ⅲ. 여 적 죄 741
Ⅳ. 이 적 죄 741
Ⅴ. 간 첩 죄 742
Ⅵ. 전시군수계약불이행죄 744
§76. 국기에 관한 죄 745
Ⅰ. 국기ㆍ국장모독죄 745
Ⅱ. 국기ㆍ국장비방죄 745
§77. 국교에 관한 죄 746
Ⅰ. 서 론 746
Ⅱ. 외국의 권위를 훼손하는 죄 746
Ⅲ. 국제평화를 해하는 죄 747
Ⅳ. 외교상 기밀누설죄 748

제19장 국가의 기능에 관한 죄
§78.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 749
Ⅰ. 서 론 749
Ⅱ. 직무위배의 죄 750
Ⅲ. 직권남용의 죄 757
Ⅳ. 뇌 물 죄 765
§79. 공무방해에 관한 죄 784
Ⅰ. 서 론 784
Ⅱ. 공무집행방해죄 785
Ⅲ. 위계공무집행방해죄 793
Ⅳ. 특정한 공무를 보호하는 공무방해죄 797
Ⅴ. 공무의 물적 조건을 보호하는 공무방해죄 801
Ⅵ. 특수공무방해죄 811
§80. 도주와 범인은닉의 죄 812
Ⅰ. 서 론 812
Ⅱ. 도주의 죄 812
Ⅲ. 도주원조죄 814
Ⅳ. 범인은닉ㆍ도피죄 815
§81. 위증과 증거인멸의 죄 819
Ⅰ. 위증의 죄 819
Ⅱ. 증거인멸의 죄 824
§82. 무고의 죄 828

사항색인 833

제 5 판 머 리 말
- -
형법강론을 독자친화적인 형태로 거듭나게 한 제4판이 출간된 지 1년 여가 지났다. 독자들로부터 기대 이상의 사랑을 받았다. 지난 1년 여 동안 쌓인 새로운 판례들과 법령의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는 보완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의 결과물을 놓고 보니 질과 양에서 예상치를 넘는 변화가 느껴졌다. 그래서 이번 개정작업을 부득이하게 제5판의 이름으로 세상에 내보이게 되었다. 다소 빠른 개정 주기이기에 독자들의 넓은 이해와 아량을 부탁드리며, 앞으로도 계속된 사랑을 기대하고 싶다.

2024. 7. 여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연구실에서
이 상 돈

작가정보

저자(글) 이상돈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ä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형법강론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형법강론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형법강론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