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 조식과의 대화
2022년 06월 15일 출간
국내도서 : 2021년 02월 2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2.71MB)
- ISBN 9788976448378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2,5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편 서설_15
제1장 이 책의 구상 17
제1절 내용의 개관 17
제2절 서술의 순서 19
제3절 역사는 지혜의 곳간 22
Ⅰ. 역사의 개념/22
Ⅱ.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24
Ⅲ. 우리 민족사 읽기/25
제4절 지역사와 지역의 발견 41
Ⅰ. 지방과 지역의 개념/42
Ⅱ. 지역사: 경남의 역사와 주체들/44
제2편 경남의 역사적 이해_49
제2장 삼우당 문익점, 만백성에 따뜻한 옷을 입히다 51
제1절 삼우당 문익점의 생애와 사신 활동 52
Ⅰ. 문익점의 출생과 생애/52
Ⅱ. 관직 경력과 사신단 활동/53
제2절 목화 도입과 전파 57
Ⅰ. 목화의 원산지와 중국 전파/57
Ⅱ. 문익점의 목화 도입과 전파/58
제3절 문익점의 공적에 대한 역사적 평가 60
Ⅰ. 학자와 문인들의 평가/61
Ⅱ. 조정의 문익점 추존과 숭모/63
Ⅲ. 목화 도입과 전파의 역사적 의의/65
제3장 남명 조식, 단성소로 조선을 일깨우다 69
제1절 단성소(을묘사직소)의 전문 70
제2절 단성소에 대한 반응 평가 역사적 의의 75
Ⅰ. 상소에 대한 격렬한 반응/75
Ⅱ. 유가적 이념과 처사 남명의 현실 참여/77
Ⅲ. 조선시대 언로제도/80
Ⅳ. 단성소의 내용과 역사적 의미/81
제4장 남명학파 의병단, 조선을 지킨 방벽이 되었다 91
제1절 조선이 극복한 임진왜란 92
제2절 진주성전투 승전과 의병 활동 94
Ⅰ. 왜란의 발발과 파죽지세/94
Ⅱ. 진주성전투 승전(제1차)/95
제3절 남명학파의 의병 활동 99
Ⅰ. 곽재우의 의병 활동/100
Ⅱ. 정인홍의 의병 활동/106
Ⅲ. 김면의 의병 활동/110
Ⅳ. 남명학파 의병 활동/115
제5장 진주 농민들, 봉건제를 흔들고 근대로 나아가다 121
제1절 삼정문란과 계급제 이완: 보편성 요인 122
Ⅰ. 조선 후기 조세제도/122
Ⅱ. 전정/123
Ⅲ. 군정/125
Ⅳ. 환정/128
제2절 서리 작폐와 농민의 각성: 지역적 요인 133
Ⅰ. 두 관청 수령과 아전의 경쟁적 착취/133
Ⅱ. 헌신적인 지도자들과 농민의 각성/135
제3절 진주농민항쟁의 전개 과정 138
Ⅰ. 농민항쟁의 준비 단계/138
Ⅱ. 농민항쟁의 실행 단계/140
제4절 진주농민항쟁의 역사적 의의와 평가 145
Ⅰ. 불의한 계급 지배 수탈 착취에 맞섬/145
Ⅱ. 스스로의 생존을 위하여 부패 타락한 관권에 맞섬/146
Ⅲ. 피지배층의 각성과 연대, 그리고 공의의 실천/147
Ⅳ. 조선 사회 최초의 집합적 농민운동/148
Ⅴ. 근대사회로 나아가는 첫걸음, 농민항쟁/148
제6장 진주 형평사, 백정을 저울대에 얹고 평등을 외치다 150
제1절 형평사 창립과 형평운동의 출발 152
Ⅰ. 형평사 창립과 그 취지/153
Ⅱ. 형평사 창립 축하식 및 홍보/155
Ⅲ. 형평사 조직의 전국 확대/157
Ⅳ. 형평운동의 결말: 사상단체와 결합대립갈등/159
제2절 형평운동의 발생: 보편성 요인 166
Ⅰ. 백정의 차별 학대/167
Ⅱ. 계급적 신분제 와해/169
Ⅲ. 신분 차별 폐지법/171
Ⅳ. 자유평등사상/171
제3절 형평운동의 발생: 지역적 요인 173
Ⅰ. 사회운동 선각자 활동/173
Ⅱ. 진주의 역사와 문화/175
Ⅲ. 공론의 장 언론의 역할/176
Ⅳ. 백정 차별의 사례/177
제4절 진주형평운동의 역사적 의의 179
제7장 마산 3 15의거, 시민의 피로 민주 제단을 쌓다 180
제1절 마산 3 15의거의 일지 181
Ⅰ. 제1차 마산의거 발발(1960년 3월 15일)/182
Ⅱ. 제2차 마산의거 발발(1960년 4월 11일~4월 13일)/184
Ⅲ. 마산의거의 전국 확산/186
제2절 마산 3 15의거의 인과적 이해 186
Ⅰ. 외부적 요인: 보편성 요인/188
Ⅱ. 내부적 요인: 지역적 요인/192
제3절 마산 3 15의거의 역사적 의의와 평가 203
제8장 부마민주항쟁, 18년 독재를 무너뜨리다 207
제1절 부마민주항쟁의 배경 207
제2절 부마민주항쟁의 전개 210
Ⅰ. 부산의 민주항쟁/210
Ⅱ. 마산의 민주항쟁/215
제3절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의 216
Ⅰ. 부마민주항쟁의 결말/216
Ⅱ.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의/217
제9장 경남, 행의문화(行義文化)의 산실이더라 220
제1절 역사적 사건의 중심 가치 읽기 220
제2절 핵심 가치 찾기 221
Ⅰ. 역사적 주체들이 주창한 가치/221
Ⅱ. 핵심 또는 근본 가치/222
Ⅲ. 역사 주체들의 실천에 관한 부가적 논의/223
제3절 경남문화 패턴 읽기 225
Ⅰ. 문익점 조식의 사고와 행동에서 패턴 읽기/225
Ⅱ. 문화, 그리고 경남문화/226
제3편 경남의 역사와 남명의 상관성_229
제10장 경남은 의(義)를 주로 삼으니, 남명의 영향이라 231
제1절 경남의 역사와 문화 현상 231
제2절 경남의 역사와 남명의 영향 232
Ⅰ. 성호 이익의 말/232
Ⅱ. 경남 역사에 대한 남명의 영향/233
제4편 민족의 스승 남명 조식_243
제11장 남명은 조선의 봉황이었다 245
제1절 군왕과 사관의 평가: 사제문(賜祭文)과 시호(諡號) 등 246
Ⅰ. 선조의 사제문/246
Ⅱ. 광해군의 시호와 사제문/247
Ⅲ. 영조의 평가와 정조의 사제문/248
Ⅳ. 사관들의 평가/250
제2절 학자들의 평가: 남명에 부여한 호칭 253
Ⅰ. 조선 최고의 교육자/253
Ⅱ. 선비정신의 표상/254
Ⅲ. 출처의 대본/254
Ⅳ. 민족의 스승/255
Ⅴ. 그 밖의 호칭/256
Ⅵ. 민족의 스승이요 선비정신의 표상/257
제12장 남명, 학문의 통섭을 이루다 260
제1절 남명의 생애 260
Ⅰ. 출생/260
Ⅱ. 한양 이주 및 유 소년기의 공부/261
Ⅲ. 산해정에서 학문에 몰입하다/262
Ⅳ. 뇌룡정 시대를 열다/265
Ⅴ. 산천재 시대를 열다/267
제2절 남명의 학문 268
Ⅰ. 학문의 개념/268
Ⅱ. 남명은 왜 과거를 버렸을까?/269
Ⅲ. 남명의 학문/274
제13장 남명의 사상과 실천: 탁류 속의 맑은 물 307
제1절 경세와 경세사상의 이해 308
Ⅰ. 경세의 이해/308
Ⅱ. 사상의 개념/309
Ⅲ. 경세사상의 이해/310
제2절 남명의 경세사상 311
제3절 경의사상과 실천 314
Ⅰ. 경의(敬義)의 전거와 창의적 변환/314
Ⅱ. 경의(敬義)의 의미/317
Ⅲ. 신명사도와 신명사명의 이해/318
Ⅳ. 경의사상: 남명사상의 바탕/329
제4절 출처사상과 실천 330
Ⅰ. 출처의 개념과 의의/331
Ⅱ. 남명의 출처사상/334
Ⅲ. 출처사상의 실천/339
제5절 정치사상과 실천 341
Ⅰ. 유가적 정치의 이상/341
Ⅱ. 정치사상의 실천: 상소문과 민암부를 중심으로/343
제6절 교육사상과 실천 354
Ⅰ. 남명 교육사상의 배경/355
Ⅱ. 남명 교육사상과 실천/356
Ⅲ. 남명교육의 역사적 의의/361
제7절 남명의 자기 실천: 그가 실천유학자인 이유 363
Ⅰ. 자기 실천의 개념/364
Ⅱ. 경을 통한 남명의 자기 실천/365
제14장 인조정변: 역사적 반동이요 매국의 시작이었다 370
제1절 인조정변: 꼬여버린 조선 역사 371
제2절 폐모살제: 날조된 죄목 372
제3절 악화가 구축한 양화: 남명학파 378
제4절 시간의 정의(正義): 남명에 비친 햇살 384
제5절 주자학: 나쁜 경로 의존 385
제6절 올바른 역사 인식: 잃어버린 정신 찾기 390
제5편 책을 마치며_393
제15장 정각(正覺)의 역사를 찾아서 395
제1절 혼몽의 역사: 쪼개고 작아진 공동체 396
제2절 미래의 모색: 정각자들이 만드는 역사 405
Ⅰ. 우리 역사 속의 정각자/399
Ⅱ. 정각자들이 만드는 역사를 대망하다/400
제3절 역사 청산, 이래서 중요하다 404
Ⅰ. 무른 역사 청산과 극심한 가치 혼란/404
Ⅱ. 역사 기억, 어떻게 하여야 할까?/405
Ⅲ. 정각자들의 역사를 위하여/407
참고 문헌 409
찾아보기 420
작가정보
저자(글) 김영기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