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행정윤리

신용일 지음
대영문화사

2022년 11월 15일 출간

국내도서 : 2022년 08월 2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11.29MB)
ISBN 9788976440761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35,000원

쿠폰적용가 31,5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 책은 행정학을 다룬 이론서이다. 행정윤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머리말 / 3

CHAPTER 01 총론: 다양한 개념의 의미와 이해 23
제 1 절 자유주의에 관련된 개념들 ········································································ 28
제 2 절 민주주의에 관련된 개념들 ········································································ 33
제 3 절 자유와 민주주의 이념에 기초한 공적인 영역에서 시민윤리 ·················· 36
제 4 절 사적인 삶의 영역에서의 시민윤리와 도덕 ··············································· 37
제 5 절 정부(Government)와 관련된 개념들 ························································ 40
제 6 절 직업공무원(Professional Public Service) ················································· 42
제 7 절 직업공무원의 윤리 ····················································································· 46
제 8 절 제4부로서 행정(PA)의 업무처리 권한과 책임 ········································· 47
1. 정무직과 경력직 공무원 사이의 관계 / 48
2. 관료제 때리기와 공무원의 핵심 가치 / 54
3. 의회와 행정부 각 부처 사이의 업무관계 / 57
4. 정부 부ㆍ처ㆍ청 사이의 업무상 갈등ㆍ경쟁ㆍ협력관계 / 59
제 9 절 행정의 역할 정의 ························································································ 60
제10절 시민참여와 거버넌스(Governance), 협동생산의 필요성 ··························· 61
제11절 정부에서 공무원의 역할 중요성 부각 및 공정한 인사관리의 필요성 ······ 63

CHAPTER 02 막스 베버 사상의 미국 행정(과학)에 기여와 한계 65
제 1 절 서론: 연구 목적과 주요 비교 쟁점 ·························································· 68
제 2 절 본론: 쟁점 비교, 베버의 행정(과학)에의 기여와 한계점 ························ 73
1. 주요 활동 내역, 연구활동, 그리고 기여 / 73
2. 첫 번째 쟁점: 행정의 가치로서 형평(equity)과 능률(efficiency) / 75
3. 베버의 가치중립은 탈정치인가 가치자유인가 / 77
4. 베버(Max Weber)의 관료 조직구조와 미국 헌법원리와의 상충성:
베버 이론의 행정에의 적용 한계점 / 81
제 3 절 주요 논쟁점 정리 ······················································································ 86
제 4 절 결론: 논의 정리 및 연구한계 ··································································· 87

CHAPTER 03 공공부문과 공무원 가치의 철학적 근거 93
제 1 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95
제 2 절 본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론 비교와 공공부문 가치 ····················· 99
1. 비교대상의 규정: 주요 쟁점 / 99
2. 하이에크의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법, 그리고 공공부문 역할 및 가치 / 100
3. 민주주의에서 공공부문 개입 근거로서 사회적 가치 창출 / 109
4. 공공부문 개입의 한계와 범위 설정수단으로서 헌법 / 111
5. 양 정치이념에서 바라본 공무원과 윤리, 그리고 가치 / 113
제 3 절 결어와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제언 ·········································· 120

CHAPTER 04 미국 행정(학), 공무원의 가치, 그리고 헌법 125
제 1 절 서론: 연구 질문, 대상과 목적 ······························································· 128
제 2 절 본론: 민주헌법 국가로서 미국의 행정(학), 그리고 공무원의 기원과 사명,
그리고 가치, 그리고 헌법 구성원리 ··········································· 132
1. 주요 논점 비교 / 132
2. 미국 행정(공무원)의 역할 근거로서 법과 헌법원리 / 136
3. 논의 쟁점 정리 / 155
제 3 절 결론 및 한국 정부 행정과 행정학 교육에 시사점 ································ 158

CHAPTER 05 미국 행정(학)과 행정교육 현황과 제언 165
제 1 절 민주헌법주의 국가로서 미국의 행정(학)과 공무원의 정체성 ············· 167
제 2 절 정치ㆍ행정일원론과 포괄적인 행정 이론화의 어려움 ··························· 170
제 3 절 공무원의 핵심 가치와 행정인 육성 및 교육체계 ································ 171
1. 공무원의 핵심 가치로서 시민요구 대응성과 외적 책임성 / 171
2. 미국 행정인 육성 및 교육체계 / 172
제 4 절 결론: 한국 행정과 행정학 교육에 제언 ················································· 175

CHAPTER 06 대한민국 행정 가치, 정당성, 헌법이념 181
제 1 절 서론 ·········································································································· 183
제 2 절 대한민국 행정 가치와 정당성: 헌법이념과 유사이념 비교 ··················· 187
1. 논의의 쟁점 / 187
2. 한국 자유주의 이념의 기원, 그리고 관련된 헌법 규정 / 189
3. 한국 민주주의 이념의 도입과 관련 헌법 규정 / 193
4. 행정이념 도입과정에서 민본주의의 영향과 헌법 규정과의 차이점 / 202
제 3 절 대한민국 행정의 가치와 쟁점 정리 ························································ 211
1. 행정 가치 / 211
2. 쟁점 정리 / 212
제 4 절 결론과 연구제언 ······················································································ 214

CHAPTER 07 사적입법과 자유(재산권)보호ㆍ보장 219
제 1 절 서론: 문제 제기와 목적 ········································································· 223
제 2 절 본론: 미시관리와 자유보호 수단으로서 사적입법제도 ························ 228
1. 의원 입법안: 공공입법과 사적입법 / 228
2. 사적입법(Private Bills)의 범위와 절차 / 231
제 3 절 결론: 국회에 사적입법제도 도입 및 연구제언 ······································· 234

CHAPTER 08 행정서비스 활동에서 절차적 정의 237
제 1 절 서론: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240
제 2 절 본론: 조직 내ㆍ외 절차적 정의 준수의 효과성 ···································· 242
1. 행정서비스, 경찰활동에서 절차적 정의의 도입배경 / 242
2. 독립ㆍ매개변수: 조직 내ㆍ외부 절차적 정의의 개념이해 / 246
3. 종속변수: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와 협력, 그리고 조직성과 / 250
4. 조절변수: 경찰공무원의 시민 신뢰 / 254
제 3 절 결론: 향후 연구제언 ················································································ 257

CHAPTER 09 가치에 관한 연구와 다양한 접근법 261
제 1 절 가치와 가치에 관한 다양한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 ······························· 264
1. 개인가치 개념의 이해와 정의 / 264
2. 가치와 성격(personality)과의 차이점 / 267
3. 가치(values)에 관한 접근방법 / 270
4. 목적론적, 그리고 도구적 가치 / 280
제 2 절 도덕적 가치 성숙성과 공직자의 행동의 준거 ········································ 297
1. 도덕(윤리)과 정치이념 간 인간의 동인에 관한 기본가정 / 297
2. 도덕적 발달 단계와 인간 성숙성의 이해 / 301
3. 도덕적 발달수준별 공직자의 행동 / 311

CHAPTER 10 공무원 가치 관련 유사연구들 315
제 1 절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 317
1. 공공봉사동기 개념 이해와 정의 / 317
2. 공공봉사동기의 긍정적인 성과 / 320
제 2 절 조직시민행동 ···························································································· 321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이해와 정의 / 321
2. 공공부문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의의 / 323
3. 조직시민행동의 유형 / 327
4. 시민행동의 효과 또는 성과 / 329
제 3 절 반 와트가 제시하는 공직가치 ································································· 333
1. 개인적인 차원에서 공민적 청렴성 / 333
2. 전문직업인(공직) 차원에서의 전문직업주의(professionalism) / 335
3. 조직 차원에서의 가치 / 336
4. 법적 차원에서의 가치 / 338
5. 공익 차원에서의 가치 / 339
제 4 절 외국 주요 국가들과 대한민국의 공직가치 ············································· 341
1. 외국 주요 국가들의 공직가치 / 341
2. 대한민국의 공직가치 유형과 내재화 방안 / 342
제 5 절 심리적인 계약과 집단주의 ······································································ 348
1. 심리적 계약이행 / 348
2. 집단주의 / 351
3. 행동강령의 존재 / 353

CHAPTER 11 ‘투입’중심 수행관리 방안으로서 역량 355
제 1 절 역량관리에 대한 이해 ············································································· 357
1. 역량관리의 필요성과 강점 / 357
2. 역량개념의 개념정의와 이해 / 364
3. 역량중심 대 기능중심 관리의 비교과 혼용 필요성 / 367
4. 중간관리자 관리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370
제 2 절 학자들이 제시하는 관리자 역량모델과 각국 정부사례 ························· 371
1. Whitten & Carmeron이 제시하는 관리자 역량모델 / 371
2. PDI(Personnel Decisions International) 관리자 역량모델 / 374
3. 외국 정부의 관리자 역량모델 / 378
4. 한국 정부의 관리자 역량모델과 평가 / 385

CHAPTER 12 공정ㆍ평등한 인사를 위한 이론ㆍ제도ㆍ기법 401
제 1 절 서론: 인적자원관리의 중심가치로서 공정과 평등 ································· 403
제 2 절 미국 평등ㆍ공정 인사 관련 제도와 조직 ··············································· 406
1. 평등ㆍ공정한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제도 / 406
2. 시민권법(the Civil Rights Acts) / 410
3. 고용상 연령차별금지법(Ag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ct: ADEA) / 412
4. 직업재활법(Vacational Rehabilitation Act)과
장애인 차별금지법(Americans with Disability Act: ADA) / 413
5. 기타 평등고용 관련 미국 법과 보장내용 / 415
제 3 절 평등고용을 확보하기 위한 연방정부 조직 ············································· 416
1. 고용평등기회위원회 / 416
2. 연방계약준수프로그램사무국(OFCCP) / 418
3. 연방고용분쟁 조정 및 중재위원회(FMCS) / 424
제 4 절 인사의 공정성ㆍ평등성 확보를 위한 인사관리 기법 ····························· 424
1. 진정직업자격(Bona Fide Occupational Qualification: BFOQ) / 424
2. 불리효과(adverse impact) / 425
3. 입증책임(the burden of proof) 문제 / 427
4. 사법심판 제기 전 조사ㆍ조정 기관으로서 고용평등기회위원회 역할 / 428
5. 인적자원관리 전반에서 공정성ㆍ평등성 문제와 동기관리 / 429
제 5 절 이 장 및 전체 결론, 그리고 연구한계 ··················································· 432
1. 이 장의 결론 / 432
2. 전체 결론과 연구한계 / 435

■ 참고문헌 ············································································································· 449
■ 찾아보기 ············································································································· 489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행정윤리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행정윤리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행정윤리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