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본 금산사몽유록 연구
2024년 02월 20일 출간
국내도서 : 2022년 11월 18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17.29MB)
- ISBN 979116742793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31,5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몽유록은 한국 고전소설 유형 중에 하나로 그것을 대표하는 문학 장르이다. 그 장르는 15세기를 기점으로 전선 전기에서 전대의 문학 양식인 전기(傳奇)와 우언(寓言)을 수용하여 발전시키면서 조선 후기의 파란만장한 사회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폭넓게는 향유되고 애국계몽기(愛國啓蒙期)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창작되어온 작품군이다. 곧 조선의 전시기(全時期) 거쳐 지속적으로 명맥을 유지해온 문학 장르이다. 따라서 역사적 유래가 깊은 문학 장르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 장르는 한국 고전소설을 대표할 수 있는 장르 중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모든 몽유록 작품들은 보통 등장 시기에 따라 전선 전기 몽유록과 후기 몽유록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장르는 조선의 17세기가 정치와 사회, 경제, 문화면에서 격변을 겪은 시기였으므로 소설사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조선 소설사에서 전기는 조선 건국 뒤로부터 17세기 중반까지이고, 그 후기는 17세기 중반부터 애국계몽기까지인 것이다.
전선 전기 몽유록은 효시(嚆矢)로서의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과 <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 등의 작품으로부터 발전해 오고, 16세기 후반 임제(林悌)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에 와서 서사 전개의 방식은 거의 ‘좌정(坐定)-토론(討論)-시연(侍宴)’으로 확립됨에 따라 점차 조선 사대부 지식인들이 당대 사회상에 대한 인식을 표출하는 도구로써의 문학 장르로 인식되었다는 것이다. 이 시기의 작품들이 몽유록 유형의 양식적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는 점은 특징이다. 한편, 임진왜란을 경험한 작가층은 몽유록의 양식을 빌려 당대 사회상에 대한 작가 인식을 형상화하여 <달천몽유록(達川夢遊錄)>(윤계선尹繼善), <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황중윤黃中允), <몽김장군기(夢金將軍記)>, <피생명몽록(皮生冥夢錄)>, <용문몽유록(龍門夢遊錄)> 등과 같은 작품이 연이어 창작되었다.
저자는 현전하는 <금화사몽유록>의 한문 이본 총 54종의 실체를 확인한 바 있다. 그리고 여러 공개된 자료를 통해 확인치 못한 18종의 개인 소장본의 존재를 파악하였다. 후속 연구와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이상 총 72종 자료의 정보를 모두 등록하고자 한다.
이 외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회전>과 박철상(朴徹庠) 개인소장 <금산사대몽록>, 그리고 홍재휴(洪在烋) 개인소장 <금산사기> 등 한문 개작본도 3종의 실체를 확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개작은 대다수 이본들과 구성상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본 작품의 이본들과 동일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금화사몽유록>의 이본으로 삼고 논의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서의 논의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예비적 고찰로서 이본 현황을 세부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즉 서지 정보를 중심으로 각각의 이본의 실체를 명확히 살피고자 한다. 서지 사항을 검토할 때 장정(裝幀), 지질(紙質), 장광(長廣), 형태(形態), 분량(分量), 변란(邊欄), 반곽(半郭), 항관(行款), 상비(象鼻), 계선(界線), 어미(魚尾), 판심(版心), 장서인(藏書印), 필사기(筆寫記), 서발문(序跋文), 여타 수택(手澤) 등 여러 가지 서지학적 정보를 조사하고 이를 등록하고자 한다. 그리고 필사기를 활용하여 정확한 필사 시기를 추정하고자 한다. 특히, 장서인과 서발문, 또한 다른 필사자가 남긴 수택으로 필사자의 정보를 얻고 이본의 탄생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실마리도 찾고자 한다. 더불어 제명과 필사 시기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금산사몽유록>의 전체 서지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연구 대상 이본들의 서사 단락을 검토하고 그 계열을 나누며 각 계열의 선본(善本)을 알아보고자 한다. 서사 단락을 검토할 때 모든 이본을 함께 모아 각각의 서사 단락을 순차적으로 일일이 비교하겠다. 이런 비교를 통해 먼저 기본적으로 특정의 서사 단락의 첨삭이나 순서 변동에 대하여 꼼꼼히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상 분석에 따라 이본 계열을 도식화할 것이다. 이 도식에 대한 분석으로 각 계열의 특징도 구명하고자 한다. 이본 계열의 특징을 분석할 때 이본의 서시 정보도 참조하겠다. 예컨대 존경C본 계열의 두 이본은 모두 발문이 있다. 이 두 발문을 통해서도 두 이본이 같은 계열인 사실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두 이본으로 이루어진 계열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이본의 발문도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서사 단락의 비교에 이어서 각 이본의 표현 방식을 꼼꼼히 대비하고, 각 이본 표현상의 이동점과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표현의 차이를 검토할 때 주로 표현의 일치성과 누락, 비문 현상, 곧 충실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표현의 일치성을 통하여 위에서 서사 단락에 따라 구분한 <금산사몽유록>의 계열을 더욱더 자세히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계열을 세분하는 작업은 각 계열의 善本을 고찰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다. 계열을 세분한 결과에 근거하여 각 계열의 내용이 가장 온전하고 정확한 이본을 밝히고자 한다. 이것은 다음에 이본의 전승 양상을 살필 때 모든 이본을 모두 함께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각 계열의 선본(善本)만으로도 각 계열의 관계를 검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4장에서는 각 계열의 독특한 내용과 각 계열의 전승 양상을 살펴 보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금화사몽유록>의 이본들은 ‘금산사 계열’과 ‘금화사 계열’로 나눌 수 있다. ‘금산사 계열’의 이본들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서는 ‘금화사 계열’과 ‘금산사 계열’의 친연성(親緣性)에 대한 검토도 함께 해야 한다. ‘금화사 계열’과 ‘금산사 계열’은 애초에 모두 동일한 작품으로부터 발전해 온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이본들 간의 친연성 검토를 통해서는 이본들이 변천 과정에서도 변하지 않는 특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특징은 본 작품의 향유층의 공통된 의식을 살필 수 있는 주요한 방편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더불어 ‘금화사 계열’과 ‘금산사 계열’의 친연성에 대한 검토와 함께, 이 두 계열의 차이성에 대한 검토도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금화사몽유록>의 독자들은 이 작품을 즐겨 읽는 동시에 또한 작품에서 얻은 영감과 불만 등을 반영하여 작품의 내용을 고쳐왔다. 본 작품이 상당수의 이본을 가진 것은 바로 이러한 가필(加筆)과 윤색(潤色)의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본 간 세세한 차이를 검토하는 것은 본 작품에 대한 시대 혹은 독자의식의 변화를 확인하는 주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곧 본 작품의 소설사적 의미를 밝힐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금산사 계열’ 내
머리말
제1장 ⸺〈금산사몽유록〉의 신고찰
1. 문제제기
2. 연구사 검토
3. 연구 대상
제2장 ⸺〈금산사몽유록〉의 이본별 서지 개관 ㆍ109
1. 동국B본 서지 개관
2. 전북대본 서지 개관
3. 국박B본 서지 개관
4. 김광순본 서지 개관
5. 연세B본 서지 개관
6. 국도D본 서지 개관
7. 장서D본 서지 개관
8. 익선D본 서지 개관
9. 존경C본 서지 개관
10. 이우목본 서지 개관
제3장 ⸺〈금산사몽유록〉의 서사 단락과 이본의 계열
1. 공통 서사 단락
2. 이본별 서사 단락 대비
3. 계열별 특징
4. 계열별 선본(善本)
제4장 ⸺〈금산사몽유록〉 계열의 형성과 전승
1. 〈금화사몽유록〉과 〈금산사몽유록〉의 비교
2. 〈금산사몽유록〉 계열의 전승 양상
제5장 ⸺〈금산사몽유록〉의 재조명
참고문헌
부록: 〈금산사몽유록〉 이본 원문 4종
金山寺夢會錄
金山寺刱業演義
金山寺刱業宴錄
金山寺夢遊錄
논문: 신자료 와세다 한문본 〈금화사몽유록〉의 특징과 의미
Ⅰ. 서론
Ⅱ. 서지적 특징
Ⅲ. 내용상 특징
Ⅳ. 표현상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역사 인물)
작가정보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