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학 입문
2022년 12월 30일 출간
국내도서 : 2022년 12월 1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5.22MB)
- ISBN 9791186628485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12,96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표지 사진 「대반야설상도」에 대하여 _24
서론
제1장 반야학이란 무엇인가 _29
첫머리에 _29
4대 종파의 교법 _31 티베트불교의 공부 과정 _33
티베트 반야학 _34 반야학 연구의 의미 _37
제2장 『현관장엄론의 구성 _41
「시·람·데」와의 만남 _41
『현관장엄론』의 구성 _43 〈표〉 『현관장엄론』의 구성 _45
『현관장엄론』과 「시·람·데」 _47
정리 _51
제3장 반야학의 역사 _54
아상가(무착)·바수반두(세친) 형제의 탄생 _54
아상가와 미륵보살 _56 전승의 의미 _58
바수반두世親의 회소향대廻小向大 _59
반야학의 계승 _60 정리 _65
제4장 티베트로의 전파와 발전 _67
티베트에서 반야학의 학통 _67 티베트에서 반야학의 위치 _72
대·중·소의 『반야경』 _75 분제分際(사챰) _76
심상속(규)과 상속후제(균타) _78 정리 _80
Ⅰ. 일체상지一切相智
제5장 「일체상지一切相智」에 대하여 _85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상지」의 _8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지」 _87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의 십법十法 _88
「일체상지」의 십법十法 _89 십법의 차제 _94
정리 _95
제6장 발심에 대하여 _9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발심 _98 발심의 정의 _99
22가지 발심에 대해 _101 〈표〉 22種의 發心 _103
22가지 발심의 의미 _105
제7장 자량행에 대하여 _107
『현관장엄론』에서의 자량행의 위치 _10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자량행 _109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의 ⑼資糧行 _110
17가지 자량행 _111 지혜智의 자량 _114
대치의 자량 _115 정리 _117
제8장 「지地」의 자량에 대하여 _119
『현관장엄론』에서 지地의 자량의 위치 _120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지地의 자량 _121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에서 「地의 資糧」 _122
초지初地의 십법 _122 이지二地의 팔법 _125
삼지三地의 오법 _126 사지四地의 십법 _127
오지五地 이후의 보살지 _129 정리 _130
Ⅱ. 도종지道種智
제9장 「도종지道種智」에 대하여 _135
『현관장엄론』에서 「도종지」 _13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도종 _137
〈표〉『現觀莊嚴論』 Ⅱ「道種智」의 十一法 _138
「도종지」의 십일법 _139 정리 _145
Ⅲ. 일체지一切智
제10장 「일체지一切智」에 대하여 _149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지」의 위치 _149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일체지」 _151
〈표〉 『現觀莊嚴論』 Ⅲ一切智의 九法 _152
「일체지」의 구법 _153 정리 _160
Ⅳ.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
제11장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의 행상 _165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상현등각」 행상의 위치 _165
〈표〉1 『現觀莊嚴論』 사가행四加行의 차제 _16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일체상현등각」 _16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현등각」의 행상 _168
「일체상현등각」을 설하는 이유 _169
「일체상현등각」의 173행상 _171
〈표〉2 「一切相現等覺」의 173行相 _175
〈표〉3 「일체상현등각」의 구성 _176
정리 _177
제12장 「일체상현등각」의 가행 _178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현등각」의 가행 _179
「가행자」와 「가행」 _179 4종류의 「가행자」 _180
〈표〉1 『現觀莊嚴論』 「一切相現等覺」의 「加行者」 _182
「가행」의 20상相 _182
〈표〉2 『現觀莊嚴論』 Ⅳ「一切相現等覺」 ⑵「加行」의 구성 _185
정리 _186
제13장 「가행」의 「덕德」과 「실失」 _188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가행의 덕과 실 _188
〈표1〉 『現觀莊嚴論』 「加行의 德」과 「加行의 失」의 구성 _189
14가지 가행의 덕 _190
46가지 「가행」의 실失 _192 〈표〉2 「가행」의 46가지 실 _193
「가행」의 과실失이란 무엇인가 _196
정리 _200
제14장 「가행加行」의 상相 _202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가행의 상」 _203
91가지 가행의 상 _204
〈표〉 加行의 91가지 相 _206
「가행의 상」의 내용 _210 정리 _212
제15장 「후반의 6의義」에 대하여 _214
〈표〉 『現觀莊嚴論』 Ⅵ「一切相現等覺」 후반 「6의義」의 차제 _21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후반의 6의義」 _217
「후반의 6의義」의 의 _218 정리 _223
Ⅴ. 정현관頂現觀
제16장 「정현관頂現觀」에 대하여 _227
『현관장엄론』에서 「정현관頂現觀」의 위치 _22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정현관頂現觀」 _228
8가지 「정현관」에 대해서 _230
〈표〉 『現觀莊嚴論』 Ⅴ「頂現觀」과 『이만오천송반야경』 _231
「정현관」의 의미 _233
제17장 「무간삼매無間三昧」에 대하여 _23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무간삼매」의 위치 _23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끊어야 할 전도」 _238
「무간삼매」에 대해서 _238
「끊어야 할 16가지 전도」에 대해 _240
〈표〉 Ⅴ「頂現觀」의 16가지 ⑻「除去해야 할 顚倒」 _242
정리 _243
Ⅵ. 점현관漸現觀
제18장 「점현관漸現觀」에 대하여 _247
『현관장엄론』에서 「점현관」의 위치 _24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점현관」 _249
13가지 「점현관」에 대해서 _250
〈표〉 『現觀莊嚴論』 Ⅵ漸現觀과 『二萬五千頌般若經』 _251
「점현관」의 의미 _254
Ⅶ. 일찰나현등각一刹那現等覺
제19장 「일찰나현등각」에 대하여 _259
『현관장엄론』에서 「일찰나현등각」의 위치 _259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찰나현등각」 _261
4가지 「일찰나현등각」에 대해서 _262
〈표〉 『現觀莊嚴論』 Ⅶ「一刹那現等覺」과 『이만오천송반야경』 _263
「일찰나현등각」의 의미 _266
Ⅷ. 법신法身
제20장 「무루지無漏智」에 대하여 _271
『현관장엄론』에서 21가지 「무루지」의 위치 _272
〈표1〉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법신 대응 부분 _273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21가지 「무루지」 _273
〈표2〉 21가지 무루법 _275
『현관장엄론』에서의 21가지 「무루지」 _276
21가지 무루지와 삼신설·사신설三身說·四身說 _278
정리 _280
제21장 「자성신自性身」에 대하여 _282
『현관장엄론』에서 자성신의 위치 _282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자성신 _284 『현관장엄론』에서의 자성신 _286
자성신의 특상特相 _286
「삼신설三身說」과 「사신설四身說」의 차이 _288
삼신설三身說과 사신설四身說의 계통 _289
정리 _290
제22장 「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293
『현관장엄론』에서 보신의 위치 _293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보신報身」 _294
『현관장엄론』에서의 「보신」 _296
「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297
「오결정五決定」의 전거 _298
〈표〉「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300
정리 _300
제23장 「응신應身」에 대하여 _303
『현관장엄론』에서 응신의 위치 _304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응신 _304
『현관장엄론』에서의 응신 _306
응신의 분류 _306
「최고 응신應身」의 12행업 _307 정리 _308
제24장 「법신의 행업行業」에 대하여 _311
『현관장엄론』에서 법신의 행업 위치 _311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법신의 행업 _312
27가지 법신의 행업에 대해서 _314
〈표〉 『現觀莊嚴論』에서 法身의 27가지 事業 _314
27가지 법신의 행업行業의 의미 _318
전체의 총설 _320
부록 현관장엄론 본송
1. 서품(序品) _325
2. 일체상지품(一切相智品:一切種智) _331
3. 도상지품(道相智品:道智) _346
4. 일체지품(一切智品:基智) _355
5. 일체상현등각(圓滿一切相現觀品:圓滿加行) _360
6. 정현관품(頂現觀品:頂加行) _379
7. 점차현관품(漸次現觀品:漸次加行)[堅固한 獲得을 위한 加行] _391
8. 찰나증대보리품(剎那證大菩提品:刹那加行)[견고함의 획득] _392
9. 법신품(法身品) _393
10. 섭품(攝品:補遺) _404
문헌목록 _405
역자후기 _410
찾아보기 _416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