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강의
2024년 06월 24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06월 24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47.27MB)
- ISBN 979119806207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쿠폰적용가 12,6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을 어려운 과목으로 생각합니다. 시대와 역사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이 많이 변하기도 하였고, 교육 내용, 교과, 교과서 등의 개념 자체가 중의적이고 혼동되어 쓰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교육과정을 강의할 때 가급적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교육과정은 이해가 먼저이고, 그다음이 암기라고 누누이 이야기하였습니다. 네비게이션에 의존해서 길을 가지 말고, 전체적인 윤곽과 인지 지도를 그려서 항상 교육과정이라는 도시에서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입체적으로 알아두라고 강조하였습니다. 그 결과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습니다. 방대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시대의 흐름과 함께 잘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고, 교직 과목 중에서 교육과정이 가장 머리에 남는 과목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그때의 강의 내용을 추려서 한 권으로 만든 책입니다.
이 책은 사범대 학생의 학습에도 도움을 주고, 교직을 이수하려는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나아가 현재 교직에 몸을 담고 있는 선생님들에게도 좋은 교육과정 교재가 될 것입니다.
01 교육과정 오리엔테이션
1.1 과정(過程)이 아니라 과정(課程)이다 3
1.2 자기만의 칼 4
1.3 교육학의 영역 6
1.4 교육과정 내용 9
1.5 교육과정의 두 가지 관점 13
02 교육과정의 개념과 성격
2.1 교육과정의 어원 17
2.2 일반적 성격 19
2.3 교육과정의 분류 20
2.4 교육과정의 결정 22
Ⅱ. 교육과정 전개
01 교과 중심 교육과정
1.1 형식도야이론(Formal Discipline Theory) 28
1.2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29
1.3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30
1.4 교과 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33
02 경험 중심 교육과정
2.1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태동 35
2.2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 36
2.3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유형 39
2.4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42
03 학문 중심 교육과정
3.1 등장 배경 43
3.2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지식의 구조 47
3.3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 나선형 교육과정 50
3.4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발견학습 52
3.5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56
04 인간 중심 교육과정
4.1 등장 배경 58
4.2 인간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 59
4.3 인간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61
4.4 인간 중심 교육과정의 장단점 63
Ⅲ. 교육과정 유형
01 통합 교육과정
1.1 등장 배경 67
1.2 통합 교육과정의 기원 67
1.3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 70
02 잠재적 교육과정
2.1 등장 배경 76
2.2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79
2.3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83
2.4 잠재적 교육과정의 특징 84
2.4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86
03 영 교육과정
3.1 등장 배경 90
3.2 영 교육과정의 개념 90
3.3 영 교육과정의 특징 92
Ⅳ.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01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배경
1.1 역사적으로 교육과정은 누가 개발하였는가? 98
1.2 개발 패러다임에서 이해 패러다임으로 전환 101
02 파이너 : 교육과정의 실존적 재개념화
2.1 인간의 실존적 해방 102
2.2 쿠레레 방법론 103
2.3 자서전적 교수법 107
03 애플 : 교육과정의 정치적 재개념화
3.1 인간의 정치적 해방 111
3.2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애플의 비판 113
3.3 기술공학적 논리에 대한 해결방안 115
Ⅴ. 교육과정 모형
01 교육과정 개발 모형 개관
02 타일러의 합리적 모형
2.1 등장 배경 122
2.2 개발 모형 124
2.3 타일러 모형의 특징 133
2.4 타일러 모형의 장단점 135
03 타바의 확장 모형
3.1 등장 배경 138
3.2 개발 모형 139
3.3 타바 모형의 특징 141
04 워커의 숙의 모형
4.1 등장 배경 143
4.2 개발 모형 145
4.3 워커 모형의 특징 147
05 스킬벡의 학교 중심 모형
5.1 등장 배경 149
5.2 개발 모형 150
5.3 스킬벡 모형의 특징 152
06 아이즈너의 예술적 개발 모형
6.1 등장 배경 153
6.2 개발 모형 154
6.3 아이즈너 모형의 특징 164
07 위긴스와 맥타이의 후진 설계 모형
7.1 등장 배경 165
7.2 개발 모형 167
7.3 위긴스와 맥타이 모형의 특징 170
Ⅵ. 교육과정 개발
01 교육과정 유형별 개발 절차
1.1 국가 수준 교육과정 177
1.2 지역 수준 교육과정 184
1.3 학교 수준 교육과정 187
1.4 교사 수준 교육과정 189
02 교과서 개발
2.1 교과서의 의의 190
2.2 교과서의 유형 191
2.3 바람직한 교과서 조건 195
2.4 교과서 개발 절차 197
2.5 공통 편찬상의 유의점 203
Ⅶ. 교육과정 설계
01 교육과정 설계의 의미
02 교육목표의 설정
2.1 교육목표 필요성 211
2.2 교육목표의 설정 주체 212
2.3 교육목표의 설정 원칙 214
2.4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된 교육목표 216
03 교육목표 분류학 : 블룸
3.1 인지적 영역 226
3.2 정의적 영역 232
3.3 심동적 영역 236
3.4 의의 237
04 교육내용의 선정
4.1 선정의 의의 239
4.2 교육내용의 선정 원리 240
4.3 교육내용의 선정 결과 : 내용체계 243
05 교육내용의 조직
5.1 교육내용 조직의 의미 245
5.2 우리나라 교육내용 조직 체계 247
Ⅷ. 교육과정 운영
01 교육과정 운영의 의의
02 교육과정 운영의 관점 : 스나이더
2.1 충실도 관점 255
2.2 상호 적응 관점 256
2.3 생성 관점 257
03 수업목표 진술 : 메이거, 그론룬드
3.1 타일러의 수업목표 진술 259
3.2 메이거의 수업목표 진술 261
3.3 그론룬드의 수업목표 진술 264
04 교육과정 재구성
4.1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267
4.2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 268
4.3 교육과정 재구성의 유형 269
4.4 교사의 역할 270
05 교육과정 장학과 컨설팅
5.1 교육과정 장학 272
5.2 교육과정 컨설팅 277
Ⅸ. 교육과정 평가
01 교육과정 평가의 영역
1.1 교육평가의 의미 281
1.2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282
1.3 교육과정 평가의 영역 283
02 국가 교육과정에 나타난 평가 유형
2.1 성취평가 287
2.2 과정 중심 평가 289
2.3 자기평가 291
2.4 수행평가 291
2.5 서술형과 논술형 평가 294
03 교육과정 평가 모형
3.1 평가 모형의 개요 297
3.2 프로버스의 불일치 모형 299
3.3 스크리번의 탈목표 모형 301
3.4 스터플빔의 CIPP 모형 304
3.5 스테이크의 반응적 모형 307
Ⅹ. 우리나라 교육과정
01 교육과정 변천사 개요
1.1 팔사오(845) 314
1.2 서울 올림픽(1988) 315
1.3 2015 :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시작 316
02 중앙 집권형 교육과정 시기
2.1 중앙 집권형 교육과정의 특징 317
2.2 긴급조치 및 교수요목기 320
2.3 제1차 교육과정(1954~1963) 321
2.4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322
2.5 제3차 교육과정(1973~1981) 323
2.6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324
2.7 제5차 교육과정(1987~1992) 325
03 교육과정 자율화ㆍ분권화 시기
3.1 교육과정의 세계화 추세 : 분권화ㆍ자율화 327
3.2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328
04 수준별 교육과정 시기
4.1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 331
4.2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332
05 교육과정 수시 개정의 시기
5.1 수시 개정의 취지 336
5.2 2007 개정 교육과정(2007~2009) 336
5.3 2009 개정 교육과정(2009~2015) 337
06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시기
6.1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배경 340
6.2 역량 모형의 구조 343
6.3 2015 개정 교육과정(2015~2022) 345
07 2022 개정 교육과정
7.1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348
7.2 교육과정 성격과 구성의 방향 351
7.3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361
7.4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기준 366
참고문헌 371
찾아보기 375
만약 저에게 교육과정 중에서 딱 하나만 가르치라고 한다면, 바로 타일러의 합리적 모형입니다. 왜냐하면, 현대 교육과정은 타일러의 모형에서 시작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한 개만 더 가르치라고 한다면, 두 번째는 바로 잠재적 교육과정입니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정말 중요합니다.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을 바꾼 개념이며, 교육과정 재개념주의의 근저이기 때문입니다. (10쪽)
조선 시대 어느 한 마을에 호랑이가 출몰해서 피해가 컸습니다. 그런데 호랑이는 불을 무서워합니다. 그래서 조정에서 ‘불로 호랑이 대처법’을 만들어서 서당에서 대대적으로 교육하였습니다. 그러다가, 호랑이가 멸종되고 이번에는 곰이 출몰했습니다. 근데 곰은 불을 전혀 무서워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서당에서는 여전히 ‘불로 호랑이 대처법’만 가르칩니다. 참다못해 젊은 훈장 한 사람이 조정에다 호소합니다. “호랑이는 이제 없는데, 왜 호랑이 대처법만 가르칩니까?” “자네가 뭘 모르는군. 호랑이 대처법을 배우면 고상한 용기가 생겨서 곰을 상대할 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말이야.” (36~37쪽)
아프리카의 오지 마을에 어떤 교사가 부임했는데 그 학교에는 10살 전후의 어린이가 스무 명 정도 있습니다. 교사는 자기밖에 없는데, 교장은 교사에게 알아서 3년간 뭐든지 가르치라고 한다면 과연 이 교사는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결정하기 이전에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게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 학생들을 어떤 학생으로 만들지를 먼저 결정해야 합니다. 수렵 채집인으로 자연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칠지, 문명인으로 만들 건지, 그 지역이 전쟁지역이면 군인으로 만들건 지 이런 목표를 먼저 정해야 합니다. (123쪽)
의사 결정을 위한 어떤 회의에 참여한다고 가정해보십시오. 자리에 앉자마자 바로 본론을 꺼내어 찬반 토론하는 게 아닙니다. 옆 사람과 인사도 하고 커피도 한잔 마시고, 사회자는 회의 취지와 회의 진행 방향을 이야기합니다. 회의가 길어질 것 같으면 저녁 식사 장소도 미리 공지합니다. 그런 다음에 본론에 들어가겠죠? 그리고 어느 정도 회의가 마무리되어도 바로 해산하고 자리에서 뜨는 게 아닙니다. 회의에서 나온 내용을 향후 어떻게 할 건지 이야기하면서 다음 일정을 논의합니다. 수고했다고 인사도 하겠죠. 이런 일반적인 회의 절차를 워커는 강령, 숙의, 설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145쪽)
학생들이 모차르트 음악을 잘 이해했는지 어떻게 평가하면 될까요? ‘모차르트 음악의 특징을 기술하시오’라고 주관식 문제를 내면 될까요? 주관식 문제를 잘 쓴 학생이라면 모차르트 음악을 잘 이해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베토벤이나 슈베르트 음악을 같이 들려주고 모차르트 음악을 고르게 하면 될까요? 베토벤이나 슈베르트 음악과 잘 구분한다고 해서 모차르트 음악을 잘 이해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모차르트 음악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을까요? (154쪽)
팔사오를 먼저 알아두면 좋습니다. 팔사오란 ‘80년대에는 4차와 5차가 있었다’라는 뜻입니다. 그 외의 시기는 교육과정이 10년에 한 번 바뀌었습니다. 그러면 이제 산수 문제가 됩니다. 80년대 4차와 5차가 있었으면 70년대는 몇 차일까요? 3차입니다. 60년대는요? 2차입니다. 50년대는 당연히 1차입니다. 이번에는 90년대로 가보겠습니다. 90년대는 몇 차일까요? 네, 6차입니다. 2000년대는 7차가 됩니다. 물론 교육과정의 각 시작년도는 조금씩 다릅니다. 그래도 일단 이렇게 큰 틀에서 교육과정의 시기를 알아두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교육과정 변천사의 전체 윤곽을 알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팔사오’를 ‘저팔계와 사오정’으로 외웠습니다. (314쪽)
성취기준이 달성되면 핵심역량이 성취된 것으로 봅니다. 핵심역량이 성취되면 추구하는 인간상에 도달된 것으로 봅니다. 추구하는 인간상에 도달되면 교육의 목표가 달성된 것으로 봅니다. 결국, 성취기준이 달성되면 교육의 목표가 달성된 것입니다. 그래서 성취기준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같이 성취기준 중심으로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록이 돌아가며, 성취기준이 달성되면 교육목표가 달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것이 바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구조이며, 한마디로 압축하면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핵심역량을 성취하여 교육의 목표에 도달하려는 교육과정’입니다. (344쪽)
교육과정 총론을 보면 ‘좋은 말 대잔치’와 같은 느낌이 들어서 혼란스러울 수가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좋은 단어를 나열한 느낌입니다. 모두 다 외우자니 끝이 없는 것 같고, 그게 그것 같아서 혼란스럽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줄거리를 파악해야 하고, 그중에서 특히 강조하는 것을 찾아서 연결해 두어야 합니다. (348쪽)
영어에 cascading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폭포에서 물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말합니다. 기업에서는 최고 경영자의 이념이나 경영 철학이 갓 들어온 신입직원까지 차례대로 내려오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경영계획을 수립할 때 비전, 목표, 전략, 세부 계획 등과 같이 추상적인 큰 개념에서 실천 가능한 세부 계획으로 내려오는 것을 말합니다. 제가 이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교육과정 총론 또한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왜’에서 시작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지, 마치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서사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해야 ‘좋은 말 대잔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이 한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348쪽)
이러한 인공지능의 발달이 의미하는 것은 바로 미래의 불확실성입니다. 앞으로 많은 직업이 사라질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지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열심히 배운 지식이 5년 후에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10년 후에는 우리는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지식을 배워야 할지도 모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 교육부가 제시한 그 해답은 바로 학생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성을 키우도록 하는 것입니다. (353~354쪽)
코로나를 겪으면서 사람들은 한 가지를 깨달았습니다. 이런 일이 생기면 이건 한 사람의 힘이나 한 국가가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서로 협력하여 돕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입니다. 지구온난화나 환경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두 나라가 나서서 해결될 문제가 아닙니다. 그래서 미래는 더 협력적 소통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354쪽)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서는 시중에 많이 나와 있지만, 교육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교육과정을 접하게 되면 교육과정의 개념이나 이론 등을 쉽게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책은 현재 대학교에서 교육과정을 강의하고 있는 저자가 그간의 강의를 기반으로 직접 쓴 이해 중심의 교육과정 안내서입니다. 교육과정에 스토리를 입혀서, 어려운 교육과정을 이야기 구조로 바꾸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습니다. 먼저 교육과정의 역사과 모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육과정의 기초이면서도 개괄적인 부분으로, 주로 미국의 역사와 사례 중심으로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다음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의 개발 및 설계, 운영, 평가 등의 순서로 차례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발되고 운영되는지를 교육과정의 이론과 모형을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를 살펴보고, 나아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취지와 주요 특징까지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 책 한 권이면 교육과정을 손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작가정보
작가의 말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실시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더욱 강화하여, 학교의 전반적인 교육체제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하도록 강조하고 있습니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핵심역량을 달성하여 교육목표에 도달하려는 교육과정을 말합니다. 이런 변화로 인해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은 교육 현장에서 가르치거나 학습해야 할 내용이며, 교육에 관한 콘텐츠이고 교육을 담는 그릇입니다. 교육사와 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 학문적인 개념이나 우리나라 현대사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잘 되어 있으면 나머지 교직 과목에 대한 이해도 훨씬 쉬워진다는 의미입니다. 교육과정은 이해가 우선입니다. 이 책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서 학생들이나 학교에 몸을 담고 있는 선생님들이 교육과정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한 책입니다.
어떤 교사가 수업 시간에 학생에게 A, B, C를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학생은 A만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교육과정은 A, B, C입니까? 아니면 A입니까?
첫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이 질문을 던지면 어떤 학생은 A, B ,C가 교육과정이라고 대답하고 어떤 학생은 A가 교육과정이라고 대답합니다. 그러나, 한 학기가 끝날 때는 대부분 학생은 A, B, C도 교육과정이고 A도 교육과정이라는 사실과 그 차이점을 명확하게 깨닫습니다. 이 책을 읽으시는 여러분도 바로 그렇게 될 것입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