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친환경·탈탄소화 핵심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플라스틱 및 바이오연료 시장동향과 참여업체별 사업현황

임팩트

2024년 06월 19일 출간

종이책 : 2024년 06월 12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26.02MB)
ISBN 9791189935801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396,000원

쿠폰적용가 356,4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Ⅰ. 바이오화학산업 현황과 기술동향

1. 바이오 및 화학산업 시장 및 실태
1-1. 바이오 및 화학산업 개요
1) 바이오 및 화학산업 분류
2) 바이오산업체 일반 현황
3)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1-2. 바이오산업 수급동향
1) 바이오산업 수급 현황
2) 바이오산업 국내 판매 현황
3) 바이오산업 수출 현황
4) 바이오산업 수입 현황
1-3. 석유화학산업 시장현황
1) 석유화학산업 현황
2) 석유화학산업 탈플라스틱 동향
3) 석유화학산업 수급동향

2. 바이오화학 산업동향
2-1. 바이오화학 개요
1) 바이오화학의 정의
2) 바이오화학산업 개념 및 의의
3) 바이오화학산업의 분류
(1) 바이오매스
(2) 바이오리파이너리
① 농작물
② 목초자원
③ 목질계 식물자원
④ 해양
⑤ 미세조류(Micro-algae)
⑥ 대형조류(Macro-algae)
2-2. 바이오화학 시장동향
1) 바이오화학 시장개요
2) 바이오화학 시장규모 및 전망
3) 바이오화학산업 기술동향
4) 바이오화학산업 적용분야
(1) 포장재
(2) 음료병
(3) 섬유
(4) 농업
(5) 자동차

Ⅱ. 바이오플라스틱 시장현황 및 주요 기업별 사업동향

1.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및 기술동향
1-1. 플라스틱 산업현황
1) 플라스틱 개요
2) 플라스틱 개발 및 생산
3) 세계 플라스틱 산업현황
1-2.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1)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개요
(1)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정의
(2)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필요성
2)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분류
(1) 생분해 플라스틱
(2) 산화 생분해 플라스틱
(3)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3)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산업현황
(1) 글로벌 시장
(2) 국내 시장
4) 친환경 자동차용 엔플라
(1) 친환경 자동차용 엔플라 시장개요
(2) 친환경 자동차용 엔플라 관련 정책 및 제도
(3) 친환경 자동차용 엔플라 시장동향
① 시장규모 및 전망
② 업체동향
1-3. 바이오플라스틱 개요
1) 바이오플라스틱 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정의 및 분류
(1) 생분해성 플라스틱
(2)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3) 바이오플라스틱 기술동향
(1) 기술동향 개요
(2)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
(3)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s)
4)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및 제조기술
(1)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2) 바이오플라스틱 제조기술
1-4.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동향
1)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개요
2)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정책 및 제도
3)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업체동향
4)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동향
1-5. 농업용 바이오 플라스틱
1) 농생명 소재 정의 및 범위
2) 농업용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개요
3) 농업용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정책 및 제도
4) 농업용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업체동향
1-6. 바이오플라스틱 R&D 투자 및 정책동향
1) R&D 투자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1)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2023-2032) (2023)
(2) 바이오경제 2.0(2023)
(3) 전 주기 탈(脫)플라스틱 대책(2022)
(4)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2023)
(5) 바이오플라스틱 인증
3) 주요국의 정책 동향
(1) 미국 정책 동향
(2) EU 정책 동향
(3) 일본 정책 동향
(4) 중국 정책 동향
4) 바이오플라스틱 개발현황
(1) 천연물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현황
(2) 미생물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현황
(3)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개발현황
1-7. 바이오플라스틱 주요 산업동향
1) 국내 산업동향
2)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산업동향

2. 생분해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 및 기술 동향
2-1.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및 기술동향
1) 플라스틱 시장규모 및 폐플라스틱/미세플라스틱 동향
(1) 플라스틱 시장규모
(2) 폐플라스틱 발생동향
(3) 미세플라스틱
2)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1) 생분해성 플라스틱 정의
(2)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류 및 특성
① 천연고분자
② 합성고분자
③ 미생물 생산 고분자
④ 혼합형
(3) 생분해성 플라스틱 용도
2-2. 생분해성 플라스틱 종류 및 제조방법
1) 바이오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1) PLA(Poly Lactic Acid)
(2) PHA(Poly Hydroxyl Alkanoate)
(3) PLH(Poly Lactate Hydracrylate)
(4) 천연 생분해성 고분자
2) 석유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
(1) PGA(Polyglycolic acid)
(2) PBS(Poly(butylene succinate))
(3) PCL(Polycaprolactone)
(4) PVA(Poly(vinyl alcohol))
(5)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2-3. 생분해성 플라스틱 탄소순환기술 및 표준·인증 동향
1) 개요
2)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 동향
(1)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능력
(2) 바이오플라스틱 시장현황
3)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동향
(1) 화학적 재활용
(2) 유기적 재활용(바이오가스화와 퇴비화)
① 바이오가스화
② 퇴비화
4) 고기능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개발 사례
(1) 필터
(2) 고발포 폼
(3) 필름, 접착제
(4) 고기능성 폴리에스터 섬유
(5) 고성능 사출품 및 필름
(6) 고유연성 포장재
5) 국제 표준 및 인증 현황
(1) 국제 표준(ISO) 개발 동향
(2) 생분해 인증 현황
(3) 바이오매스 인증 현황
2-4. 친환경 식품 포장재 시장 및 기술동향
1) 친환경 식품 포장재 개요
(1) 친환경 식품 포장재 개요
(2) 친환경 식품 포장재 분류
(3) 친환경 포장재 시장현황 및 기업동향
2)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동향
(1) 식품포장용 소재 현황
① 금속
② 유리
③ 종이
④ 플라스틱
⑤ 혼합 포장재
(2) 식품포장용 소재 특성
(3) 식품포장용 소재 기술동향
① 라미네이트 필름
② 블렌딩
③ 코팅 필름(Coating Film)
(4) 생분해성 고분자 기술
① PLA
② PHA
③ PBS, PBAT
(5)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사례
① BASF
② NatureWorks
③ CJ제일제당
④ 한국화학연구원
⑤ 경희대학교
⑥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⑦ 한국연구재단
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 및 정책동향
(1)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동향
① 글로벌 시장동향
② 국내 시장동향
(2)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정책동향
① 글로벌 동향
② 국내 동향
(3) 식품포장용 생분해성 플라스틱 규격 및 인증제도
① 글로벌 동향
② 국내 동향

3.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및 기술동향
3-1. 폐자원 재활용 제품/공정 동향
1) 폐자원 재활용 정의
2) 범위 및 분류
3) 시장현황 및 전망
(1) 개황
(2) 시장규모 및 전망
4) 기술개발 동향
(1) 폐플라스틱 유화 기술
(2) 재활용 화학제품 활용 기술
5) 주요 기업동향
3-2.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동향
1)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정의
2) 범위 및 분류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기술개발 동향
5) 주요 기업동향
3-3.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동향
1)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개요
(1) 배경
(2) 폐플라스틱 재활용 분류
① 열분해
② 가스화
③ 해중합
2)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동향
(1) 글로벌 기술동향
① 열분해
② 가스화
③ 해중합
(2) 국내 기술동향
① 열분해
② 가스화
③ 해중합
3)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정책동향
(1) 글로벌 정책동향
① EU
② 미국
③ 일본
④ 중국
(2) 국내 정책동향
3-4. 재생 플라스틱 동향
1) 재생 플라스틱 시장개요
2) 재생 플라스틱 관련 정책 및 제도
3) 재생 플라스틱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업체동향
4) 재활용 PET
(1) 재활용 PET 시장개요
(2) 재활용 PET 관련 정책 및 제도
(3) 재활용 PET 시장동향
① 시장규모 및 전망
② 업체동향
5) 미국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3-5. 포장재 및 재활용 현황
1) 국내 포장재 현황
(1) 국내 포장재 출고·수입 현황
(2) 국내 합성수지 수급 현황
(3)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별 출고·수입량
2) 국내 재활용 현황
(1) 2023년도 제품·포장재별 재활용의무율 및 분담금 단가
(2) 국내 재활용의무량 및 실적
① 종이팩
② 유리병
③ 금속캔
④ 페트병
⑤ 발포합성수지
⑥ 기타 합성수지
3) 국외 재활용 동향
(1) 세계 플라스틱 재활용 현황 및 전망
① 플라스틱 재활용 및 2차 시장 동향
② 플라스틱 폐기물 방지 및 재활용 특허
③ 플라스틱 전망 및 예측
(2) 주요 국가별 플라스틱 정책 동향
① EU 동향
② 스페인 포장재 폐기물 제도
③ 독일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④ 네덜란드의 일회용 플라스틱 지침
⑤ 오스트리아의 플라스틱 규제 정책
⑥ 미국 캘리포니아주, ‘플라스틱 오염방지 및 패키징 생산자 책임법
⑦ 캐나다의 일회용 플라스틱 제조 및 판매 규제
⑧ 인도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도입 및 일회용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
⑨ 중국의 일회용플라스틱 제한 및 금지조치
⑩ 대만 제로 플라스틱 사회
⑪ 기타 주요국의 플라스틱 관리 동향
3-6. 식품 폐포장재 재활용 시장 및 기술동향
1) 식품 포장재 현황
(1) 종이팩
(2) 플라스틱
(3) 유리병
(4) 금속캔
(5)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재
2) 식품 포장재 시장동향
(1) 시장개요
(2) 국외 동향
(3) 국내 동향
3) 식품 폐포장재 재활용 동향
(1) 식품 폐포장재 재활용 기술개요
(2) 식품 폐포장재 재활용 기술개발 현황
① 중량감소 기술
② 재질전환 기술
③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④ 리사이클링 기술
(3) 식품 포장재 소재별 리사이클링
① PET
② PE
③ PP
④ PS
⑤ 필름 포장재(복합 재질, PVC 랩)
4) 일본 포장재 수급 및 플라스틱 재활용 현황
(1) 포장재별 출하 정보
(2) 일본 연도별 플라스틱 생산·재활용
(3) 일본 플라스틱 생산·재활용 세부현황
① 플라스틱 생산 현황
② 플라스틱 소비 현황
③ 폐플라스틱 배출 현황
④ 물질 재활용 대상 재질 및 재활용제품 종류
⑤ 물질 재활용 형태

4. 바이오플라스틱 주요 업체 사업동향
4-1.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주요 업체동향
1) CJ제일제당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2) LG화학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3) 효성티앤씨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4) 롯데케미칼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5) 삼양사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6) 대상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7) SK케미칼㈜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8) GS칼텍스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9) SK지오센트릭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10) SPC팩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11) 그린케미칼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12) 에코매스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13) 코오롱인더스트리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14) 한화솔루션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15) 에이유
(1) 업체개요
(2) 바이오플라스틱 사업동향
4-2.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 주요 업체동향
1) NatureWorks
2) Novamont
3) BASF
4) Dupont
5) Avantium
6) Mitsubishi Plastic
7) Showa Denko K.K
8) NEC
9) Covation Biomaterial
10) Danimer Scientific

Ⅲ. 바이오연료 시장현황 및 주요 기업별 사업동향

1. 바이오연료 시장 및 기술동향
1-1.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매스 개요
1) 바이오에너지 보급현황
(1) 바이오에너지 개요
(2) 바이오에너지 시장동향
2) 바이오매스 산업 개요
(1) 바이오매스 개요
(2) 바이오매스 산업특성 및 구조
(3) 바이오매스 분류
(4) 바이오매스 주요 제품
1-2. 바이오연료 산업 개요
1) 바이오연료 개요
(1) 바이오연료 정의
(2) 바이오연료 필요성
(3) 바이오연료 산업동향
2) 주요 바이오연료 종류와 특성
(1) 바이오에탄올
① 바이오알콜 및 바이오에탄올 개요
② 바이오에탄올 산업동향
(2) 바이오디젤
(3) 재생디젤(Renewable Diesel)
(4) 바이오항공유
① 바이오항공유 산업동향
② 바이오항공유 주요 기업동향
3) 고품질 바이오연료 시장 및 기업동향
(1) 고품질 바이오연료 정의
(2) 시장현황 및 전망
(3) 주요 기업동향
4) 바이오연료기술개발 동향
(1) 고체 바이오연료
(2) 액체 바이오연료
(3) 기체 바이오연료
5) 주요 기업동향
1-3. 바이오연료 시장동향 및 전망
1) 국내 바이오연료 시장동향
2) 국내 바이오디젤/중유 시장동향
(1) 국내 바이오디젤 시장동향
(2) 국내 바이오중유 시장동향
3) 글로벌 바이오연료 시장동향
4) 바이오연료 시장전망
(1) 메인 케이스 시장전망
(2) 가속화 케이스 시장전망
① 미국
② 중국
③ 유럽
④ 인도
⑤ 브라질
5) 바이오항공유 시장전망
(1) 메인 케이스 시장전망
(2) 가속화 케이스 시장전망
6) 수소사용 바이오연료 생산 시스템
(1) 정의
(2) 범위 및 분류
(3) 시장현황 및 전망

2. 바이오 연료 주요 기업 사업동향
2-1. 국내 바이오연료 업체동향
1) SK에코프라임
2) 애경케미칼
3) 디에스단석
4) JC케미칼
5) GS바이오
6) KG에코솔루션
7) 이맥솔루션
8) HD현대오일뱅크
9) 창해에탄올
10) 풍국주정공업
11) 바이오코프
12) MH에탄올
2-2. 글로벌 바이오연료 업체동향
1) Chevron(쉐브론)
2) ENEOS Holdings(에네오스 홀딩스)
3) ENI(에니)
4) Exxon Mobil(엑손모빌)
5) Idemitsu Kosan(이데미츠 코산)
6) Neste(네스테)
7) PetroChina(페트로차이나)
8) Saudi Aramco(사우디 아라비안오일)
9) Shell(쉘)
10) SINOPEC(중국석유화공)
11) Valero Energy(발레로 에너지)

Ⅳ. 바이오ㆍ석유화학 산업 및 관련정책 동향

1. 바이오에너지 및 석유화학 산업동향
1-1. 바이오에너지 관련통계
1) 바이오에너지 총괄 통계
2) 바이오에너지 부문별 통계
1-2. 석유화학 제품별 수급동향
1) 석유화학 총괄
2) 기초유분
3) 중간원료
4) 합성수지
5) 합섬원료
6) 합성고무
7) 기타 화성품
8) 국내 석유화학 업체현황

2.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 추진과제
2-1. 화이트바이오산업 정의
2-2. 화이트바이오산업 국내 동향
2-3.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 추진과제
1)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를 통한 순환경제 실현
2) 화이트바이오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밸류체인 강화
3)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공통 기반 구축

발 간 사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규제와 석유고갈이라는 문제로 인해 에틸렌 기준 세계 4위의 석유화학산업 강국이면서 수송용 연료 및 화학산업 원료를 전적으로 국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국내 화학산업은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석유화학산업은 산업 부문에서 철강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으로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8.5%, 산업 부문 배출량의 약 15.3%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버려지는 폐플라스틱 제품들은 썩지 않고 일부 플라스틱 제품에 첨가된 화학물질은 인간의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는 등 사회적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지속가능한 경제에 대한 관심증가에 의하여 기존 석유자원 이외의 자원유래 수송용 연료 및 화학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바이오기반 화학산업을 통해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자원으로부터 수송용 연료 및 화학소재를 생산하려는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플라스틱 제품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바이오플라스틱이 떠오르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곡물에서 추출한 원료만 가지고는 플라스틱의 특성을 나타내기 힘들기 때문에 석유기반 소재에 바이오 소재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개발되고 있다. 바이오플라스틱 중 생분해플라스틱의 시장은 2020년 123만 톤 규모에서 2025년 180만 톤까지 성장하며, 연평균 8.0%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난분해플라스틱의 경우도 2020년 88만 톤 시장규모에서 2025년 107만 톤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바이오화학은 독성이 없고 지속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이어서 재생 불가능한 자원 유래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며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중간체 물질이나 최종제품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만든 바이오에너지는 타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가용량이 매우 크며,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총 재생에너지 사용량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되어 2030년의 바이오에너지 점유율은 재생에너지의 약 80%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당사는 본 보고서가 바이오플라스틱, 바이오연료 및 관련 바이오화학산업에 관심이 있는 관련 기관, 업체의 실무담당자에게 사업전략 수립과 시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본서를 발행한다.

2024년 6월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친환경·탈탄소화 핵심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플라스틱 및 바이오연료 시장동향과 참여업체별 사업현황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친환경·탈탄소화 핵심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플라스틱 및 바이오연료 시장동향과 참여업체별 사업현황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친환경·탈탄소화 핵심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플라스틱 및 바이오연료 시장동향과 참여업체별 사업현황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