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자를 위한 노자 읽기
2024년 06월 20일 출간
국내도서 : 2023년 11월 1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9.07MB)
- ISBN 9791192628363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쿠폰적용가 10,71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 책 『독학자를 위한 노자 읽기』는 후대에 이렇게 다채롭게 해석되어 온 『노자』를, 대표적인 판본과 주석들 간의 차이를 상세히 살피면서 더 깊고 넓게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지금 우리가 읽고 있는 대표적인 판본이자 주석인 왕필(王弼)의 주석본을 비롯하여, 하상공주와 상이주와 같은 주석들, 그리고 백서본과 죽간본 등 왕필이 본 판본과 차이가 있는 판본들을 원문을 들어 상세하게 살피면서, 『노자』가 비의를 담고 있는 신비한 문헌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왔고 현실과 밀착해서 해석되어 온 ‘역사적 문헌’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런 텍스트 비평의 과정을 거치면서 지은이는 자신만의 노자 읽기를 시도한다. 우선 지은이는 노자의 문장이 보여 주는 함축성과 비유에 천착해 ‘문학’이라는 관점에서 『노자』를 읽고자 한다. 암컷과 골짜기, 물, 갓난아기, 통나무 등 『노자』에 등장하는 비유들은 주장을 보조하기 위해 동원된 장치가 아니라 노자의 사유를 이루는 핵심임을 밝히고자 했다. 아울러 『노자』의 철학을 통치론과 삶의 지혜라는 관점으로 정리하면서 『노자』의 역사성과 현재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들어가며 _ 해석의 탄력성
1부 『노자』는 어떤 책인가
1장 _ 『노자』라는 텍스트
『노자』의 첫 문장 | 다채로운 책, 『노자』
2장 _ 노자는 누구인가
노자와 한비자 | 세 명의 노자 | 재구성된 저자
3장 _ 판본과 오리지널리티
『노자』의 판본 | 판본 간 비교 I(55장) | 판본 간 비교 II(48장) | 한비자의 『노자』 | 판본의 오리지널리티
2부 『노자』 주석 읽기
1장 _ 왕필의 주
‘무’의 개념화 | 유가적 덕목의 공유 | 정치사상으로서의 『노자』 | 「노자지략」에 대하여
2장 _ 하상공의 주
황로학 | 하상공 주의 독법 | 하상공 주의 특징
3장 _ 상이주
오두미교의 경전 | 상이주의 특징 | 하상공 주와의 비교 | ‘현빈문, 천지근’의 양생술적 해석 | 풍부하게 읽기 위하여
3부 시인과 철학자
1장 _ 노자의 언어
리듬감 | 비유란 무엇인가 | 물질로서의 언어 | 노자와 손자
2장 _ 노자의 비유
암컷[牝]·골짜기[谷] | 물의 이미지 | 갓난아기 | 통나무
3장 _ 시인, 보는 사람
반전의 사유 | 천지는 어질지 않다 | 신령스러움에 대한 존중 | 다른 세계를 보다 | 형(形) 너머의 상(象)
4장 _ 철학자 노자
통치철학 | 삶의 기술(art)로서의 철학
참고문헌
어떤 저작이든 저자가 있고 독자를 상정한 다음 독서행위가 작동한다는 전제에서 볼 때 『노자』는 희한한 책이다. 『노자』는 저자를 알 수 없다. 저자로 추정하는 노자는 ‘늙은이’라는 보통명사일 가능성이 크다. 설사 노자를 누구라고 특정한다 해도 『노자』라는 책을 설명하거나 이해하는 데 별 도움이 안 된다. 저자를 안들 저술과 별 관련이 없기에 저자가 숨었다고 할 수 있다. 『논어』와 비교해 보면 이 말뜻이 곧 드러난다. 『논어』를 읽으면 공자가 어떤 사람인지 그의 라이프 스타일에서 감정 습관과 기질, 인격까지 한 인간의 많은 모습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느껴지기까지 한다. 그런 면에서 『노자』는 저자가 안 보이는 저작이다. (15쪽)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道可道, 非常道 ; 名可名, 非常名)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해 보자. 『논어』는 첫 글자가 학(學)이어서 읽는 이가 배울 준비를 하면 그에 상응하는 가르침을 준다. 독자는 『논어』가 제시하는 배움의 단계를 따라 전진할 수 있다. 『노자』는 어떠한가. 『노자』의 첫 글자는 도(道)다. 도를 배우려 독자는 단단히 마음먹지만 노자는 도를 설명하지 않는다. 노자는 처음부터 도라는 궁극의 언어를 가져왔다. 그럼에도 대뜸 도는 임시로 이름 붙인 것일 뿐[道可道] 실체가 아니라고 한다. (25쪽)
‘도경’과 ‘덕경’의 분류는 편의적인 게 아니다. 상하편으로 나눈 것은 충분한 이유가 있는데 도경은 언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포괄적으로 던지고 시작한 데서 감지할 수 있듯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글이 주류다. 덕경으로 불리는 하편은 도경에 비해 실천적인 면이 강해서 통치철학과 관련해 읽을 수 있는 부분이 대다수다. 왕필본이 도경을 앞에 두었다는 점은 그의 관심이 어디 있는지를 가늠케 한다.(45쪽)
백서 을본의 경우 ‘불위이이’(弗爲而已)라 해서 왕필본의 ‘위무위’(爲無爲)라고 한 말과 차이가 있다. 의미상으로 볼 때 문제가 없는 것 같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다. 왕필의 경우 무위(無爲)를 위(爲)의 목적어로 두어 무위를 개념화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무위의 의미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행해야 할 행위대상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또 백서 을본은 짧은 문장 안에 ‘이이’(而已)와 ‘의’(矣)라는 허사를 써서 실사(實辭)로만 의미를 구성한 왕필본과 문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 준다. 문체를 보면 후세로 가면서 허사가 발달해 미묘한 뉘앙스 구사에 능숙해진다는 일반론은 그저 추론일 뿐이라는 사실이 여기서 증명된다.(53쪽)
이런 얘기를 하는 까닭은 하상공 주의 가치가 왕필의 명성에 가려 과소평가되기 때문이다. 당나라 때까지 하상공 주가 1천 년 동안 읽혀 왔다는 사실을 일부러 강조할 이유는 없다 해도 하상공 텍스트와 주(注)가 문자학 측면에서 보든 한대(漢代) 철학을 연구한다는 면에서 보든 왕필의 그것보다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나 연구자가 있음은 기억할 필요가 있다. 학문의 쏠림현상이, 복수(複數)로 전해지는 유산의 자유로움과 다양한 해석에 장애가 된다는 점은 지적할 수 있겠다.(102쪽)
먼저 선에 대한 의견. 5장을 보자. “천지는 어질지 않다. 만물을 풀이나 가축으로 여긴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왕필과 하상공은 인위적인 행동은 하지 않는 무심한 천지라는 큰 틀에서 풀었는데 이 견해는 유가적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도가적 비판이 암시되었다. 상이주는 이렇다. “천지는 도를 닮아 모든 선에는 어질지만 악에는 어질지 않다. 그러므로 악한 만물은 죽이고 아끼지 않는다. 악한 것을 풀이나 가축처럼 볼 뿐이다”[天地像道, 仁於諸善, 不仁於諸惡. 故殺萬物惡者不愛也. 視之如芻草如狗畜耳]. 인(仁)을 선악에 대응시켜 해석했다. 선악의 경계를 뚜렷이 해서 악인을 죽인다는 말까지 했다. 선이 무엇이고 악이 무엇인지 정의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상식적으로 분별할 수 있다는 전제가 있었을 것이며, 악행을 용서하지 않아 두려움을 주려 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식적인 사고에 호소한다는 점에서 소박하다고 하겠는데 민간종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언설이다.(110쪽)
노자의 정치론을 총괄하면서 실질적인 이야기를 해보자. 노자의 사상이 중국 역사에 현실로 나타난 사례를 세 가지 들 수 있다. 이론에서 보면 노자의 사상은 한비자를 경유해 법가로 자리를 잡는다. 한비자는 법을 통치자 아래에 두고 통치수단으로 국한시키지 않았음을 누누이 강조했다. 통치자 이상의 존재로 법을 격상시킬 수 있었던 핵심에 도에 대한 노자의 사유가 있었다. 그럼에도 노자를 품은 법은 통치자의 수단으로 인식되기 일쑤였고 그렇게 운영된 측면이 존재한다. 법이 운영 주체를 넘어선다는 건 황제체제하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였다. 그럼에도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하고 새롭게 체계를 짜면서 법을 통일하고 법으로 제국을 통치한 사실은 무시할 수 없다. 현실 정치에서 보면 노자는 황로학과 결합해 한나라 초기를 이끌었다.(199쪽)
작가정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곡부서당(송양정사松陽精舍)에서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님께 한문을 익혔습니다. 한림원과 민추(현 고전번역원)에서도 한문고전을 읽었습니다. 영어도 부지런히 읽는 편이라 운이 닿아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UPenn)에서 방문학자로 책을 읽었습니다. 넓게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중국고대 한나라 이전 선진(先秦)시대 저작을 두루 읽고 있습니다. 다양한 담론이 쟁명(爭鳴)하는 모습이 장관이라 글읽기가 흥미롭습니다. 사회교육단체인 〈파이데이아〉와 〈인문학당 상우〉에서 여러 선생님들과 매주 동양고전을 읽고 있습니다.
저서로 『기록자의 윤리, 역사의 마음을 생각하다 : 문학으로서의 『사기』 읽기』가 있으며, 『당시 300수』를 공역했고 일본의 유학자 이토 진사이(伊藤仁齊)의 저서 『논어고의』(論語古義), 『맹자고의』(孟子古義), 『동자문』(童子問) 등을 번역했습니다.
작가의 말
독학자는 홀로 공부하는 사람이다. 홀로 공부하는 사람이기에 누구보다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의 말을 가장 잘 이해하고 체험하는 사람이다. 그러면서 독학자(獨學者)는 외골수로 빠지기 쉽고 곧잘 독단에 물들며 권위에 금방 투항한다. 고독을 견디기 힘들어 사회적 통념에 안이하게 타협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독학자는 독학(篤學)하는 사람이어야 하다. 독실한[篤] 공부란, 옛사람의 말을 따르자면, ‘널리 배우고[博學], 깊이 묻고[審問], 신중하게 생각하고[愼思], 분명하게 분별[明辯]하는 것’을 말한다. 독학자는 고독하기에 독실하게 공부해야 한다. 독학자는 입문자가 아니다. 입문해서 부지런히 나아가 자기 길을 찾는 사람이다. 입문했다 한들 언제까지 초보자로 남을 수는 없는 법. 그들은 어디엔가 묵묵히 살아간다. “숨어서 사는 이의 고운 마음을” 헤아리는 사람은 어디에나 있기 마련이다. - ‘서문’ 중에서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