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주자 행장

황간 지음 | 장윤수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24년 06월 14일 출간

종이책 : 2024년 06월 14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8.29MB)
ISBN 9791128889868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소득공제
소장
정가 : 21,440원

쿠폰적용가 19,3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성리학의 나라 조선의 정신은 주희에서 시작해서 이황으로 이어졌다. 이 책은 조선의 정신을 가장 쉽고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다. 성리학의 거두 주희(朱熹)의 생애와 행실을 그 제자이자 사위인 황간이 기록하고, 퇴계 이황이 정리해 주석을 달았다. 주자학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자, 주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가장 권위 있고 깊이 있는 자료다. 옮긴이 장윤수 교수는 각종 판본을 대조해 교감하고, 이황의 주석을 번역했으며, 주희의 전기와 연보에 대한 각종 연구들을 참고해 주석을 달았다. 또 본문에서 발췌 인용한 상소문들은 전체 원문을 참고해 보완하고, 현대 독자들에게 낯설 수 있는 송나라의 각종 관직명과 주희의 저작 목록, 연표, 주희 화상과 유묵 등도 부록으로 추가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1. 출신 배경과 어릴 적 학업
2. 초기 관직 생활과 효종에게 올린 첫 상소문
3. 조정에 나아가 효종의 자문에 응함
4. 관직 임명과 거듭된 사퇴
5. 남강(南康)에서 선정을 베풂
6. 백성들을 위해 상소를 올림
7. 궁중에서 효종의 자문에 응함
8. 목민관으로서 애민(愛民) 정치를 실시함
9. 무신년(1188) 연화전(延和殿)에서 효종에게 올린 주차(奏箚)
10. 무신년(1188)에 효종에게 올린 봉사(封事)
11. 이단의 학문을 경계하고 백성의 교육에 힘씀
12. 입대(入對)한 후에 영종의 깊은 신임을 얻음
13. 영종에게 강의를 함
14. 조정에서 예법을 논쟁함
15. 관직에서 은퇴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작고함
16. 학문적 탄압과 복권
17. 나라 사랑과 정치적 처신
18. 스승 : 학문 연원
19.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지경(持敬)의 공부
20. 도학(道學)의 실천
21. 평상시의 행동과 인품
22. 경전 연구
23. 성리 사상 연구와 도학 선양
24. 강학 방법과 학문적 우월함
25. 마지막 유언
26. 남긴 저술
27. 유족
28. 도통(道統)의 계승
29. 부록 : 《행장》 저술과 관련한 몇 가지 변명

부록
본문에 등장하는 관직명
참고 문헌
주희의 저작 목록
주희의 주요 연표
주희 화상(畫像)
주희의 유묵(遺墨)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선생은 건염 4년(1130) 9월 15일 정오 무렵에 남검주 우계의 부모가 거처하던 집에서 출생했다.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행동이 장중했다. 겨우 말을 할 무렵에 아버지 위재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것이 하늘이다”라고 하자, “하늘 위에는 무엇이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위재는 이를 기이하게 여겼다.
스승에게 나아가 《효경》을 배웠는데, 한 번 본 후에 책을 덮어 놓고는 그 위에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사람이 아니다”라고 썼다. 언젠가 여러 아이들과 함께 모래 위에서 놀게 되었다. 선생은 혼자 단정하게 앉아 손가락으로 모래에 그림을 그리고 있었는데, 살펴보니 팔괘였다. 조금 더 커서는 성현의 학문에 뜻을 돈독하게 두었으며 과거 공부에는 처음부터 마음을 두지 않았다.
〈1. 출신 배경과 어릴 적 학업〉에서

순희 5년(1178, 48세)에는 발견남강군사(發遣南康軍事)에 임명되었으나 네 번을 사퇴한 끝에 비로소 임지로 갔다. 선생은 동안(同安)에서 돌아와 봉사직으로 집에서 거처한 지가 거의 20년이 되었는데, 비록 형편이 어렵고 빈곤했지만 이를 마음에 두지 않았다. 수양을 많이 쌓아 이치가 밝아지고 의리가 정밀해져서 일을 처리하는 데에 드러나는 것이 더욱 거침이 없었다. 군(郡)에 부임해서는 측은한 마음으로 백성 사랑하기를 마치 자신을 근심하는 것같이 했으며, 이로운 일을 진작하고 해로운 일을 제거했는데, 오직 힘이 닿지 못할까 두려워했다. 속읍(屬邑)인 성자(星子)는 토지가 척박하고 세금이 과중해 백성의 세금을 감면해 줄 것을 청하는 상소문을 모두 대여섯 번이나 올렸다. 그해에 비가 오지 않아 구황책을 강구했고, 무릇 조정에 청원할 때는 하지 않은 말이 없었다. 관물(官物)의 피해를 살펴 조세를 면해 주거나 탕감하거나 분납하거나 연장해 주었고, 추묘하세(秋苗夏稅)·목탄월장(木炭月樁)·경총제전(經總制錢) 등은 각각 그 고을의 항목에 따라서 조목조목 상소를 올렸다. 간혹 서너 번까지 올리기도 했으며,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그만두지 않았다.
〈5. 남강(南康)에서 선정을 베풂〉에서

선생의 학문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해[窮理] 앎을 지극히 하며[致知], 자신을 돌이켜 반성함으로써[反躬] 실천하는 것이다. 거경(居敬)이란 성학(聖學)의 처음과 끝을 이루는 원리다. 그래서 선생은 앎을 지극히 하되 경(敬)하지 못하면 마음이 혼미해지고 분란이 일어나 의리의 귀결처를 살피지 못할 것이며, 실천궁행하면서도 경(敬)하지 못하면 마음이 태만하고 방자해져서 의리의 실상을 지극하게 할 수 없다고 했다. 경을 지키는 방법[持敬]으로는 주일(主一), 즉 하나를 위주로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 선생은 잠언(箴言)을 지어 스스로 경계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것을 써 두기까지 했으며, 《소학》과 《대학》이 모두 여기에 근본을 둔다고 여겼다.
〈19.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지경(持敬)의 공부〉에서

선생의 행적을 기록하면서 또한 어찌 일반 사람들과 비교해 일반적인 체계에 따라서 논의할 수 있겠는가? 또 어떤 사람 중에는, 임금께 아뢰는 선생의 상소가 지나치게 곧고 또한 다른 사람의 과실을 기술함이 너무 노골적이라고 지적하는 경우도 있다. 신하가 임금에게 어려운 일 곧 인정(仁政)을 하도록 권면하고, 임금에게 선언(善言) 곧 인의(仁義)의 도리를 진술하는 것은 임금을 섬기는 대의(大義)다. 임금이 앞에서 용인한 것을 신하가 도리어 뒤에서 숨기려 한다거나, 선생이 당시에 과감하게 말한 것을 후세 학자들이 도리어 감추려 하면 되겠는가? 사람들의 과실을 판결서에 기록하거나 상주문(上奏文)에 진술한 것은 천하 후세 사람들이 모두 다 알 수 있는 일인데, 이것을 덮어 버리려 한다면 옳다고 하겠는가? 또 어떤 사람은 상주한 소장의 글을 기술한 것이 지나치게 번잡하고, 청원한 사실에 대한 기사를 그토록 세밀하게 언급한 것은 행장의 체제에 맞지 않는다고 비평했다. 옛사람 중에 임금이 도를 행하게 되어 사실을 기록할 만한 것이 있다면 상소문의 내용은 기술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렇지만 선생은 관직에 나아갔으나 세상에 쓰이지 못했고, 알 만한 것이라고는 다만 그 언론뿐이다. 그러므로 이것이야말로 곧 선생의 정치 규범의 바탕이었으니, 그 언론과 행실의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29. 부록 : 《행장》 저술과 관련한 몇 가지 변명〉에서

행장, 삶의 간명한 기록
《주자 행장》이란 주희(朱熹, 1130∼1200)의 생애와 행실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글이다. ‘행장(行狀)’이란 한문 문체의 하나로서, 역사 편찬이나 개인의 전기(傳記)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한 글을 말한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고인의 세계(世系), 성명, 관향(貫鄕), 자호(字號), 관작(官爵), 생졸 연월일, 자손록(子孫錄)과 같은 생애적 사실 및 평생의 언행이 포함된다. 행장은 전기(傳記)보다는 단순하며, 여기에 잡다한 내용의 글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것은 비슷한 성격의 글인 행록(行錄), 가장(家狀), 묘지명(墓誌銘), 묘갈명(墓碣銘) 중에서도 가장 권위 있는 형식의 문체다.

주자학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
《주자 행장》은 주자학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료다. 이것은 주희 사후 20년 되던 해에 막내아들인 주재(朱在)의 요청에 따라 주희의 제자이자 사위인 황간(黃榦)이 찬술한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주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가장 권위 있고 깊이 있는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 황간은 《주자 행장》 ‘부록’에서 행장 저술과 관련해 “내가 선생의 행장을 지은 것은 어쩔 수 없어서인데, 선생의 도가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아 후세에 이것을 전하는 이들이 잘못 전할까 두려워해서다”라고 했다. 한마디로 말해 행장 찬술의 목적이 주희의 도를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주자학 최고의 권위자, 퇴계 이황의 주석
《주자 행장》과 관련해 특별한 인연을 지닌 조선의 학자가 있다. 바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다. 이황에게 주희는 이론적 사상가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성인의 경지로 이끌고 갈 수 있는 위대한 스승이었으며, 전인격적으로 닮고 싶은 인물이었다. 이황은 주자학 연구에서 당대 최고의 권위자였다. 그는 황간이 찬술한 주자의 행장만으로는 그의 행적을 온전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송사(宋史)》에 기록된 주희 전기, 주희의 제자인 이방자(李方子)가 쓴 《연보(年譜)》, 이유무(李幼武)의 《황조도학명신외록(皇朝道學名臣外錄)》 등과 《연평답문(延平答問)》,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등 당시 수집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료를 참고하고 고증해 주희의 생애를 재구성했는데, 그 결과로 탄생한 것이 바로 《주자행장집주》다. 주희 전기 자료의 전문가인 천룽제(陳榮捷, Wing-tsit Chan, 1901∼1994)는 이 책이 이황의 시대와 그 이후에도 가장 권위 있는 주희 관련 전기 자료라고 평가했으며, 일본 기문학파(崎門學派)의 강의록인 《주자행장강의(朱子行狀講義)》에서는 “이퇴계는 누구에게나 잘 알려져 있는 주자의 학맥을 완전히 터득한 사람이다. … 그는 조선 제일의 학자다. 퇴계가 주자학을 터득한 증거는 이 주해 작업에서 알 수 있다. … 퇴계의 주해는 다른 사람들이 미칠 수 없는 바로서, 퇴계가 아니면 이룰 수 없는 작업이다”라고 평했다.

성리학자들의 교본
《주자 행장》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초학자들의 교재로 활용되기도 했는데, 주희의 인품과 기본 행적을 이해하는 훌륭한 자료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중국에서는 《주자 행장》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나 주석 작업이 주목되는 바가 없는 반면,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자 행장》과 이황이 편집한 《주자행장집주》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개인적 독서나 집단적 강의 모임에서 자주 《주자 행장》을 강독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주자행장집주》를 강조했는데, 아사미 게이사이(淺見絅齋)는 이 책을 최소 네 번은 강의했고, 그의 제자인 와카바야시 교사이(若林强齋)는 학당의 교과목에 포함시키기까지 했다.

우리나라에서 《주자 행장》의 번역은 1975년에 ‘강호석’에 의해 처음 이루어졌다[강호석 옮김, 《주자행장》, 을유문화사(을유문고 189)]. 이 책은 오역도 상당수 발견되고, 원문의 경우 고판본 자료를 영인해서 그대로 첨부했기 때문에 교감(校勘) 작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옮긴이 장윤수 교수는 이러한 점을 보완했으며, 특히 이황의 《주자행장집주》 중에서 중요한 부분을 반영했고, 주희의 전기와 연보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물을 참고해 주해를 추가했다. 그리고 《주자 행장》에 수록된 각종 봉사(封事)류의 글은 원문을 발췌한 것이어서 문장의 의미가 명료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체 원문을 참고해 보완 글귀를 첨가함으로써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했다. 또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옮긴이의 자의에 따라 원문 전체를 내용별로 분류하고 소제목을 붙였다. 본문 뒤에는 현대 독자들에게 낯설 수 있는 송나라의 각종 관직명과 주희의 저작 목록, 연표, 주희 화상과 유묵 등도 부록으로 추가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작가정보

저자(글) 황간

황간(黃榦, 1152∼1221)은 이름은 간(榦), 자는 직경(直卿)이며, 민현[閩縣, 지금의 중국 푸젠성(福建省) 푸저우(福州)] 사람이다. 황간은 부친이 작고한 뒤에 주희의 제자인 유청지(劉清之, 1134∼1190)의 권유로 주희에게 수학했다. 그는 주희의 문하에서 학업을 펼친 후에 밤에도 자리를 깔고 눕지 않았으며, 허리띠를 풀지 않았다. 조금 피곤하면 의자에 잠시 앉아 새벽까지 그대로 지낼 때도 있었다. 주희는 주위 사람들에게 “황간은 뜻이 굳고 생각이 맑으니 그와 더불어 지내면 매우 유익하다”라고 칭찬했다. 후에 주희는 그 딸을 황간에게 시집보냈다.
영종(寧宗)이 즉위하자 주희는 황간에게 명해 표문(表文)을 올리게 했는데 이때 장사랑(將仕郎)에 보임되고, 감태주주무(監台州酒務)의 직책을 받았다. 주희는 자신의 병환이 위독해지자 〈심의편(深衣篇)〉과 다른 저술들을 황간에게 전해 주면서, “나의 도를 부탁할 곳이 여기에 있으니 유감이 없구나”라고 하는 말을 직접 기록했다. 부음(訃音)이 전해지자 황간은 3년간 심상(心喪)의 예를 차렸다. 그 후에 감가흥부석문주고(監嘉興府石門酒庫)의 직책을 받았다. 오엽(吳獵)이 호북 지역을 다스릴 때에 황간을 불러 안무사주고(安撫司酒庫)에 임명했고, 강서제거상평(江西提擧常平) 조희역(趙希懌)은 황간을 불러 임천령(臨川令)으로 세웠다. 이후 안풍군(安豐軍), 한양군(漢陽軍), 안경부(安慶府) 등의 지방관을 맡았는데, 황간은 부임하는 곳마다 학교를 소중히 여기고 교육을 앞세웠다.
제치사(制置使) 이각(李珏)이 황간을 불러 참의관(參議官)으로 삼고자 했으나 황간은 그가 함께 일할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화주 지역을 맡으라는 명을 거듭 사양했다. 그 후 다시 안경(安慶) 지역을 맡으라는 명이 있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여산(廬山)에 들어가 주희의 문하에서 함께 수학한 이번(李燔), 진복(陳宓)과 함께 옥연(玉淵)과 삼협(三峽)의 사이를 돌아보고 스승 주희가 남긴 발자취를 탐방했다. 그가 백록동서원에서 건괘와 곤괘 두 괘를 강의했을 때는 산남과 산북의 선비들이 대거 모여들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행재소(行在所)에 불려 가 시사 문제를 아뢰고 대리승(大理丞)의 직책을 제수받았으나 이를 받들지 않아 어사 이남(李楠)의 탄핵을 받았다.
황간이 처음 형호(荊湖)의 막부에 들어갔을 때 강호의 호걸들과 교유했는데, 당시 호걸들도 황간에게 기개와 큰 뜻이 있음을 알아차렸다. 안경 지역에 와서 제치사 이각의 막부 일을 겸하게 되자 장회(長淮) 지역의 군민들이 마음속 깊이 복종했다. 이러한 소문이 나자 그 지역의 높은 지위에 있던 자들이 그를 더욱 시기하게 되었다. 더욱이 황간이 조정에 들어가 황제를 알현하게 되면 변방의 실태를 그대로 보고해 황제가 저간의 사정을 낱낱이 알게 될까 두려워해서 무리를 지어 방해했다. 황간이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자 제자들이 날로 불어나 파(巴)·촉(蜀)·강(江)·회(淮) 지역의 이름난 선비들이 모두 모여들었다. 《예서》의 편찬과 저술에도 시간이 부족했지만, 밤에는 제자들과 함께 경의(經義)에 대한 강론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인근 사찰을 빌려 거처하며 의문 나는 점에 대해 열심히 토론했는데, 마치 스승 주희가 살았을 때와 같은 모습이었다. 얼마 후에 조주(潮州) 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했고, 박주(亳州)의 명도궁(明道宮)을 주관하다가 이것마저 은퇴를 요청해 허락을 받았다.
작고한 후에는 문인들의 요구로 문숙(文肅)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저술로는 《경해(經解)》와 《황면재선생문집(黃勉齋先生文集)》 등이 있다.

장윤수(張閏洙)는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동양 철학(유가 철학)을 전공해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시베이대학 객좌교수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동양철학회 회장을 지냈다. 학문적인 주요 관심 분야는 송대(宋代) 신유학, 영남학파의 성리 사상, 동양 교육 사상 등이다. 저서에는 《도, 길을 가며 길을 묻다》 등이 있고, 역서에 《중국 문화 정신》 등 다수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퇴계 철학에 있어서 이(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강안학(江岸學)의 학문 정체성과 몇 가지 문제점 검토〉 등이 있다. 대한철학회 운제철학상(2019), 대동철학회 학술상(2021), 중국출판협회 번역서 우수학술상(2020)을 수상했다.
이메일 : ysjang@dnue.ac.kr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주자 행장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주자 행장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주자 행장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