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120년
2024년 05월 20일 출간
국내도서 : 2023년 03월 1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53.15MB)
- ISBN 9791198244437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7,0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지하철이 생겨나게 된 이유와 발전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책!
서울의 노면전차부터 경인선, 지하철, 경전철 등의 120년 역사는 대한민국의 도시철도의 그 자체이다.
본 저서의 주요 내용은 1804년 2월 13일의 세계 최초의 철도, 1863년 1월 10일의 세계 최초의 지하철,
더불어 세계 주요 도시 및 서울 수도권 도시철도의 정확한 제원 등의 기본 상식 14가지와, 1899년
5월 20일의 서울 노면전차, 1899년 9월 19일의 경인선, 1974년 8월 15일의 우리나라 최초의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지하철 2,3,4,5,6,7,8,9호선 및 경전철 탄생의 역사적, 시대적 배경을 정확한
근거와 발생일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다. 서울시는 여러 가지 난관에도 불구하고 총연장 L=384.26㎞
(정거장 348개소, 2023.12.30. 기준)를 무난히 마치어 이제는 선진도시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지금도 서울시는 대중교통분담률 75%를 목표로 계속하여 지하철, 경전철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철도 관련업 종사자나 일반인도 흥미롭게 읽어내려갈 수 있는 책!
제 1 절 서울시의 노면전차, 철도, 지하철의 명칭이 ‘도시철도’가 된 시대적 배경 13
제 2 절 고속철도, 광역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봅시다. 16
제 3 절 1804년 2월 13일, 세계최초의 철도(증기기관차)가 사람과 화물을 싣고 달리다. 18
● 세계적으로 최초의 증기기관차의 개발은 1804년에 ‘리처드 트래비딕’이 개발하다. 18
● 1825년 9월 27일 본격적인 증기기관차 ‘Lokomotion(로코모션)호’가 달리다. 20
● 1830년 9월 15일 『맨체스터』와 『리버풀』 간 철도가 개통되다. 21
● 1830년 마국대통령인 ‘토마스 제퍼슨’은 철도를 표현하기를... 23
제 4 절 1863년 1월 10일 런던에서 세계최초의 지하철이 운행되다. 25
● 런던 지하철(London Underground)은 세계최초의 지하철이다. 25
● 지하철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변호사 Charles Pearson(찰스 피어슨)이었다. 25
● 1863년 1월 9일에 성대한 개통식이 거행되다. 28
● 우여곡절이 많았으나 개통 후 놀라은 성공을 거두었다. 29
● 런던지하철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시민들을 위한 대피호로 이용되기도 했다. 30
제 5 절 세계 주요도시의 지하철노선 현황(2022.01 현재) 31
※ 세계주요도시의 지하철도망(2020년, 일본지하철협회) 33
● 서울·인천 지하철도망 33
● 런던 지하철도망 34
● 파리 지하철도망 35
● 뉴욕 지하철도망 36
●동경 지하철도망 37
제 6 절 2020년 이후, 현재 서울지하철의 위상 39
● 서울도시철도(지하철, 경전철) 개통현황 40
● 서울지하철 단계별 개통현황 41
● 수도권전철 개통현황 42
● 서울지하철 환승거리 현황 43
● 서울지하철 노선별 정거장심도 44
제 7 절 지하철 노선 중에 지상구간이 있어도 지하철이다. 45
제 8 절 외국에서의 ‘지하철’ 호칭과 올바른 정의 46
제 9 절 지하철에도 종류가 있다. 48
제10절 경전철도 지하철 구분 종류 중의 하나이다. 49
제11절 서울지하철의 건설 및 운영의 주체기관은 어디인가요? 50
제12절 1970년 이전·이후, 1980년 이후의 설계시방서, 지하철 설계기술의 변천 51
● 1970년 이전의 설계시방서 51
● 1970년대의 설계시방서 52
● 1980년 이후의 설계시방서 53
● 지하철 설계기술의 변천 53
제13절 서울지하철 Tunnel 시공 기술의 발전 55
제14절 1802년 프랑스의 Charles Berigny가 최초로 주입공법을 사용하다. 57
● 주입공법의 발명은 프랑스의 Charles Berigny에 의하여 개발되다. 57
● 세계최초의 용액형 주입재 시도는 1886년 독일의 Jeziorsky였다. 58
● 한국에서는 1953년 옥포저수지에서 처음 주입공법을 사용하다. 60
참고문헌 64
2장 1899년 5월 20일, 서울시 최초의 도시철도인 노면전차가 운행되다. 65
요약
● 고종과 친분이 있던 미국인 ‘알렌’으로부터의 편지 68
● 1898년 2월 19일 한성전기회사(주)가 설립된 것이 전차사업의 시작이다. 69
● 1898년 9월 15일 전차선로부설 착공식(電車線路敷設着工式)이 개최되다. 70
● 1899년 5월 20일 역사적인 서울전차의 개통식이 열리다. 73
● 서울전차 개통 10일 후에 인명사고가 발생하여 5개월간 운행중지하다. 74
● 평민도 양반도 여성도 누구나 탈 수 있는 노면전차가 인기를 얻다. 75
● 한성전기회사는 자금난으로 1904년 한미전기회사로, 1909년에는 일본회사로 소유권이 넘어가다. 76
● 1915년에는 상호가 일한가스주식회사에서 경성전기주식회사로 바뀌다. 78
● 1945년 해방 이후와, 비극적인 한국전쟁 발발로 큰 피해를 입다. 80
● 서울시내에서 노면전차 교통수단은 서서히 한계에 다다르다. 81
● 이제는 서울시내에서 “눈에 거슬리는 것은 꾸물대기만하는 전차다.”라고 평가되다. 82
● 1961년에 경성전기 등 3사가 합병하여, 한국전력으로 상호를 변경하다. 84
● 1966년 6월 1일부로 전차 사업이 한국전력에서 서울시로 이관되었다. 85
● 1968년 11월 30일 자정 이후에는 더 이상 전차가 달리지 않게 되었다. 전차여, 안녕 87
● 노면전차 차량 소개 88
● 서울과 교외지역을 연결하는 철도교통 : 궤도차(軌道車)가 운행되다. 90
참고문헌 91
3장 1899년 9월 19일, 서울시 최초의 철도, 경인선이 개통되다. 93
● 많은 철도역사전문가들이 1895년 2월 전쟁을 위한 ‘진평선’을 부설하였다고 주장하지만? 96 ● 2019년 12월 4일 ‘철도역사 이야기 제22화’에서는 진평선 이야기를 전면 부정하다. 96 ● 경인철도가 1897년 3월 22일 인천 우각리 쇠뿔고개에서 기공식이 열리다. 98
● 경인철도 기공식에 한국인들은 왜 상복(喪服)을 입고 있는지 이제야 사실이 밝혀지다. 99 ● 1899년 9월 19일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건설되어 개통·운행되다. 102
● 경부선 외 다른 노선의 건설도 속속 진행되었다. 103
참고문헌 104
4장 국내 최초 서울지하철 1호선 건설추진의 시대적배경 105
● 1929년에 지하철 노선부설권이 부여되었으나... 107
● 1939년 12월 28일에 ‘성동역에서 동대문’까지 지하철부설 허가가 있었다. 108
● 1961년 우리나라 철도청 기획과가 서울지하철 노선을 도면상으로 기획하다. 110
● 1964년 4월 14일 서울시장은 처음으로 ‘서울시 지하철건설’을 공언하다. 111
● 1965년 2월 3일 ‘서울시정 10개년 계획’과 ‘고속전차 시설계획서(1965)’를 작성하다. 111
● 1966년 9월 ‘고속지하철건설사업 차관신청서’를 작성하다. 113
● 1968년 5월 7일 서울시는 ‘도심순환전철 노선계획을’을 수립하다. 114
● 1969년 12월 30일 서울시는 숙원사업 7개 중 지하철건설을 최우선으로 결정하다. 115
● 1970년 5월 중순 경 서울시장은 대통령에게 ‘서울지하철건설계획’을 직접 보고하다. 115
● 경제부총리는 대통령에게 “서울에 지하철을 건설하면 나라가 망합니다.”라고 반대하다. 116
● 1970년 5월 말 대통령은 “서울시의 대중교통수단건설계획을 수립하라.”라고 지시하다. 117
● 1970년 6월 9일 지하철건설 전담기구인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설치되다. 117
● 서울시가 지하철노선계획 1개 방사선의 5개노선(一放射狀 5個路線) 건설계획을 수립하다. 119
● 1970년 10월 22일 한국정부 차원에서 ‘수도권의 도시철도 건설계획’을 발표하지만... 120
● 지하철 1호선의 전기방식(電氣方式)은 직류 1,500V를 채용하기로 결정하다. 122
● 1971년 4월 12일 드디어 시민의 발, 국내 최초의 지하철 1호선 착공식이 화려하게 열리다. 123
● 지하철 제1호선의 설계내용과 공사추진의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다. 125
● 서울시는 1호선 착공 직후, 1971년 5월 4일에 지하철 5개노선 건설계획을 수립하다. 125
● 1971년 9월에 서울지하철건설 및 수도권 전철화사업 실시계획서가 정부에 제출되다. 126
● 지하철 1호선의 건설로 국내 지하철건설기술 토착화를 이루어내다.(8가지) 129
● 지하철 System 전기방식 및 직·교류 직통 운전시행을 결정하다. 132
● 시청역~종각역 사이의 노선계획은 당초 동아일보 사옥을 통과하는 계획이었다. 133
● 지하철 1호선과 수도권전철의 운행시설을 결정하다. 134
● 국내기술진으로 추진한 지하철 1호선 건설분야 사업 135
● 1972년 4월 지하철 차량 구입을 위한 차관공여 결정이 확정되다. 136
● 1972년 12월 31일 서울시장이 ‘서울지하철건설계획(제1호선∼5호선)’을 발표하다. 137
● 지하철 차량의 설계와 투입을 시작하다. 138
● 비극적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과 겹친 1호선(종로선)과 수도권전철이 동시에 개통되다. 140
● 지하철 1호선 개통시의 열차운행계획을 설정하다. 141
● 서울시 초기 지하철 경영을 위한 조직이 있었다. 141
참고문헌 142
5장 서울지하철 2호선 건설의 시대적배경 143
● 지하철 1호선의 개통 후에도 서울의 교통상황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는데... 145
● 그 당시, 당초 서울시가 구상하였던 노선은 5개 노선이었다. 146
● 1974년 말까지의 지하철 2호선 계획노선은 지금의 순환선이 아니었다. 147
● 김교수는 구자춘시장에게, “시장님, 서울시 도시계획에는 철학이 없습니다.” 라고... 147
● 1975년 3월 5일, 서울시장은 대통령 연두순시 때에 지하철 2호선의 변경계획을 보고하다. 148
● 서울시 3핵(核) 도시구상으로 2호선을 방사선에서 순환선으로 변경하다. 148
● 지하철 2호선(순환선)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다. 149
● 1975년 7월 9일 서울지하철 2호선(순환선) 계획을 확정하다. 152
● 지하철 2호선 예산확보의 어려움에 서울시는 자체적으로 착공을 결정하다. 153
● 드디어 지하철 2호선 1단계(강남), 2단계(강북) 구간을 착공하다. 154
● 지하철 2호선의 시스템분야 사양(任樣)과 차량설계 기준을 정하다. 158
● 지하철 2호선, 단계적으로 개통하다. 159
● 지하철 1호선의 경험을 기초로 자신감이 있는 지하철 2호선 건설 기술을 축척하다. 161
● 지하철 2호선 사업을 마무리하며... 164
● 준공된 당산철교는 구조적 결함 때문에 고심 끝에 재시공하였다. 165
※ 서울지하철 2호선 개통현황(최초 착공일, 구간, 역수, 연장, 개통일) 172
참고문헌 173
6장 서울지하철 3,4호선 건설추진의 시대적 배경 175
● 서울지하철 3,4호선은 지하철 2호선 계획수립부터 예정된 노선이었다. 177
● 서울시는 지하철 1,2호선 건설로 인한 재정적 압박에 민자유치건설로 활로를 찿지만... 178
● ㈜대우실업에서 서울지하철 3,4,5호선을 단독으로 건설의지를 표명하였으나... 179
● 서울시는 1979년 8월 21일, 대우실업을 포함한 다수건설업체 공동참여로 유도하다. 180
● 지하철 3,4호선 노선결정의 배경 181
● 서울지하철 3,4호선의 최종 노선계획을 확정하다. 182
●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 설립, 1980년 2월 29일 3,4호선의 기공식을 거행하다. 183
● 당시, 민자로 시작한 3,4호선 추진에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이 발생하다. 186
● 정부와 서울시는 서울지하철주식회사를 공사화(公社化)하기로 결정하다. 187
● 외국의 터널공법인 NATM공법의 도입으로 터널건설기술이 진전되다. 188
● 지하철 건설기술의 완전 국산화에 가까워지다. 190
● 지하철 3,4호선 건설여건 및 기술특성의 전문화가 이루어지다.(5가지) 191
● 지하철 3,4호선 건설공사의 이모저모 195
● 차량기지의 건설과 연락노선 199
● 서울지하철건설과 관련된 서울시 기구(機構)를 일원화하다. 201
● 서울지하철 3,4호선이 드디어 개통되다. 202
● 지하철 3,4호선의 운영계획을 확정하다. 203
● 지하철 3,4호선 시스템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다. 203
● 인포그래픽(안내) 디자인의 체계화를 강구하다. 204
● 시민들의 요청으로 다수의 역명이 변경되다. 204
※ 서울지하철 3,4호선 개통현황(최초 착공일, 구간, 역 수, 연장, 개통일) 205
참고문헌 205
※ 지하철 3,4호선 완공 후의 서울지하철노선도(1987.05) 206
7장 제2기 지하철 건설의 시대적 배경 - 5,6,7,8호선 건설 및 3,4호선 연장 207
제 1 절 서울시는 제2기 지하철 건설을 위하여 철저한 준비를 하다. 209
● 지하철 5,6,7,8호선 및 3,4호선 연장노선건설의 준비단계에 착수하다. 209
● 서울시 제2기 지하철 노선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시작하다. 211
● 1987년 12월 12일 대통령후보자는 ‘서울지하철 및 전철망 확충공약’을 내놓다. 212
● 1988년 8월 20일 서울시는 ‘서울지하철확정조사’용역을 발주하다. 213
● 1989년 2월 20일에 서울시장은 ‘서울지하철에 대한 노선망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다. 214
● 고건(高建) 서울시장은 서울지하철 추가건설에 강한 의지를 보이다. 215
● 1989년 5월 4일 ‘서울시 지하철건설기획단’을 발족, 이어서 지하철건설본부를 재설치하다. 215
● 989년 5월 26일 서울 시민들을 대상으로 ‘서울지하철추가건설계획(안)공청회’가 열리다. 216
제 2 절 서울지하철 5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217
● 제2기 지하철사업 중 지하철 5호선 건설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다. 217
● 1989년 8월 23일 ‘서울지하철 5호선 기본설계용역’에 착수하다. 219
● 1990년 6월 27일 제2기 지하철의 첫번째인 5호선이 착공되다. 222
● 1996년 12월 30일 지하철 5호선 전 구간이 개통되다. 227
※ 서울지하철 5호선 개통현황 230
제 3 절 서울지하철 6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230
● 지하철 6호선, 1994년 2월 8일에 착공되다. 230
● 2000년 8월 7일 지하철 6호선 전 구간(도심구간은 2001.03.09)이 개통되다. 235
● 서울지하철 6호선을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전에 마무리하다. 237
● 서울시 제2기 지하철 운영 주체를 결정하다. 238
※ 서울지하철 6호선 개통현황 238
제 4 절 서울지하철 7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239
● 1990년 12월 28일 하계지하차도 입구에서 서울지하철 7호선 강북구간 착공식이 개최되다. 239
● 상봉동 노선 확정문제를 논의하다. 243
● 1996년 10월 2일, 드디어 7호선 1차구간이 개통되다. 246
● 7호선 침수사고의 교훈 249
※ 서울지하철 7호선 개통현황 249
제 5 절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건설(서울온수~부평시청~인천부평)의 시대적 배경 250
● 지하철 7호선 연장 건설공사는 최초로 3개 지자체가 공동추진하는 도시철도사업이었다. 250
● 2003년 3월 11일 지하철 7호선 연장건설 협약체결식이 개최되다. 251
● 2005년 3월 4일, 서울~부천구간 착공식이 열리다. 252
● 지하철 7호선 연장공사는 드디어 2012년 10월 27일에 완료되어 개통되다. 253
제 6 절 서울지하철 8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256
● 지하철 8호선 건설공사를 추진, 1990년 1월 16일 8호선의 노선계획을 확정하다. 256
● 1990년 12월 29일, 지하철 8호선 잠실구간 착공식이 가락사거리에서 거행되다. 258
● 지하철 8호선 건설추진에 만전을 기하다. 262
● 1996년 11월 23일 드디어 지하철 8호선이 개통되다. 263
※ 서울지하철 8호선 개통현황 264
제 7 절 지하철 3,4호선 연장공사 건설의 시대적 배경 265
● 1989년 12월 18일 지하철 3,4호선 연장공사 착공식에 대통령이 참석하다. 265
● 3호선 연장구간 지축~구파발은 1990년 7월 13일 일부 개통되다. 266
● 4호선 연장구간 당고개~상계구간은 1993년 4월 21일 일부 개통되다. 266
● 제2기 지하철 건설로 인하여, 획기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다.(21가지 사항) 267
※ 서울지하철 3,4호선 개통현황 267
참고문헌 269
8장 서울시 제3기 지하철건설의 시대적 배경 271
※ 서울지하철 9호선 전구간 항측도(개화~중앙보훈병원) 272
● 언론에서는 서울시 제3기 지하철계획을 ‘그림의 떡’이라 평가하였지만... 273
● 제3기 지하철 타당성조사용역이 착수되었으나, 상위계획 미확정으로 유보되다. 274
● 제3기 지하철에 대한 기본설계는 계속 시행하고, 실시설계는 노선별로 추진하기로 하다. 275
● 1994년 3월 21일 제3기 지하철노선계획을 서울시 내부적으로 확정하다. 278
● 정부의 경제상황에 서울시의 3기 지하철 계획도 영향을 받다. 280
● 서울시는 9호선 건설의 단계별 건설계획안을 수립하다. 281
● 서울시는 제3기 지하철 10,11호선이 정부안과 중복되어 추진을 중단 조치하다. 282
● 제3기 지하철의 9호선과 3호선 연장구간을 집중투자하기로... 282
● 지하철 9호선의 속도향상방안을 검토하다. 283
● 한국정부는 1997년 12월 3일 IMF에 긴급융자를 신청하다. 285
● 지하철 9호선의 급행열차와 완행열차를 혼합운행하는 계획을 수립하다. 286
● 1999년 7월 지하철 9호선계획의 수정안을 발표하다. 287
● 1999년 7월 14일, 건설부 도시교통심의회에서 민자유치에 대한 적극인 검토를 지시하다. 288
● 지하철 9호선 1단계구간(개화~신논현)의 하부공사는 서울시가, 상부부분은 민자유치로 결정하다. 289
● 드디어 2002년 4월 3일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 기공식을 개최하다. 291
● 2006년 6월 23일까지 지하철 9호선 상부부분 민간투자사업의 복잡한 법적절차를 밟다. 294
● 2009년 7월 24일 지하철 9호선 1단계(개화~신논현)구간 25.5㎞가 개통되다. 298
● 지하철 9호선 2,3단계(신논현~중앙보훈병원) 건설을 추진하다. 299
● 지하철 9호선 2,3단계 건설은 상·하부 전체 서울시 재정사업으로 하는 것을 결정하다. 300
● 드디어 2010년 10월 25일, 지하철 9호선 3단계 기공식을 개최하다. 302
● 2015년 3월 27일, 지하철 9호선 2단계(신논현~방이동 간 12.5㎞ 중 4.5㎞) 개통식을 갖다. 303
● 2018년 11월 30일 ‘지하철 9호선 잔여구간 3단계(9.5㎞) 건설공사 개통식’을 개최하다. 304
※ 도시철도 9호선 제1,2,3단계 추진 기본계획 승인 현황 305
※ 서울지하철 9호선 개통현황 306
9장 서울시 경전철건설의 시대적배경 311
● 1990년 말 서울 · 수도권의 인구는 1600만 명을 넘어서다. 313
● 서울시장은 1991년 4월 4일, 대통령에게 현재 건설중인 제2기 지하철 완성 후, 120㎞ 내외의 추가 지하철 건설을 할 계획임을 보고하다. 314
● 그러나, 언론에서는 이 계획은 ‘그림의 떡’이고, ‘달리는 빚더미’ 건설은 공상에 가깝다는 주장이었다. 314
● 1994년 3월 21일 3기 지하철 노선계획을 서울시 내부적으로 일단 확정하고,
보조 노선은 본 3기 지하철 노선 결정 후 추가 검토하기로 하다. 315
● 1998년 5월 기획예산처는 서울시의 3기 지하철 등의 사업 재검토를 권고하였지만, 9호선은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다. 315
● 서울시는 2000년 11월 10일, 서울 지하철 도망의 지선축 5개 노선을 선정하다. 316
● 2001년4월 ‘서울도시철도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을 통하여 6개 경전철망 계획을 수립하여 시장에게 보고하다. 316
● 2005년 9월 15일 시정개발연구원은 ‘서울시 지하철 노선 개편 방안’을 제안하다. 317
● 2008년 11월 21일 경전철 7개 노선(62.16km)이 국토부의 승인을 받다. 317
●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 철도망 구축 계획 변경’ 용역을 바탕으로 2015년 6월 30일에 국토교통부에 10개 노선에 대하여 승인 요청을 하다. 318
● 기존 민자사업 추진절차에서 재정지원 부문 보완하다. 320
● 기존 민자사업 추진절차에서 요금 제도를 보완하다. 320
● 우이~신설 경전철은 2003년 6월에 민자 제안서가 제출되어 14년 만인 2017년 9월 2일에 개통되었다. 323
● 신림선 경전철은 2006년 3월에 민자사업제안서가 제출되어 16년 만인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되었다. 323
참고문헌 325
그림, 표 목록 326
책을 마치며 334
저자소개 336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