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조주록 강설(상)

불광출판사

2024년 05월 22일 출간

종이책 : 2023년 08월 16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29.09MB)
ISBN 9791193454084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소득공제
소장
정가 : 42,000원

쿠폰적용가 37,8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시리즈 전체 2
조주록 강설(하)
42,000
조주록 강설(상)
42,000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조주고불(趙州古佛)”, “천하조주(天下趙州)”로 명성 높은 조주 종심(趙州 從諗) 선사는 당대의 임제 선사가 할(喝)을 쓰고 덕산 선사가 봉(棒)을 쓴 것과 달리, 말[言句]로써 죽이고 살림[殺活]을 자재하여 많은 이들을 깨달음으로 인도하였다. 그래서 조주선(趙州禪)을 일명 “구순피선(口脣皮禪)”이라고 한다.
조주 선사의 번뜩이면서 탁월한 선기(禪機)를 보여주는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남전참묘(南泉斬猫)’,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 ‘끽다거(喫茶去)’,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등 수많은 고칙(古則)은 오늘날까지 간화선을 대표하는 공안(公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들 공안과 그 기연이 담긴 조주 선사의 어록이 바로 『조주진제선사어록』, 즉 『조주록』이다.
우리나라 불교의 대표 선사인 학산 대원(鶴山 大元) 대종사는 이 『조주록』의 525칙 공안을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장장 6년간 강설해 왔다. 이 책은 그 귀한 법문을 엮은 책으로, 조주 선사의 어록과 그에 대한 『선종송고연주』, 『선문염송』, 『염송설화』의 내용, 거기에 학산 대원 대종사의 착어와 송을 더했다.
이 고준한 선(禪)의 세계는 당장 알아듣지 못하여도 깨달음의 씨앗이 되고, 지혜를 탁마(琢磨)하는 거울이 된다고 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학산 대원 대종사의 ‘조주록 강설’은 조주선의 진미(珍味)를 만끽함과 동시에, 아직 고통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중생에게 깨달음을 향한 가장 탁월한 길이 되어 줄 것이다.
[상권]

조주록 강설 서두에
발간사
해제
조주록 공안 목록

1칙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 223칙 적면사(覿面事)

스님께서는 조주에 2년을 살았는데, 장차 세연(世緣)을 마치려 할 즈음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세상을 뜨고 나면 화장하되 사리를 고를 것 없다. 종사의 제자는 세속과는 다르고, 더군다나 몸뚱이는 허깨비이니 사리가 어디서 생기겠느냐? 이런 일은 가당치 않다.」
스님께서는 제자를 시켜 불자(拂子)를 조왕에게 보내면서 말을 전하였다.
「이것은 노승이 일생 동안 쓰고도 다 쓰지 못한 것입니다.」 _ 상권 38쪽

「무엇이 도입니까?」
「평상심이 도이다.」
「그래도 닦아나가는 것이 있지 않겠습니까?」
「헤아리면 바로 어긋나버린다.」
「헤아리지 않으면 어떻게 이 도를 알겠습니까?」
「도는 알고 모르는 데 속하지 않나니, 안다면 망각(妄覺)이요, 모른다면 무기(無記)라. 만약 의심할 것 없는 도를 진정으로 통달한다면 마치 허공과 같이 텅 비고 확연히 트여서 어찌 억지로 시비를 할 수 있겠느냐? _ 상권 43쪽

지식은 양면성이 있다. 지식으로 새로운 것을 발명해서 이익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 이권과 편리 도모를 위해 이용하기도 한다. 욕망을 추구하기 위해 상대방과 끊임없는 투쟁이 이어진다.
한 시대의 지식이나 패러다임은 완벽한 것이 아니라서 시간이 지나가면 또 새로운 지식과 패러다임이 나온다. 지식은 육근육진(六根六塵)의 의식에서 나오는 것이다. 지식이란 자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조작이고, 육근육진의 의식으로 사는 것은 틈새가 있다. 이걸로는 영원한 안심입명처(安心立命處)를 맛보기 어렵다. 평상심이 도라는 것은 그런 것을 벗어난 세계이다. _ 상권 55쪽

남전 스님 회상의 동당과 서당 양당이 고양이를 다투자 남전 스님께서 승당 안으로 들어와 고양이를 치켜들면서 말씀하셨다.
「이른다면 베지 않겠거니와, 만약 이르지 못한다면 베리라.」
대중이 말을 하였으나 모두 남전 스님의 뜻에 계합하지 못하니, 즉시에 고양이를 베어버렸다.
저녁이 되어 스님께서 밖에서 돌아와 인사드리러 가니 남전 스님께서는 앞의 이야기를 다 말해주고 물으셨다.
「그대라면 어떻게 고양이를 살리겠는고?」
스님께서 신발 한 짝을 머리 위에 이고 나가거늘, 남전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대가 만약 있었더라면 고양이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_ 상권 92쪽

스님께서 상당하여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이것은 너무도 분명하여 양을 뛰어난 대인이라도 여기를 벗어날 수는 없다.
노승이 위산(潙山)에 갔을 때 한 스님이 위산 스님에게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하고 묻자
위산 스님은 『나에게 의자를 가져오너라.』 하였다.
종사라면 모름지기 본분의 일로 사람을 제접해야 한다.」
그때 한 스님이 물었다.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뜰 앞의 잣나무니라.」
「스님께서는 경계를 가지고 학인을 가르치지 마십시오.」
「나는 경계를 가지고 학인을 가르치지 않는다.」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뜰 앞의 잣나무니라.」 _ 상권 142쪽

조주의 뜰 앞의 잣나무여
만가(萬家)의 맑은 바람 밝은 달이 높은 누대를 비추는구나.
말없이 미소 짓고 눈썹으로 말을 전하니
천 개의 문에 부딪히니 만호(萬戶)가 활짝 열리는구나. _ 상권 197쪽

학인이 물었다.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없다.」
「위로는 모든 부처님과 아래로는 개미에 이르기까지 모두 불성이 있다고 했는데, 개는 어찌하여 없습니까?」
「개는 업식(業識)의 성품이 있기 때문이니라.」 _ 상권 456쪽

간화선(看話禪)의 진수, 조주록(趙州錄)에 담긴
고준한 선(禪)의 세계로의 초대!

우리나라 불자라면 꼭 한 번 들어봤을 법한 대표적인 공안(公案)이 있다. 과거 선사들의 언행록에서 뽑아 현재까지 전해지는 공안이 무려 1,700개. 그 수많은 화두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많은 수 ‘무자(無字) 화두’를 이야기할 것이다.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조주무자(趙州無字)’로 일컬어지는 이 화두는 중국 당나라 때 한 수행승이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라고 질문하자 “없다[無]”고 답한 데서 기인한다. 간화선(看話禪) 공부에 있어서 선(禪) 수행자들이 가장 많이 참구해 온 대표적인 공안인 이 무자 화두는 “조주고불(趙州古佛)”, “천하조주(天下趙州)”로 명성 높은 조주 종심(趙州 從諗, 778~897) 선사로부터 온 것이다.

2016년부터 장장 6년간의 강설을 엮은 조주선(趙州禪)의 진미(珍味)
조주 선사는 당대의 임제 선사가 할(喝)을 쓰고 덕산 선사가 봉(棒)을 쓴 것과 달리, 말[言句]로써 죽이고 살림[殺活]을 자재하여 많은 이들을 깨달음으로 인도하였다. 그래서 조주선(趙州禪)을 일명 “구순피선(口脣皮禪)”이라고 한다.
무자 화두를 비롯, 조주 선사의 번뜩이면서 탁월한 선기(禪機)를 보여주는 ‘남전참묘(南泉斬猫)’,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 ‘끽다거(喫茶去)’, ‘만법귀일 일귀하처(萬法歸一 一歸何處)’ 등의 고칙(古則)으로 이루어진 『조주록』은 오늘날까지 간화선을 대표하는 공안으로 자리 잡고 있으니, 선사의 어록은 ‘간화선의 진수’이자 ‘화두선의 원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동안 선의 대중화ㆍ생활화에 심혈을 기울여 온 우리나라 불교의 대표 선사, 학산 대원(鶴山大元) 대종사는 이토록 중요한 조사어록을 ‘이 시대 공부인에게 간화선을 비롯, 불교 수행에 대한 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2016년부터 장장 6년간 283회의 법회를 통하여 강설해 왔다.
이 책은 당시의 법문을 하나로 엮은 책으로서 조주 선사 어록과 그에 대한 『선종송고연주』, 『선문염송』, 『염송설화』의 내용을 싣고, 학산 대원 대종사의 착어와 송을 더했다. 그리하여 사부대중에게 선에 대한 안목을 바로 정립하는 계기이자, 고준한 공안들로 이루어진 『조주록』의 진미를 만끽할 수 있는 자리가 되어 준다.

옛 조사가 가리키는 깨달음을 향한 탁월한 길
조주 선사가 우리에게 남긴 질문은 우리 삶이 그러하듯 수학 시험 문제와 같이 ‘계산’해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답’은 없다. 대신 ‘길’이 있다. 알쏭달쏭한 수수께끼 같아 보이지만 조주 선사와 옛 고승들이 그러했듯 조사가 가리킨 깨달음의 길을 우리가 가지 못할 이유는 없다.
학산 대원 스님은 첫 강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바로 보고 바로 알아차리면 번거롭게 옛 조사의 어록을 강설해야 할 일이 없지만, 실상을 바로 보고 바로 알지 못하는 중생들을 위해 수미산 같은 허물을 짊어지고 시작하노라.”
조사어록이 가리키는 가장 빠르고, 탁월한 깨달음의 길을 알아채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가 세상사의 알음알이에 젖어 사는 이유 때문일지도 모른다. 불가(佛家)에서 흔히 말하길, 불성(佛性)이란 보물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무명(無明)에 가려 그것을 발견치 못하는 어리석음과 같다.

조주 스님 어록은 선의 종문에서 최상의 격외선 도리의 말씀이고, 또한 화두선도 조주 스님이 원조이다. 조주 스님이 “무(無)”라 한 거기서부터 간화선 화두가 시작됐다. 그래서 선의 골수요, 종문에서 최고의 고준한 진리의 말씀을 여러분이 6년 동안 들었다.
이 말을 듣고 조주 스님처럼 안 됐다 해서 실망할 건 없고, 다만 똑같은 인간인데 조주 스님은 그렇게 됐는데 나는 아직 안 됐으니, 나도 열심히 정진하면 조주 스님처럼 고준한 지혜의 안목을 열게 된다는 확신을 가지고 앞으로 더 분심과 환희심과 신심을 내라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알아듣기 어렵다는 이유로 선에 관심을 멀리하고 최상승의 길에서 퇴보해 버리는 이들도 없지 않다. 중생의 의식을 통해 아는 것은 중생의 습성만을 키우는 것이요, 중생의 의식을 벗어난 것이 반야지혜(般若智慧)이므로, 일체 분별과 알음알이를 내려놓고, 오직 일념 참구를 통한 깨달음이 종문의 법칙임을 잊어선 안 된다.
고준한 선의 세계는 당장 알아듣지 못하여도 일문천오(一聞千悟)의 씨앗이 되고, 향상일로(向上一路)의 지혜를 탁마(琢磨)하는 거울이 된다 하였다. 학산 대원 스님의 조주록 강설은 이 시대에 향상일로이자 직절일로(直截一路)를 열어 보인 희유(希有)한 법문이니, 이로써 최상승 간화선이 널리 선양되고, 참학인(參學人)들은 참의심이 돈발하여 확철대오(廓徹大悟)로써 사은삼유(四恩三有)에 보답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작가정보

(鶴山 大元 大宗師)
1942년 경북 상주 출생(음력 3월 13일)
1956년(만 14세) 상주 남장사로 출가(은사: 고암 스님, 계사: 동산 스님)
행자 시절 최초 오도(悟道)
1962년(만 20세) 구족계 수지
1966년 일대시교(경전) 이수(고봉, 성능, 호경, 혼해 스님 문하)
혼해 스님 문하에서 두 번째 오도
이후 21년간 제방선원에서 정진
(효봉, 동산, 고암, 경봉, 전강, 향곡, 성철, 구산, 월산 스님 회상)
1972년 고암 상언 대종사로부터 인가를 받음
‘뜰 앞의 잣나무’ 화두를 타파하고 세 번째 오도
1986년 고암 상언 대종사로부터 전법 부촉
석가여래 제70세 법손(용성 진종 -고암 상언 -학산 대원)
1986년 계룡산 옛 제석사터에 학림사(鶴林寺) 창건
1995년 오등선원 개원(조실로 추대)
2001년 오등시민선원 개원
2010년 대한불교조계종 전국선원수좌회 수석대표
2013년 해인총림 서당
고암문도회 회주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의원
2014년 대한불교조계종 대종사 법계 품서
2017년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자문위원
대한불교조계종 원로회의 수석부의장
고암문도회 문장
2022년 대한불교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법어집 : 『철벽을 부수고 벽안을 열다』, 『진흙 속에서 달이 뜨네』
강설집 : 『무구자 도인 주해 반야심경』, 『대주선사어록 강설』, 『금강경오가해 강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조주록 강설 시리즈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조주록 강설 시리즈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조주록 강설(상)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