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중국인 문제

19세기 골드러시, 이주와 노동과 배제
메이 나이 지음 | 안효상 옮김
책과함께

2024년 05월 20일 출간

종이책 : 2024년 03월 11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48.71MB)
ISBN 9791192913834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소득공제
소장
정가 : 33,000원

쿠폰적용가 29,7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19세기 중반 이후 반세기 동안, 그 이전 3천 년 동안 채굴된 것보다 더 많은 금이 채굴되어 개인들과 국가들에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다. 이른바 골드러시다. 당시 많은 중국인이 미국 캘리포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멜버른), 남아프리카 트란스발 등의 금광지로 이주해 착취를 견디며 일했다. 《중국인 문제》는 초국가적 이주와 노동과 배제의 역사와, 그 과정에서 인종이 어떻게 국제 자본주의의 구조에 편입되고 국가 정치에 연결되는지를 재구성한다. 저자는 5개 대륙에 걸친 10여 년의 연구를 바탕으로, 고국을 떠난 수천 명의 중국인이 어떤 곤경을 겪었고 어떻게 공동체와 조직을 형성하여 위험한 ‘신세계’를 헤쳐나갔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골드러시는 중국과 앵글로-아메리카 세계 사이에, 이주민 중국인들과 정착민 유럽-미국인들 사이에 첫 대규모 접촉을 불러일으킨 사건이었다. 이 시기 중국인 이주민과 백인 정착민 사이 알력은 “중국인 문제”를 둘러싼 전 지구적 분쟁을 촉발했다. 미국과 영국제국은 중국인을 이민과 시민권에서 배제하는 법으로 “중국인 문제”에 대응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인 ‘쿨리’ 신화가 생겨났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소위 ‘동양계’를 향한 인종주의의 시작이었다.
옮긴이의 말
저자의 말

서론: 황인과 황금

제1부 두 개의 금산
제1장 두 개의 금산(金山)
제2장 채굴지에서
제3장 백인들과 대화하기
제4장 비글러의 수(手)
제5장 보호의 한계

제2부 백인들의 나라 만들기
제6장 빈터의 고함질
제7장 황색 고통

제3부 식민지들에서 아시아인의 위협
제8장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곳
제9장 란트 지역의 쿨리
제10장 황금의 대가(代價)
제11장 식민지들에서 아시아인의 위협

제4부 서양의 중국인 디아스포라
제12장 배제와 문호 개방
제13장 중국인 되기, 중국 되기

에필로그: 돌아온 황화(黃禍)라는 유령

감사의 말
로마자 표기와 통화에 관하여
중국어 고유명사 용어집

참고문헌
지도 목록
사진 목록 및 출처
수록 논문 출처
찾아보기

P. 18 옮긴이의 말
오늘날 “중국(인) 문제”는 19세기 골드러시 시기의 인종주의적 스테레오타입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것은 중국이 부상하면서 중국의 새로운 침입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나아가 중국이 미국을 대신할 패권국가로 부상할 수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그 두려움과 우려에는 서양과는 다른 가치와 체제를 지닌 중국이 부상해 패권국가가 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신념 혹은 이데올로기가 깔려 있다는 점에서 “중국(인) 문제”는 지금도 여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인)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몽(中國夢)”이라는 표어를 가진 중국민족주의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중국 및 중국인 문제의 역사적 윤곽을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중국인 문제》는 이런 이해로 가는 중요한 이정표다.

P. 23 저자의 말
나의 의도는 인종주의(racism)의 역사적 기원 및 재생산을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전략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 시대에 인종주의와 싸우고 이를 근절할 수 있는 잠재력을 우리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P. 35 서론: 황인과 황금
19세기에 미국인들과 유럽인들은 자주 까다로운 사회 문제(problem)를 “문제(Question)”라고 표현했으니 곧 “니그로 문제(Negro Question)” “유대인 문제(Jewish Question)” “여성 문제(Woman Question)” 같은 식이다. “문제”는 대개 당시 막 등장하고 있던 근대 국민국가에서 소수자 혹은 종속 집단의 정치적 지위와 관련되었다. (…) 이 문제들은 민주주의의 도전이었다. 누가 속할 수 있고, 누가 시민일 수 있으며, 누가 투표할 수 있는가를 규정하는 것이었다. (…)
“중국인 문제”는 간단하게 말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인들은 백인 앵글로-아메리카 나라들에 인종주의적 위협이 되는가, 중국인들은 이 나라들에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하는가? 중국인 배제는 당시에는 급진적 발상이었으니, 그것은 평등이라는 자유주의적 원칙에 도전했거니와 자유무역과 자유이주로 규정된 세계에서 예외를 설정하려 했기 때문이다.

P. 52 서론: 황인과 황금
《중국인 문제》는 서양의 중국인 디아스포라가 금과 막 탄생하던 새로운 세계, 인종과 화폐의 힘에 의해 새롭게 상상되고, 조직되고, 통치된 세계가 짠 그물망─환상적이면서도 잔인한─을 어떻게 통과했는지를 다룬다.

P. 81 제1장 두 개의 금산
골드러시는 수많은 중국인과 유럽-미국인이 전례 없는 규모로 서로 접촉할 수 있게 했고, 이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에 중국 항구도시들에 있던 유럽의 식민 엔클레이브 혹은 미국과 잉글랜드를 때때로 방문한 중국인들의 제한된 경험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

P. 109-110 제2장 채굴지에서
회관은 연대와 사회적 통제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조직이었다. 샌프란시스코나 멜버른에 도착하는 새 이민자는 부두에서 자기 고향 출신의 대표자를 만날 것이고, 그 대표자는 중국인 지구에 있는 회관 본부로 이민자를 데려갈 것이다. 그곳에서 새 이민자는 잘 곳, 따뜻한 식사, 광산이나 이런저런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것이고, 그곳에서 그는 사촌이나 마을 친구들을 만날 수도 있다.

P. 142 제3장 백인들과 대화하기
19세기 후반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에라카운티의 피진은 현지 사회 주류와 정기적이지만 제한적 접촉을 하는 에스닉적 외부자들로서 중국인들의 사회적 위치를 나타낸다. 그것은 사회의 가장 주변부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언어이고, 광저우 및 홍콩에서와는 달리, 당사자들이 서로 동등하지는 않더라도 경쟁자로 만나는 활기찬 시장의 중심 동력이 아니다.

P. 165 제4장 비글러의 수
존 비글러는 모든 중국인 광부에게 “쿨리”라는 낙인을 찍음으로써 중국인들을 자유노동의 대척점에 있는 흑인노예들과 비교하는 인종주의적 비유를 발견했고, 이를 통해 중국인들을 백인 광부들의 독립성을 위협하는 존재로 주조해냈다.

P. 231 제5장 보호의 한계
빅토리아의 정책은 보호가 아니라 봉쇄와 규제이며, 궁극적으로는 국가 재정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보호”는 온정주의〔가부장주의, 후견주의〕의 언어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중국인들을 일반 주민들에게서 제거해야만 인종 갈등을 피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 법적 허구였다. 이 논리에 따르면 치안 유지 대상은 백인이 아니라 중국인이 되어야 했다.

P. 250 제6장 빈터의 고함질
중국인들에 대한 폭력은 일상화되었다. 반쿨리 클럽들은 연사들이 타락하고 비도덕적인 쿨리 계급을 비난하는 빈터 집회를 열었다. 이런 연설은 군중을 흥분시켜 그들로 하여금 거리로 나서게 했고, 자신들과 마주치는 중국인들을 아무나 폭행하게 했으며, 중국인들의 거주지나 일터의 유리창을 깨뜨리고 불 지르게 했다.

P. 281-282 제7장 황색 고통
두 페이지에 걸쳐 실은 일러스트는 흉물스러운 중국인 남성을 문어로 그리고 있으며, 각각의 촉수에는 “값싼 노동력” “천연두” “번탄”〔중국 도박의 일종〕 “아편” “비도덕성”(중국인 남성들의 백인 여성들과의 성적 결합을 암시하는) 등의 악이 써 있었다.

P. 315 제8장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곳
1904년 6월 18일 한겨울 새벽 3시, 트위드데일호가 남아프리카 더반에 입항했다. 트위드데일호는 중국인 남성 1049명을 태우고 홍콩에서 약 1만 2000마일을 이동해왔고, 이들은 영국 식민지 트란스발의 비트바테르스란트 금광 광산들에서 일하기로 계약한 사람들이었다.

P. 364 제9장 란트 지역의 쿨리
란트 지역의 광산들은 위험하고 유해한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특히 광산 관리자들이 산출량을 극대화하려 노동자들을 가차 없이 몰아붙였기 때문이다. 영국-중국 간 노동협약, 트란스발 조례 제17호, 개별 노동자들의 계약조건에는 노동자들을 학대로부터 보호하는 조항이 들어 있었다. 그러나 누가 이런 보호를 보장할 것인가?

P. 404 제10장 황금의 대가
그는 자신이 생각하기에 중국인들에게 호소력 있는 표현의 어조로 썼다. “계약이 만료되면 여러분은 모두 즐겁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저들은 다시는 볼 수 없을 부모와 가족들로부터 수천 마일의 바다와 수많은 그 사이의 산들로 분리된 이국의 감옥에서 평생 또는 수십 년 동안 고통스럽게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저들의 운명에 경각심을 갖고, 여기는 법과 질서의 나라이며, 모든 범죄자는 가장 엄격하게 처벌받을 것임을 기억하십시오.

P. 416 제11장 식민지들에서 아시아인의 위협
남아프리카에서 중국인 노동력에 대한 반대 주장은 단순히 그것이 백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것만이 아니었다. 비판자들은 더 크진 않을지라도 추가적 위협이 있다고 보았으니, 그 위협이란 계약 아시아인 노동력이 아시아인 상인들과 교역업자들의 정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도사리고 있었다.

P. 446 제12장 배제와 문호 개방
19세기 중반 이래, 배제에 반대한 유럽계 미국인과 중국인 모두 이주와 교역은 서로 관련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주를 끊어내면 교역은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그들은 경고했다. 그러나 배제가 교역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생각이 중국인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서 고착화되긴 했지만, 배제가 상업과 교역에 실제로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검토된 바가 없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

P. 486 제13장 중국인 되기, 중국 되기
전통적인 유교적 사회질서에서는 하층이었던 중국인 상인들은 채굴 투자자, 공동체 지도자, 문화 중개자로 새로이 형성된 힘을 행사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위안성,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의 로콩멩,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의 셰쯔슈 등은 중국인 이민자들을 이들이 이민한 현지국의 일부와 이들이 태어난 중국의 일부로서 중국인 이민자들의 인식과 이해관계를 옹호했다. 이러한 중국인 노동자들과 상인들은 인종과 돈이 그려내는 전 지구적 윤곽에서 근대 중국인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

P. 500 에필로그: 돌아온 황화라는 유령
따라서 중국인 문제는 21세기에 부활해서 다른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새로운 황화(黃禍)라는 유령은 중국에 대한, 그리고 미국(과 세계)을 향한 (근거 없이 주장된) 중국의 위협이라는 당대의 묘사에 스며들어 있다.

현대 인종주의와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동학(動學)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 ‘중국인 문제’

19세기 중반 이후 반세기 동안, 그 이전 3천 년 동안 채굴된 것보다 더 많은 금이 채굴되어 개인들과 국가들에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다. 이른바 골드러시(gold rush)다. 당시 많은 중국인이 미국 캘리포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남아프리카 트란스발 등의 금광지로 이주해 착취를 견디며 일했다. 《중국인 문제》는 초국가적 이주와 노동과 배제의 역사와, 그 과정에서 인종이 어떻게 국제 자본주의의 구조에 편입되고 국가 정치에 연결되는지를 재구성한다. 컬럼비아대학 메이 나이 교수는 5개 대륙에 걸친 10여 년의 연구를 바탕으로, 고국을 떠난 수천 명의 중국인이 어떤 곤경을 겪었고 어떻게 공동체와 조직을 형성해 위험한 ‘신세계’를 헤쳐나갔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골드러시는 중국과 앵글로-아메리카 세계 사이에, 이주민인 중국인들과 정착민인 유럽-미국인(곧 백인)들 사이에 첫 대규모 접촉을 불러일으킨 사건이었다. 이 시기 중국인 이주민과 백인 정착민 사이 알력은 ‘중국인 문제’를 둘러싼 전 지구적 분쟁을 촉발했다. 미국과 영국제국은 중국인의 이민을 제한하고 그들을 시민권에서 배제하는 법으로 ‘중국인 문제’에 대응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인 ‘쿨리’ 신화가 생겨났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소위 ‘동양계’를 향한 인종주의의 시작이었다.


서양을 직접 경험한 최초의 중국인 이주노동자들이 마주한
노동과 차별과 배제의 정치경제학

골드러시 시기, 황금과 기회를 찾아 최초로 대양을 건너 서양을 경험한 중국인들. ‘두 개의 금산(金山)’인 주진산(舊金山) 캘리포니아와 신진산(新金山) 빅토리아 멜버른, 그리고 남아프리카 트란스발 등지로 간 중국인 이주노동자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앵글로-아메리카 세계로 이주한 중국인 이민자들은 청 말 역사에서 주변적 행위자가 아니었다. 골드러시에 뛰어든 사람들은 자발적 의지로 서양을 직접 경험한 최초의 중국인들이었다. 북아메리카 및 오스트랄라시아의 골드러시와 남아프리카의 금 산업 부흥에 참여한 이들은 장거리 이주 및 전 지구적 교역이라는 새로운 자본주의 시대에 필수적 요소였다.
《중국인 문제》는 중국인 이주노동자들의 꿈, 노동, 공동체뿐 아니라 자기가 자기 머리에 성유를 부은 자칭 ‘백인들의 나라들’에서 중국인 이주자들이 겪은 고통과 절망, 숙명적 주변부화와 배제에 관한 이야기다. 금광열과 인종주의 정치가 미국과 영국제국에서 개척지들의 폐쇄를 의미하고, 영국과 미국이 금융권력에서 지배적 세력을 형성하고 중국이 세계의 ‘국가들의 가족’에 포함되었으나 불평등하고 주변적 행위자였던 시기를 다룬다. 그리하여 중국인들에 대한 배제가 당시 막 등장하던 전 지구적 자본주의 경제에서 외재적인 것이 아니라 그 구성 부분이었음을,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여러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금’ 관련 사례를 통해 밝힌다.


이주민 중국인들과 정착민 유럽-미국인들 사이에
첫 대규모 접촉을 불러일으킨 사건

금을 찾아 앵글로-아메리카 세계의 제국 또는 그 식민지들로 이주한 중국인들은 그곳 금광지들에서 대규모로 그리고 그 이전의 경우(1830년대에서 1870년대 사이에 카리브해 노예제 플랜테이션식민지들로의 이주)보다 상대적으로 더 평등한 조건 즉 ‘독립적’ 탐광자(探鑛者)이자 ‘자발적’ 이민자로서 현지 정착민들인 유럽-미국인들(Euro-Americans, 백인)과 만났다.
앵글로-아메리카 제국의 땅들, 곧 미국과 영국령 정착민식민지들(뉴질랜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은 국가 정치의 궤적에 맞추어 중국인들을 이민과 시민권에서 배제하는 입법으로 ‘중국인 문제’에 답했다. 미국에서 중국인 배제법들(1875∼1943. 페이지법, 중국인배제법, 기어리법 등)은 배제할 집단을 명시적으로 거명한 최초의(그리고 오늘날까지 유일한) 법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중국인, 남아시아인, 이런저런 비유럽인을 겨냥한 이민 제한이 백호주의(‘백인호주주의’의 줄임말로, 20세기 중후반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백인 이외 유색 인종의 입국이나 이민을 배척하던 정책) 정책의 주춧돌이 되었다. 남아프리카에서는 중국인 배제(1880년대∼1980년대)가 급진적 백인우월주의와 인종분리라는 의제의 일부였다. 각각의 경우에 ‘중국인 문제’는 백인 정착민 정체성과 근대 국민국가, 원주민 몰아내기와 인종주의적 분리가 생겨나는 데서 중심 역할을 했다. 이러한 법들은 당시 막 등장하던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끼쳤거니와 확장하는 세계를 상상하고, 조직하고, 통치하는 새로운 방식의 출발을 알렸다.
‘중국인 문제’는 당시 노동(권)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세계 정치·경제적으로 여러 중요한 문제가 비롯한 지점이었다. 골드러시 시기 중국인 디아스포라를 통한 이주와 교역의 지구화 사이 관계, 인종적 국민 구성과 근대적 국민국가 사이 관계, 중국의 국제 교역과 국제 금본위제(당시 골드러시 효과에 따른) 사이 관계, 값싼 외국인 노동력과 20세기 세계·경제 질서 재편 사이 관계, 골드러시 시기부터 시작된 서양의 ‘중국/중국인의 침입(Chinese Invasion)’에 대한 두려움의 수사(修辭)인 ‘황화(黃禍, yellow peril)’와 21세기 중국의 패권국 부상 사이 관계 등이다.


재외(在外)의 삶을 선택한, 동시에 배제에 맞서 분투한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중국인 이민자들의 이야기

다른 나라의 이민자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인들도 부를 추구하거나 새로운 생계를 찾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의 금광 지역들로 이주했다. 현지국 백인들은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일자리를 빼앗고, 임금을 낮추게 하며, 사회에 혼란을 일으킨다는 등의 비난을 하며 중국인들을 백인 사회를 위협하는 존재로 주조해냈다. 이러한 이주 중국인들과 현지 정착민들 사이의 경제적 갈등은 곧 인종적 공격으로 바뀌어, 서양인들은 중국인들을 “그들의 이교(異敎, heathenism), 근거 없이 주장된 불결함(uncleanliness)과 비도덕성(immorality),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없음(unintelligibility)”을 통해 바라보았다. 유럽-미국인들에게 중국인 이주노동자들은 서양 사회에 결코 동화될 수 없는 노예 종족으로 중국인 이민 노동자들은 부자유하다는 지속적인 신화(‘쿨리 신화’)를 유포하며 그들은 결코 문명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현지 백인 정착민들은 중국인들의 노동력은 이용할 수 있지만 그들에게 자신들과 동등한 법적 권리의 시민으로서의 자격은 부여할 수 없다는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잣대를 가지고 있었다.
이주 중국인들은 자신들에 대한 백인들의 경제적 억압과 부당한 법적 배제 및 차별에 대항해 작업 거부, 임금 투쟁, 파업, 회관(會館, 후이관, 동향 결사) 같은 이주 공동체 결성, 거리 시위, 청원, 미국산 상품 보이콧 등으로 맞섰다. 책에는 1880년대 초반 샌프란시스코 주재 청국 총영사를 지내며 이주 중국인들을 보호하려 외교적 노력을 펼친 황쭌셴 같은 엘리트뿐 아니라, 중국인 이주자들의 시민적 권리를 제한하려는 시도에 반발한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위안성,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의 로콩멩·루이스 아 무이·척홍청,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의 셰쯔슈, 그리고 아부(Ah Bu)와 같이 서양의 기록에 호칭(address)의 형태로만 등장해 중국식 성명을 알 길이 없는 많은 중국 인물이 등장한다.
《중국인 문제》는 그간의 역사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중국인 이민자들의 다채로운 프로필을 통해 1850년대 골드러시 시기부터의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에서 초국가적 중국인 노동 및 이주와, 그 속에서 발생한 인종주의와, 이에 대한 이주 중국인들의 저항의 역사를 서술한다.
중국인 배제의 역사는 19세기 중국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것은 열강과의 불평등조약들과 함께 중국이 전 지구적 무대에서 겪은 수치를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상징이다. 《중국인 문제》는 ‘쿨리 신화’를 깨부수고, 인종주의적 억압에 맞서 부단히 저항하고 그 개선의 가능성을 약속한 초기 지구화 시기 중국인의 역사를 온전하게 복원하는 보기 드문 책이라 하겠다.


19세기 전 지구적 경제와 정치 관계 속
인종과 돈의 강력한 연금술

《중국인 문제》는 서양의 중국인 공동체들이 어떻게 19세기 세계에서 인종과 돈의 강력한 연금술(유색인 노동력과 자본주의, 식민주의와 금융권력) 속에서 탄생했는지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비판적 정치경제사에서는 미국과 유럽 제국들이 자본 축적을 위해 인종과 돈을 이용한 다양한 전략─아프리카 노예제, 은과 금, 아편과 포함(砲艦)─을 사용했다고 강조하는데, 이러한 전략은 당시 신흥하는 세계 경제의 분기(分岐, divergence)를 창출하는 데 핵심적이었다고 평가한다. 이 책은 ‘중국인 문제’의 정치가 서양과 중국 사이의 ‘대분기’의 일부였음을 조명한다.
19세기 중반의 골드러시, 금 채굴, 금본위체제 등의 동학(動學)은 중국인 이민과 세계경제에서 중국의 불평등한 지위에 영향을 끼쳤다. 중국인 이민자들은 주변화, 폭력, 차별, 배제로 고통받았으나 이들은 또한 그것들에 적응하고 그것들을 인내했다. 중국인 이민자들은 세계 속에서, 자신들의 귀화국에서, 그리고 중국의 일부로서 자신들의 지위를 주장하려 투쟁했다. 《중국인 문제》는 서양의 중국인 디아스포라가 금과 당시 막 탄생하던 새로운 세계, 즉 인종과 화폐의 힘에 의해 새롭게 상상되고 조직되고 통치된 세계가 짠 환상적이면서도 잔인한 그물망을 어떻게 통과했는지를 다룬다.
이와 같은 점에서 《중국인 문제》는 19세기에 인종과 돈(자본)에 관한 생각과 관행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사고하는 데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인종과 돈은 오랫동안 공생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그 관계는 고정적인 것도 지속적인 것도 아니었다. 도리어 그것은 역사와 정치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러한 인종과 돈 사이 관계의 본질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수많은 연구와 논쟁의 주제였다. 노예제와 자본주의 사이의 관계는 무엇이었나? 식민주의, 제국, 전 지구적 금융과 교역 사이의 관계는? 자본주의는 내재적으로 인종주의적인가? 등등. 《중국인 문제》는 19세기 후반의 ‘중국인 문제’에서 보이는 그 구체적 표출을 통해 이러한 인종과 돈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게 해준다.


‘중국인의 침입’에 대한 두려움의 수사로서 ‘황화’와
21세기의 중국의 패권국 부상 사이 상관관계

‘중국인 문제’는 21세기에 부활해서 다른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돌아온 황화라는 유령’ 또는 시노포비아(Sinophobia, 중국공포증)는 미국(과 세계)을 향한 (근거 없이 주장된) ‘중국의 위협’이라는 묘사에 스며들어 있다.
오늘날의 ‘중국(인) 문제’는 19세기 중반 골드러시 시기의 인종주의적 스테레오타입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것은 중국이 부상하면서 중국의 새로운 침입에 대한 두려움과 나아가 중국이 미국을 대신할 패권국가로 부상할 수 있다는 우려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그 두려움과 우려에는 서양과는 다른 가치와 체제의 중국이 부상해 패권국가가 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신념 혹은 이데올로기가 깔려 있다는 점에서 ‘중국(인) 문제’는 지금도 여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인)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몽(中國夢)’이라는 표어를 가진 중국민족주의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중국 및 중국인 문제의 역사적 윤곽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중국인 문제》는 이런 이해로 가는 훌륭한 이정표다.


우리 사회의 ‘이웃집 찰스’로서의, 또는 ‘이웃’으로 등록되지 못한
‘열린사회와 그 적들’로서의 이민자/이주자들

저자의 말대로 “이민자(이주민)는 국가를 정의하고 재정의하는 역사적 과정에 필수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중국인 문제》는 중국인 이주자들의 경험과 수용이 중국인으로서 이들의 개인적 정체성에, 국가로서 중국의 국가정체성에, 선택의 낯선 땅 혹은 열린사회로서 서양에서 중국인들이 전 지구적인 인종주의적 위협으로 인식된 것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탐구한다.
‘중국인 문제’는 20세기 전환기에 중국의 정치담론에서 주요 주제로 부상했고, 이것은 현대 중국과 중국민족주의를 형성하는 한 가지 요인이 되었다. 《중국인 문제》는 초국가적 이주와 노동과 배제의 역사와, 그 과정에서 인종이 어떻게 국제 자본주의의 구조에 편입되고 국가 정치에 연결되는지를 훌륭하게 재구성해낸다.
우리 사회 역시 많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역사가 있다. 조선시대 말기인 1860년대부터 이어진 기근과 빈곤과 가렴주구로 인한 중국 만주 및 러시아 연해주 등지로의 이주,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이민선 갤릭(Gaelic)호를 타고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한 102명의 사탕수수 농장 이민, 1960∼1970년대 파독 광부와 간호사 이민, 그리고 2010년대 ‘헬조선’과 ‘탈조선’ 이민 등등. 한편으로 2020년대에는 저출산 및 인구 감소 등에 따른 노동력 부족(또는 특정 노동 기피)으로 ‘동남아 이모님’ ‘이민청 설립’ 등이 논의되고 있다. 《중국인 문제》는 이제 한국사회도 예외일 수 없는 ‘이웃집 찰스’로서의, 또는 ‘우리’로 등록되지 못한 ‘타인’으로서의 ‘이민자/이주자 문제’에 화두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시의적절한 책이다.


책의 내용
서론: 황인과 황금
‘중국인 문제’가 19세기 중반 골드러시 시기 ‘황금’의 꿈을 찾아 이주한 ‘황인’ 중국인들이 캘리포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등 앵글로-아메리카 세계 혹은 ‘백인들의 나라’의 인종과 돈의 강력한 연금술 속에서 겪은 숙명적 주변부화와 배제의 이야기임을 개괄적으로 밝힌다.

제1부 두 개의 금산(金山)
미국 캘리포니아 골드러시 및 오스트레일리아 골드러시에 참여해 주진산(舊金山, 캘리포니아)과 신진산(新金山, 빅토리아 멜버른) 등 북아메리카와 오스트랄라시아의 앵글로-아메리카 정착민식민지들로 이주한 중국인들을 소개한다.

제1장 두 개의 금산
미국과 빅토리아의 골드러시가 가져온 중국인들과 유럽-미국인들 사이에 첫 대규모 접촉에 대해 살핀다. 19세기 중반 캘리포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정착민식민지들로 ‘자발적’으로 이주한 금 채굴 중국인들은 1830년대에서 1870년대 사이에 카리브해 및 남아메리카로 이주한 플랜테이션 계약노동자만큼 가난하지도, 절망적 상태에 있지도 않았다.

제2장 채굴지에서
금 채굴지들의 차이니스캠프, 중국인 주택, 상점과 사업체, 동향 결사이자 에스닉 공동체 조직인 회관(會館, 후이관) 등을 통해 이주 중국인들의 생활을 들여다본다. 채굴로 성공한 중국인 중 일부는 상업으로 진출해 큰 규모의 태평양 교역상이 되기도 했고, 이들은 중국인들 사이에서만 아니라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현지 사회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했다.

제3장 백인들과 대화하기
중국인들과 백인들의 상호작용 형성에서 ‘번역(통역)’의 문제를 통해 소통의 (불)가능성에 관해 분석한다. 사례는 중국인의 재판, 현지서 출판된 중국어-영어 상용회화집 등이다. 캘리포니아의 중국인들은 백인들과 만날 때 접촉언어로서 주로 차이니스아메리칸피진을 사용했는데, 이는 이주 중국인들의 주변부적 위치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제4장 비글러의 수(手)
캘리포니아주 초대 주지사 존 비글러가 자신의 정치적 성공을 위해 ‘중국인 문제’와 반쿨리주의를 어떻게 구성했는지를 통해 캘리포니아에서 인종주의의 대두를 다룬다. 비글러는 중국인을 자유노동의 대척점에 있는 흑인 노예들과 비교하는 인종주의적 비유를 발견했고, 이를 통해 중국인들을 백인 광부들의 독립성을 위협하는 존재로 주조해냈다.

제5장 보호의 한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의 식민지 정부가 중국인 ‘보호’라는 명목하에 실시한 ‘보호세’ 등의 인종세 및 ‘중국인보호지’라는 인종주의적 분리주의 정책과, 중국인들의 이에 대한 저항을 추적한다. 빅토리아의 정책은 ‘보호’가 아니라 ‘봉쇄’와 ‘규제’였고, 중국인들을 일반 주민들에게서 제거해야만 인종 갈등을 피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 법적 허구에 다름없었다.

제2부 백인들의 나라 만들기
자기가 자기 머리에 성유를 부은 자칭 ‘백인들의 나라들’인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인종주의가 강화되고, 중국인 배제가 절정으로 치달으면서 중국인 배제법들로 이어지는 과정을 서술한다.

제6장 빈터의 고함질
자신들의 계급적 이익을 위해 백인 노동자와 소생산자들이 중국인 이주민들을 타락하고, 비도덕적이며, 부자유한 인종이라고 비난하며 연 빈터 집회(sandlot rally)와, 여러 중국인 배제법 등 캘리포니아의 반쿨리주의를 살펴본다. 샌프란시스코 주재 청 정부 총영사 황쭌셴이 펼친 외교적 노력은 청 해외 대표부가 중국인 문제에 새로운 차원의 개입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제7장 황색 고통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들, 특히 빅토리아에서 중국인들이 겪은 고통을 다룬다. 중국인 배제 운동으로서 백호주의는 그레이트브리튼의 백인 정착민식민지들 사이에서 자신들의 인종적 특권을 소중히 여기는 더 큰 경향의 일부였다. 빅토리아의 중국인 상인 로콩멩, 루이스 아 무이, 척홍청은 중국인 이민을 제한하려는 시도에 적극적으로 저항했다.

제3부 식민지들에서 아시아인의 위협
남아프리카의 골드러시를 다룬다. 1904년 6월 1천여 명의 중국인 남성이 더반에 도착한 것에서 시작해 1910년 중국인 노동력 프로그램의 종료 시기까지 중국인 문제가 남아프리카연방이라는 나라의 구성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석한다.

제8장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곳
영국제국의 남아프리카 트란스발식민지에서 실시한 중국인 채굴 노동력 프로그램에 관한 장이다. 1907년 트란스발에 자치정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이전까지의 영국인과 아프리카너(보어인)의 구분 대신 백인의 ‘국가적’ 이해관계가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이 지역의 ‘중국인 문제’는 이런 흐름 속에서 남아프리카연방이라는 지구상에서 가장 극악한 인종분리주의 국가가 탄생하는 데 크게 작용했다.

제9장 란트 지역의 쿨리
남아프리카의 란트(비트바테르스란트)의 심부 광산들로 간 중국인 금 찾는 사람들의 채굴 기준치 및 일급(日給) 등 작업 조건과, 통제 체제하 수용소(울타리 쳐진 노동자 주택지구) 환경 및 일요일 활동 등 생활상 등을 추적한다. 홍콩을 거쳐 요하네스버그로 이주한 시드니 출신의 광둥인 셰쯔슈는 중국인 노동자들을 학대로부터 보호하는 데 힘썼다.

제10장 황금의 대가(代價)
중국 채굴 노동자들과 백인 광산 소유주들 사이 대척에 대해 서술한다. 중국인 노동자들은 임금 및 작업 조건과 관련해 불만 제기, 태만, 파업, 탈주, 집단행동 등으로 저항했고, 트란스발 외국인노동부와 런던 식민부는 광산 노동이 노예제로 보이지 않게끔 하면서 중국인들의 저항에 대해 진압, 송환, (교수형을 포함한) ‘법적 절차’ 등으로 대응했다.

제11장 식민지들에서 아시아인의 위협
영국(과 남아프리카)의 인종주의 정치가 영국 정착민식민지들을 백인 식민지로 보존하기 위해 중국인 문제를 선거 등에서 어떻게 이용했는지를 추적한다. 인도인, 중국인 등 이주 아시아인들은 영국인(유럽인, 백인) 노동자들과 상인들이 제국과 인종의 권리에 따라 정착민식민지들의 노동과 상업 분야에서 일하고 번영할 권리를 빼앗고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제4부 서양의 중국인 디아스포라
중국의 노동이민 및 상업이민으로 형성된 서양의 중국인 디아스포라가 금과 막 탄생하던 새로운 세계, 즉 인종과 화폐의 힘에 의해 새롭게 상상되고 조직되고 통치된 세계가 짠 환상적이면서도 잔인한 그물망을 어떻게 통과했는지를 다룬다.

제12장 배제와 문호 개방
중국인 배제가 상업과 호혜성(상호성)의 관점에서 중국과 앵글로-아메리카 세계에 끼친 여러 영향을 다룬다. 서양의 반중국인 적대감과 배제법들은 중국의 최대 수출품목인 차(茶)의 수출(량), 해외 중국인들의 본국 송금에 따른 중국의 교역수지, 금시장 및 국제 금본위제, 전 지구적 자본주의 내의 노동분업 및 자본의 흐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제13장 중국인 되기, 중국 되기
‘중국인 문제’가 20세기 전환기에 중국의 정치담론에서 주요 주제로 어떻게 부상했고, 그것이 현대 중국과 중국민족주의 형성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한다. 서양의 인종주의와 배제에 저항한 해외 이주 중국인 노동자들과 상인들은 연대와 자위(self-defense)를 통해 인종과 돈이 그려내는 전 지구적 윤곽에서 중국인 디아스포라를 형성해냈다.

에필로그: 돌아온 황화(黃禍)라는 유령
19세기 중반 골드러시 시기의 ‘중국인 문제’가 21세기에 어떻게 부활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새로운 황화(黃禍, yellow peril)라는 유령에 대한 두려움과 우려에는 서양과는 다른 가치와 체제를 지닌 중국이 부상해 패권국가가 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신념 혹은 이데올로기가 깔려 있다는 점에서 ‘중국인 문제’는 지금도 여전하다고 할 수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메이 나이

Mae Ngai
미국 컬럼비아대학 역사학과 교수이자 민족과인종연구센터(Center for the Study of Ethnicity and Race) 공동소장을 맡고 있다. 민족주의, 시민권, 민족, 인종 문제가 법과 사회, 초국가적 이주 과정, 민족-인종 공동체 형성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관심이 많다.
중국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노동조합 조직가이자 노동 전문 교육가로 활동하다가 학업에 매진했다. 뉴욕주립대학 엠파이어스테이트칼리지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학에서 이주 연구를 통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불가능한 주체들: 불법 외국인과 현대 미국의 형성(Impossible Subjects: Illegal Aliens and the Making of Modern America)》(2004), 《행운의 주인공들: 한 가족, 그리고 중국계 미국인의 특별한 발명품(The Lucky Ones: One Family and the Extraordinary Invention of Chinese America)》(2010) 등이 있다. 《불가능한 주체들》로 미국역사가협회(OAH)가 수여하는 프레더릭잭슨터너상 등 6개 상을 받았고, 《중국인 문제》로 미국의 권위 있는 역사 저술상인 밴크로프트상을 받았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미국사를 공부했으며, 현재 정치경제연구소 ‘대안’의 부소장과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이사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미국사 편지》, 《미국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세계사 콘서트》,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공저), 《기본소득이 있는 복지국가》(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공유지의 약탈》, 《1960년대 자서전》, 《1968년의 목소리》, 《대전환의 세기, 유럽의 길을 묻다》, 《기본소득》, 《기본소득과 좌파》, 《현대 사상의 스펙트럼》(공역) 등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중국인 문제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중국인 문제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중국인 문제
    19세기 골드러시, 이주와 노동과 배제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