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정본완역 두보전집 10: 두보기주시기시역해(3)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3년 11월 25일 출간

국내도서 : 2021년 12월 30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30.25MB)
ISBN 9788952133151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55,000원

쿠폰적용가 49,5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시리즈 전체 6
정본완역 두보전집 10: 두보기주시기시역해(3)
55,000
두보전집. 8: 두보기주시기시역해(1)
53,000
두보전집 7: 두보 2차성도시기시 역해
53,000
두보전집 6: 두보재주낭주시기시역해
42,000
정본완역 두보전집 2: 두보초기시역해 2
80,000
두보전집 1: 두보초기시역해(1)(정본완역)
56,000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한국두시학회 두시독회의 열 번째 역해서. 조선과 중국의 역대 역해서들의 주석을 참고하되, 다시 역해자들의 공동 토론을 통해 가장 합리적인 해석을 도출하였다. 기주 시기 두시를 다룬 네 권 중 세 번째인 이 책은 대력 원년(766) 말부터 대력 2년 가을까지의 시 81제 105수를 다룬다. 766년 늦봄 장강을 따라 배를 타고 내려가던 두보는 오늘날 중경시(重慶市)에 해당하는 기주(夔州) 지역에 체류했는데, 창작에 몰두한 두보는 2년이 채 되지 않는 동안 평생의 작품 중 약 3분의 1을 외진 기주 땅에서 남겼다. 이 책에서는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 모두에서 색다른 실험을 시도했던 기주 시기의 두시 세계를 소개한다.
머리말 v
일러두기 xvii

1. 荆南兵馬使太常卿趙公大食刀歌 1
형남병마사 태상경 조공의 대식도 노래
2. 王兵馬使二角鷹 15
왕 병마사의 각응 두 마리
3. 見王監兵馬使說近山有白黑二鷹, 羅者久取, 竟未能得. 王以爲毛骨有異他鷹, 恐臘後春生, 鶱飛避暖, 勁翮思秋之甚, 眇不可見, 請余賦詩二首 24
전중소감 왕 병마사에게 들으니 가까운 산에 희고 검은 매 두 마리가 있어 사냥하는 자가 오랫동안 잡으려 했어도 끝내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왕 병마사는 이 매들이 깃털과 골상이 다른 매와는 다르다 여겼는데, 섣달이 지나 봄이 오면 매들이 높이 날아 따뜻한 날씨를 피해 가을을 심히 그리워하여 굳센 날개가 아득히 멀어져 볼 수 없게 될 것을 염려하여 나에게 시를 지을 것을 청하였기에 지은 시 2수
4. 玉腕騮 34
옥완류
5. 醉爲馬墜諸公攜酒相看 40
취하여 말에서 떨어져 여러 공들이 술을 들고 문안 오다
6. 覆舟二首 49
뒤집힌 배 2수
7. 送李功曹之荊州充鄭侍御判官重贈 59
시어사 정판관 자리를 충임하러 형주로 가는 이공조를 전송하며 거듭 주다
8. 送王十六判官 62
왕 판관을 보내다
9. 别崔潩因寄薜據孟雲卿 66
최이와 작별하며 그 김에 설거와 맹운경에게 부치다
10. 寄杜位 69
두위에게 부치다
11. 立春 72
입춘
12. 江梅 77
강가의 매화
13. 庭草 81
마당의 풀
14. 愁 86
근심
15. 王十五前閣會 92
왕십오 앞 누각에서의 모임
16. 崔評事弟許相迎不到應慮老夫見泥雨怯出必愆佳期走筆戱簡
95
동생 최평사가 말을 보내 초청하겠다고 약속했는데 말이 오지 않았기에,
응당 늙은이가 비가 와서 질척거리는 땅을 보고 외출하기를 겁내어 필시
만날 약속을 어기리라 생각한 듯하여, 붓을 놀려 장난삼아 편지를 쓴다
17. 遣悶戲呈路十九曹長 99
답답함을 풀어 노 조장에게 장난삼아 주다
18. 晝夢 104
낮에 꾸는 꿈
19. 暮春 109
늦봄
20. 卽事 113
즉사시
21. 懷灞上遊 117
파상에서 노닐던 일을 그리다
22. 入宅三首 121
입택 3수
23. 赤甲 136
적갑
24. 卜居 143
거처를 정하다
25. 暮春題瀼西新賃草屋五首 148
저무는 봄에 양서에서 새로 빌린 초옥에 쓰다 5수
26. 寄從孫崇簡 162
종손자 두숭간에게 부치다
27. 江雨有懐鄭典設 167
강의 비에 정전설이 생각나다
28. 熟食日示宗文宗武 171
한식일에 종문 종무에게 보이다
29. 又示兩兒 175
두 아들에게 또 보이다
30. 得舍弟觀書自中都已逹江陵今玆暮春月末行李合到夔州悲喜相兼團圓可待賦詩卽事情見乎詞 180
아우 관의 편지를 받으니 중도로부터 이미 강릉에 닿았으며, 올해 모춘
월말에는 여정이 기주에 이르리라 하므로 희비가 교차하고 만남을 기대할
수 있어 시를 지어 일을 쓰니 정이 시어에 드러나다
31. 喜觀卽到復題短篇二首 184
두관이 곧 당도하는 것이 기뻐서 다시 지은 짧은 시 2수
32. 晩登瀼上堂 197
저녁에 양서 가 초당에 오르다
33. 寄薛三郞中璩 205
상서낭중 설거에게 부치다
34. 送惠二歸故居 215
옛집으로 돌아가는 혜씨를 보내다
35. 承聞河北諸道節度入朝歡喜口號絶句十二首 220
하북의 여러 도의 절도사가 입조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서 입에서 나오는 대로 지은 절구 12수
36. 月三首 244
달 3수
37. 晨雨 253
새벽비
38. 過客相尋 257
지나가는 손이 연이어 오다
39. 豎子至 262
동복이 오다
40. 園 267
과수원
41. 歸 270
돌아오다
42. 園官送菜幷序 274
농원 관리가 채소를 보내다-서를 병기하다
43. 園人送瓜 283
원정園丁이 외를 보내다
44. 課伐木幷序 289
벌목 일을 시키다-서를 병기하다
45. 柴門 304
사립문
46. 槐葉冷淘 317
홰나무 잎 냉국수
47. 上後園山脚 329
뒷동산 산기슭을 오르다
48. 季夏送鄕弟陪黃門從叔朝謁 340
늦여름에 조정으로 가는 황문시랑 종숙을 모시는 고향의 아우를 전송하다
49. 灩澦 348
염예퇴
50. 七月一日題終明府水樓二首 353
7월 1일 종명부의 물가 누대에 쓰다 2수
51. 行官張望補稻畦水歸 362
행관 장망이 논에 물을 채워주고 돌아오다
52. 秋行官張望督促東渚耗稻向畢淸晨遣女奴阿稽豎子阿段往問 371
가을에 행관 장망이 동쪽 물가의 벼 김매기를 독촉하는 일이 끝나가려
함에 이른 새벽 여종 아계와 동복 아단을 보내어 가서 묻게 하다
53. 阻雨不得歸瀼西甘林 383
비에 막혀 양서 감귤 밭으로 돌아가지 못하다
54. 又上後園山脚 394
다시 후원 산기슭에 오르다
55. 奉送王信州崟北歸 410
신주자사 왕음께서 북쪽으로 돌아가심을 받들어 전송하다
56. 驅豎子摘蒼耳 424
동복을 보내 도꼬마리를 따다
57. 甘林 433
감림
58. 暇日小園散病將種秋菜督勒耕牛兼書觸目 441
한가한 날 작은 밭에서 병을 달래다가 장차 가을 채소를 심으려고
소로 밭가는 것을 감독하고는 아울러 눈에 보이는 경물을 쓰다
59. 雨 449

60. 溪上 458
시냇가
61. 樹間 462
나무 사이
62. 白露 466
백로
63. 諸葛廟 471
제갈량의 사당
64. 見螢火 477
반딧불이를 보다
65. 夜雨 483
밤비
66. 更題 489
다시 쓰다
67. 舍弟觀歸藍田迎新婦送示二首 492
신부를 맞이하러 남전으로 돌아가는 아우 두관을 보내면서 보여준 시 2수
68. 別李秘書始興寺所居 501
이비서의 시흥사 처소에서 작별하다
69. 送李八秘書赴杜相公幕 506
두상공의 막부로 가는 이비서를 전송하다
70. 巫峽敝廬奉贈侍御四舅別之灃朗 514
무협 오두막에서 풍주 낭주로 떠나가시는 시어 넷째 외숙께 받들어 드리다
71. 孟氏 521
맹씨
72. 吾宗 526
우리 일가
73. 奉酬薛十二丈判官見贈 531
설판관 어른이 주신 시에 받들어 수답하다
74. 寄狄明府博濟 553
적박제 명부에게 부치다
75. 同元使君舂陵行 563
원사군의 〈용릉행〉에 화작하다
75-1. 舂陵行 579
용릉행
75-2. 賊退示官吏 587
도적이 물러나니 시를 지어 관리에게 보여주다
76. 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審李賓客之芳一百韻 592
가을날 기주에서 감회를 읊어 비서소감 정심과 태자빈객 이지방에게 부치는 100운
77. 寄劉峽州伯華使君四十韻 655
협주사군 유백화에게 부치는 40운
78. 秋淸 713
가을에 상쾌하다
79. 秋峽 717
가을 협곡
80. 搖落 722
나뭇잎이 흔들려 떨어지다
81. 峽隘 726
협곡이 좁다

시구 찾아보기 731
Abstract 751

본문 네 번째 시(34-35쪽)

4. 玉腕騮
옥완류

聞說荊南馬1 尙書玉腕騮2 驂驔飄赤汗3 跼蹐顧長楸4
胡虜三年入5 乾坤一戰收6 擧鞭如有問7 欲伴習池遊8

들으니 형남의 말은
상서의 옥완류라네.
치달리매 붉은 땀을 흩뿌리고
웅크려 긴 가래나무 돌아본다.
오랑캐 세 해 동안 쳐들어오니
건곤을 한 번 싸워 거두었다.
채찍을 들고 물으신다면
습지의 놀이에 모시겠습니다.

대력 원년 기주에서 형남절도사 위백옥의 말을 읊어 지었다. 위백옥은 숙종 시절의 명장으로서 안사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광덕 2년에 형남절도등사가 되었다. 옥완류는 위백옥의 명마이며, 위백옥은 이 말을 타고 전장에서 큰 공을 세웠다. 시인은 말의 능력과 위백옥의 공로를 칭송하고, 말의 목소리를 빌려 위백옥에게 물러나기를 권하고 있다. 말이 위백옥에게 발화하는 대사를 설정한 점이 이채롭다. 원주에 “강릉절도사 위공의 말이다.(江陵節度衛公馬也.)”라고 하였다.

≪보주두시≫ ≪구당서≫에 따르면 위백옥은 광덕 2년에 형남절도등사가 되었고, 곧 검교공부상서를 더하였다. 이 시에서 “들으니 형남의 말은 상서의 옥완류라네”라고 하였고 또 “오랑캐 세 해 동안 쳐들어오니 건곤을 한 번 싸워 거두었다”라고 하였으니 대력 원년 기주에서 지었음이 틀림없다.(按舊史, 衛伯玉, 廣德二年爲荊南節度等使, 尋加檢校工部尙書. 此詩云, 聞說荊南馬, 尙書玉腕騮, 又云, 胡虜三年入, 乾坤一戰收, 當是大曆元年在夔州作.)
《두시상주》에 인용된 소보 주 검은 갈기를 가진 붉은 말을 유라고 한다. 완은 팔뚝이다. 앞발 발뚝의 살이 흰 것을 옥완이라고 한다. 유는 양마 이름이다.(赤馬黒鬛, 曰騮, 腕, 臂腕也. 前足腕肉白, 曰玉腕. 騮, 良馬名也.)

주 석
1 伏枕(복침)- 聞說(문설)- 남의 말을 듣다. 荊南馬(형남마)- 형남의 말. 형남은 형주荊州 일대를 가리킨다.
2 尙書(상서)- 위백옥을 가리킨다. 위백옥은 광덕 2년에 형남절도등사가 되었고, 곧 검교공부상서가 되었다. 玉腕騮(옥완류)- 준마의 이름.
≪독두심해≫에 인용된 왕득신王得臣(자는 언보彦輔) 설 (백제성은) 주대에는 어복국, 진대에는 파군이었는데, 한대 공손술이 백제라고 바꾸어 불렀고, 당대에 기주로 바꾸었다.(周魚復國, 秦巴郡, 漢公孫述更曰白帝, 唐改夔州.)
3 驂驔(참담)- 말이 달리는 모양. ‘頓驂’으로 된 판본도 있다. 赤汗(적한)- 붉은 땀. 준마는 피처럼 붉은 땀을 흘린다고 한다.

≪독두심해≫ 驂驔은 ‘䟃’과 같다.(驂驔, 與䟃同.)

작가정보

저자(글) 강민호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부교수
저서: 『두보 배율 연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풀어쓴 대학한문(초급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유장경 시선』(지식을만드는지식, 역서),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저자(글) 김성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저서: 「두보 초기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지덕연간시 역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위관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사불휴-두보의 삶과 문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중국역대시가강독』(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저자(글) 김준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저서: 『당대 칠언율시 연구』(역락),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당시』(학민사), 『고금횡단 한자여행』(학민사), 『사불휴-두보의 삶과 문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중국, 당시의 나라』(궁리), 『당나라 뒷골목을 읊다』(글항아리, 공역), 『이의산시집(상ㆍ중ㆍ하)』(학고방, 공역), 『세상을 움직이는 네 글자』(궁리), 『문화를 잇다 중국을 짓다』(뿌리와이파리, 공저), 『시인, 사랑을 노래하다』(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저자(글) 박홍준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중국 화동사범대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성신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저서: 「이어통속희곡 연구」(중국 화동사범대학 박사학위논문), 『두보 지덕연간시 역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위관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저자(글) 이석형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중국어문학전공 교수
저서: 「청말사학이론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지덕연간시 역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위관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저자(글) 이영주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명예교수
저서: 『한자자의론』(서울대학교출판부),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지덕연간시 역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위관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한문독해법』(명문당, 공저), 『한국시화에 보이는 두시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사불휴-두보의 삶과 문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이태백시집(7권)』(학고방, 공저), 『완역 한유시전집(상, 하)』(역락, 공저), 『두시의 장법과 격률』(명문당)

저자(글) 이창숙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저서: 『중국공연예술』(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중국고대음악사-상고시대부터 송대까지』(솔출판사), 『영원한 대자연인 이백』(이끌리오, 공역),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 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근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사불휴-두보의 삶과 문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중국고대음악사고(하)』(소명출판, 역서), 『북상기』(민음사, 공역), 『모란정』(소명출판, 공역), 『열하기유-조선 학자의 눈에 비친 열하와 북경』(아카넷, 역서)

저자(글) 임도현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쫓겨난 신선 이백의 눈물』(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이태백시집(7권)』(학고방, 공저), 『완역 한유시전집(상, 하)』(역락, 공저), 『시의 신선 이백 글을 짓다-이태백 문집』(박문사, 공저), 『협주명현십초시』(학고방, 공저), 『사령운 사혜련 시』(학고방, 공저), 『진자앙 시』(학고방, 공저), 『악부시집-청상곡사 1, 2』(학고방, 공저), 『한유시선』(학고방), 『하늘이 내린 내 재주 반드시 쓰일 것이니-이백의 시와 해설』(학고방), 『건재한시집-오리는 잘못이 없다』(학고방)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두보전집 시리즈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두보전집 시리즈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정본완역 두보전집 10: 두보기주시기시역해(3)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