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실크로드음악과 한국음악

전인평 지음
아시아음악학회

2020년 11월 20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375.55MB)
ISBN 9788998671297
쪽수 601쪽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0,000원

쿠폰적용가 9,0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비단길.
수많은 사람들이 이 길을 통하여 동서양을 오갔다. 길이 워낙 험하고 교통이 불편하였으므로 한 번의 여행은 한 달 이상이 되는 긴 여행이었을 것이다. 여행객들은 자연스레 저녁이면,서로 모여 다녀온 지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을 것이다.
누군가 노래를 시작한다. 그러자 한 사람은 북으로 이 노래를 반주한다. 돌아 가며 자기 고향 노래도 하고, 여행 중에 배운 노래도 부른다. 이렇게 해서 음악은 입에서 입으로 여러 나라로 퍼져 나간다.
신라의 최치원(省致違,857-?)은 속독(束毒)이라는 시를 썼다. 이것은 중앙아시아 음악인데, 이미 9세기에 신라에서 유행한 유행가였다. 이것을 보면, 이미 우리 나라 음악은 삼국 시대부터 비단길 음악과 관련을 맺고 있다.

- 1 -
글쓴이가 비단길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인도에서 밤샘음악회를 보고나서의 일이다.
밤샘 음악회!
도대체 밤샘 음악회(over night)란 어떤 것일까?
밤새워 술을 마신다던지, 밤새워 파티를 한다면 몰라도, 밤을 새워가며 음악을 듣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1985년, 글쓴이는 인도음악을 조사한답시고 인도 대륙을 헤메고 있었다. 이 날은 마드라스에서 36시간 기차를 타고 칼카타에 도착한 날이었다. 호텔에서 딩굴며 신문을 뒤적이던 중, 밤샘음악회(over night)라는 글이 눈에 띄었다.
이 음악회는 저녁 6시에 시작하여 다음 날 아침 6시에 끝나는, 그야말로 ‘밤샘 음악회’ 였다. 글쓴이는 마드라스에서 이틀 간 기차를 타고 막 돌아왔기 때문에 피곤하기 짝이 없었다. 그러나 도대체 밤샘음악회란 어떤 분위기일까 하는 호기심에 음악회장에 가지 않을 수가 없었다.
나는 워낙 피곤하기도 하지만 밤을 세우려면 힘들테니까,6시에 시작한다는 음악회를 9시 쯤 갔다. 현장에 도착해보니,천막을 쳐서 만든 임시 음악당이었다. 서울의 음악회라면 9시는 음악회가 거의 끝날 시간이다. 그러나 밤샘음악회라 그런지 음악회장 입구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여 술렁이고 있었다. 복잡한 사람 속을 뚫고 매표소를 찾았다. 천만뜻밖에도 ‘매진’이라고 씌어있고, 매표구는 닫혀있었다.
매진이라는 것도 놀라운 일이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비싼 입장료였다. 입장료는 세 등급으로 나누어 100루피, 150루피, 200루피였다. 당시 인도에서 고둥학교 졸업생이 받는 첫 월급은 400루피 정도, 그렇다면 하루 저녁 음악회를 위해 최소한 일주일치 품삯을 치러야 한다. 외국 유명 악단의 연주회도 아니고, 인도에서 인도 음악회가 이토록 비싸다니 놀라운 일이었다. 거기다 이처럼 비싼 음악회가 ‘매진’ 이라니----.

나는 늦게 온 죄로 비싼 암표를 샀다. 안으로 들어가 보니 1천5백 명 정도의 청중이 앉아있다. 나는 구석에 자리잡았다가 시간이 지나 사람이 빠져 나간 후에 제자리를 찾으리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빠져나가기는 커녕, 점 점 더 늘어나는 것이었다. 그도 그럴것이 이 날 밤 가장 인기있는 성악가인 빈센죠시는 한 밤중의 라가인 바게쉬리(bagheshri) 라가를 자정에 연주를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제 1 편 비단길 음악 15
제 1 장 실크로드 음악의 전래와 변천 17
- 장구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 17
2. 실크로드의 개요 / 18
3. 장구가 나타나는 외국 음악 자료 / 19
4. 장구가 나타나는 음악 자료 / 28
5. 장구 종류의 분류 / 32
6. 장구 종류의 분포 / 36
7. 맺음말 / 38
제 2 장 인도음악의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 57
1. 머리말 / 57
2. 수루띠 (suruti) / 58
3. 라가(raga) / 64
4. 바디(vadi)와 삼바디(samvadi) / 70
5. 아로하(aroha)와 아바로하(avaroha) / 74
6. 9 라사(rasa) / 76
7. 맺음말 / 77
제 3 장 『나티야 사스트라』의 인도 고대음악 81
1. 머리말 / 57
2. 극장 오케스트라 / 82
3. 성악곡의 형식 / 84
4. 기악곡의 형식 / 88
5. 악기론 / 90
6. 합주 / 102
7. 음악가론 / 110
8. 맺음말 / 112
제 4 장 자바의 가믈란 115
1. 머리말 / 115
2. 역사적 배경 / 118
3. 가물란 음악의 구조 / 124
4. 자바 가물란의 사회적 기능 / 130
5. 맺음말 / 135
제 5 장 라후 셀레 마을의 제천음악 137
1. 머리말 / 137
2. 조사 일정과 조사 지역 / 138
3. 라후족의 이모 저모 / 139
4. 라후족의 제천 의식 음악 / 146
5. 라후족의 제천 음악과 강원도 민요 / 147
6. 치앙마이의 산족 악기 / 152
7. 맺음말 / 157

제 2 편 비단길 음악과 한국음악 163
제 1 장 한국음악과 인도음악의 비교 165
1. 머리말 / 165
2. 선율 구조의 비 교 / 166
3. 장단 구조의 비교 / 168
4. 악기의 비교 / 172
5. 맺음말 / 178
제 2 장 생가요량의 장단 180
1. 머리말 / 180
2. 생가요량의 장단 / 181
3. 고취악 / 186
4. 여민락 / 188
5. 고취악의 전래 / 191
6. 맺음말 / 200
제 3 장 동남아시아 음악의 세틀 형식 204
1. 머리말 / 204
2. 세틀형식이란 무엇인가? / 205
3. 몸글 / 206
4. 맺음말 / 224

제 3 편 한국 음악의 장단과 선법 229
제 1 장 정악 장단의 형성 231
1. 머리말 / 251
2. 정 악 장단의 분석 / 232
3. 정 악 장단의 뿌리 / 255
4. 정악 장단의 구성 방법 / 260
5. 맺음말 / 263
제 2 장 산조 장단의 형성 266
1. 머리말 / 266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67
3. 장단 구성 / 269
4. 상영산 장단의 변천 / 284
5. 맺음말 / 288
제 3 장 굿거리 장단의 변주 방법 290
1. 머리말 / 290
2. 몸글 / 291
3. 맺음말 / 299
제 4 장 봉래의의 장구형 306
1. 머리말 / 306
2. 몸글 / 307
3. 맺음말 / 333
제 5 장 풍입송의 형식과 장구형 337
1. 머리말 / 337
2. 몸글 / 339
3. 맺음말 / 351
제 6 장 거문고 음악의 선법 357
1. 머리말 / 357
2. 선법의 변질 / 359
3. 기존 용어의 점검 / 371
4. 다섯 가지 선법 / 379
5. 맺음말 / 390
제 7 장 해금 음악의 선법 393
1. 머리말 / 393
2. 거문고 음악의 선법적 양상 / 394
3. 해금 음악의 선법적 양상 / 396
4. 여러 가지 선법 분류법 / 407
5. 조표 사용의 문제 / 416
6. 맺음말 / 419
제 8 장 여러 가지 계면조 421
1. 머리말 / 421
2. 몸글 / 422
3. 맺음말 / 441
제 9 장 한국음악의 상조 444
1. 머리말 / 444
2. 옛 문헌의 상선법 / 446
3. 현행 한국 음악의 상선법 / 454
4. 맺음말 / 462

제 4 편 한국 음악의 과거와 미래 465
제 1 장 정간보에 관한 연구 467
1. 머리말 / 407
2. 시가(時價)가 나타나 있는 악보 / 468
3. 정간보의 분류 / 472
4. 정간보의 시가 변천 / 478
5. 현행 이삭대엽의 장단 / 495
6. 맺음말 / 498
제 2 장 현도(紋邊)에 관한 고찰 551
1. 머리말 / 511
2. 몸글 / 512
3. 맺음말 / 524

이 책은 모두 네 편으로 나누었다.
제1편은 비단길 음악에 관한것으로 5편이 들어 있다. 제목을 적어보면, “실크로드 음악의 전래와 변천", "인도음악의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나티야 사스트라』의 인도 고대 음악”, "자바의 가물란”, “라후 셀레 마을의 제천 음악” 등이다.

제2편은 비단길 음악과 한국음악이다. 여기에서는 비단길 음악과 한국음악의 관계를 살핀 글인데, 모두 3편의 글이 들어있다. 제목을 적어보면, “한국음악과 인도음악의 비교”, "생가요량의 장단”, “동남아시아 음악의 세틀 형식” 등이다.
제3편은 한국 음악의 구조를 살핀 것인데, 주로 장단과 선법을 살핀 것이다. 모두 9편인데 제목을 적어보면, "정악장단의 형성에 관한 연구”, “산조 장단의 형성에 관한 연구”, “굿거리 장단의 변주 방법”, “봉래의(風來儀)의 장구형”, “풍입송의 형식과 장구형”, "거문고 음악의 선법”, “해금음악의 선법”, “여러 가지 계면조”, “한국음악의 상조” 등이다.
제4편은 한국음악의 역사적인 변천과 미래를 위한 글을 모은 것으로, 모두 5편이다.

- 4 -
한국음악계는 이제 21세기를 눈 앞에 두고, 후세에 물려줄 새로운 한국음악의 창달을 위하여 골몰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의 하나가 이웃 나라의 전통음악을 살펴 참고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현재의 세계 음악계는 유럽음악계가 중심이 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제 이러한 유럽 음악에 대응할 수 있는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음악을 만들어 내야 한다. 그리고 21세기는 국제화 세계화 시대라고 한다. 이제 한국음악은 세계 무대에서도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국제성을 갖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 해결에 비단길 음악의 연구는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이 책이 이와같은 문제의 해결에 작은 도움이라도 된다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5 -
이 책이 나오기까지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 도움을 받은 사람이 너무 많아서 하나 하나 적을 수가 없다. 먼저 가르침을 베풀어 주신 고 장사훈교수님, 이혜구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그리고 특별히 고병익 박사님께 감사를 드린다. 글쓴이는 평소에 고 박사님은 가깝게 뵙지도 못하던 형편이었다. 그런데, 뜻밖에 글쓴이를 1991년 유네스코 주관의 중앙아시아 탐사에 참여하도록 배려해 주셨다. 60일간 중앙아시아 지역올 탐사하며 참으로 많은 깨달음이 있었다. 또한 외국의 여러 학자들에게 많은 신세를 졌다. 중국 운남예술학원의 양팡(揚放) 교수, 티벳예술연구소의 거츄(Gerchu) 교수,인도네시아 수라카르타 음악학교의 Sri Hastanto 교수, 태국 방콕 스리나카린비롯 대학의 Somsak Ketukaenchan 교수, 치앙마이 음악학교(Natasin)의 Ragiot Panyayos 교수, 베트남 음악협회의 To Ngoc Thanh 박사, 미얀마 얀곤 문화대학의 U Maung Khaing 학장, 네팔 왕립 대학의 Gopal Nath Yogi 교수, 터키 이스탄불 음악학교의 Mustafa Hasan Sekandyu 교수,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중앙아시아연구소의 Ahmad Hassa Dani 원장, LOK VIRSA의 Uxi Mufti 박사, 일본 동경예술대학 음악학부의 上野貴子 선생, 미국 U.C.L.A.의 N.A. Jairazbhoy 교수, 러시아 민족음악 박물관의 Resheetnikova Aiza 원장, 카자흐스탄 알마아타의 조선족 음악가 정추 교수, 그리고 수많은 아시아 각 나라의 민속 음악인들.
이 분들은 난데없이 찾아간 글쓴이를 반갑게 맞아 여러 가지를 가르쳐 주고, 그리고 귀한 자료를 아낌없이 나누어 주곤 하였다.

없음

작가정보

저자(글) 전인평

전인평 소개 ?서울대 음대, 대학원 및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중앙대 국악대학 학장 역임,(현) 중앙대 명예교수.국립극장 자문위원, 국립국악원 자문위원 역임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심사위원, 영문학술지 Asian Musicology 발행인창작국악연구단체 신악회 회장 역임대한민국작곡상, KBS국악대상, 한국음악상 본상.주요작품: 거문고협주곡 "왕산악", 관현악곡 "쿠쉬나메"주요저서: 새로운 한국음악사, 아시아음악 오디세이, 동북아시아음악사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실크로드음악과 한국음악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실크로드음악과 한국음악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실크로드음악과 한국음악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