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중일 음악사를 한 코에 들어올리는

동북아시아 음악사

아시아음악총서 10
전인평 지음
아시아음악학회

2019년 11월 25일 출간

국내도서 : 2016년 11월 1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238.96MB)
ISBN 9788998671211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0,000원

쿠폰적용가 9,0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한중일 음악사를 한 코에 들어올리는『동북아시아 음악사』수정판.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하여, 원고음악부터 동북아시아 음악의 미래까지 살펴본다. 각종 그림과 표가 함께 수록되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서장
Ⅰ. 머리말 19
Ⅱ. 동북아시아 음악사 연구의 필요성 24
Ⅲ. 동북아시아 음악사 시대 구분 27
1. 동북아시아 삼국 음악사의 특징/ 27
2. 삼국 음악사의 시대 구분/ 30
1) 중국음악사의 시대 구분/ 31 2) 한국음악사 시대 구분/ 34
3) 일본음악사 시대 구분/ 37

제1장 원고음악/ 41
I. 원고대 음악의 시대적 배경 41
Ⅱ. 원고대 중국음악의 전개 43
1. 원고대 중국 음악의 문헌/ 43
1) 유가의 음악미학을 담은 《악기》(樂記)/ 43
2. 원고대 중국음악/ 45
1) 완적의 음악사상/ 49
3. 원고대 중국의 악기/ 55
4. 원고대 중국의 음악학/ 58
1) 십이율/ 59 2)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 60

Ⅲ. 원고대 한국음악의 전개 60
1. 원고대 한국음악의 문헌/ 60
2. 원고대 한국의 악기/ 63
1) 변진의 현악기/ 63 2) 굴포리 뼈피리/ 64
3) 신창동 출토 현악기/ 65

Ⅳ. 원고대 일본음악의 전개 72
1. 원고대 일본음악의 자료/ 72
2. 원고대 일본의 악기/ 73

제2장 고대음악: 외래음악 수용시대/ 75
I. 고대음악의 시대적 배경 75
Ⅱ. 고대중국음악의 전개: 중앙아시아 음악 수용시대 77
1. 고대 중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78
2. 고대 중국의 음악/ 79
1) 당 현종의 음악 정책/ 82 2) 가무곡/ 86
3) 백희(百戱)/ 86 4) 궁중의 아악/ 86
3. 고대 중국의 음악문헌/ 89
4. 고대 중국의 악기/ 91
5. 고대 중국의 음악학/ 95
1) 하승천의 신율/ 95 2) 고대 중국의 악보/ 96
Ⅲ. 고대 한국음악의 전개: 중앙아시아 음악 수용시대 99
1. 고대 한국의 문화 시대적 배경/ 103
2. 고대 한국음악의 문헌/ 106
1) 《삼국사기》의 신라악/ 106 2)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107
3)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신라악/ 107 4) 신라의 불교음악/ 109
5) 신라의 악조/ 109 6) 신라의 악조/ 112
3. 고대 한국의 음악/ 113
1) 향악잡영오수와 중앙아시아 음악/ 114 2) 진감선사 범패/ 119
3) 엔닌이 기록한 적산원의 범패/ 121
4. 고대 한국의 악기/ 125
1) 《삼국사기》 애장왕 8년에 연주한 악기/ 125
2) 《일본서기》(日本書記)의 신라악기/ 126 3) 《삼국사기》의 악기/ 126
Ⅳ. 고대 일본음악의 전개: 대륙음악 수용시대 135
1. 고대 일본의 문화 사회적 배경/ 136
2. 고대 일본음악의 문헌/ 139
3. 고대 일본의 음악/ 140
Ⅴ. 고대 동북아시아의 음악 교류 상황 142
1. 불교의 전파와 인도음악의 전파/ 142
2. 중국의 인도음악 수용/ 144
3. 고구려음악의 중국과 일본 전파/ 150
4. 당나라와 신라의 음악 교류/ 153
5. 중앙아시아와 신라/ 155
6. 중앙아시아음악의 일본 전파/ 156

제3장 중세음악: 궁중음악 전성시대/ 159
I. 중세음악의 시대적 배경 159
Ⅱ. 중세 중국음악의 전개: 연악 전성시대 160
1. 중세 중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161
2. 중세 중국음악의 문헌/ 161
3. 중세 중국의 음악/ 162
1) 당의 궁중음악 기관: 교방/ 162 2) 교방의 음악/ 168
4. 중세 중국음악의 형식/ 170
1) 당대 대곡/ 170 2) 송대의 궁중음악 형식/ 175
3) 대곡의 형식/ 177 4) 《벽계만지》의 대곡 공연 양상/ 180
Ⅲ. 중세 한국음악의 전개: 궁중음악 전성시대 188
1. 중세 한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192
2. 중세 한국음악의 문헌/ 194
1) 《세종실록》 악보/ 194 2) 《세조실록》 악보/ 196
3) 《금합자보》/ 197
3. 중세 한국의 음악/ 201
1) 쌍화점/ 201 2) 보허자와 낙양춘/ 204
4. 중세 한국의 악기/ 210
1) 편경/ 212 2) 편종/ 214
Ⅳ. 중세 일본음악의 전개: 궁중음악 전성시대 216
1. 중세 일본의 문화 사회적 배경/ 218
2. 중세 일본의 음악/ 219
1) 가가쿠(雅樂)/ 222 2) 쇼묘/ 230
3) 민중예능/ 232
Ⅴ. 중세 동북아시아의 음악 교류 234
1. 고구려 음악의 일본 전파/ 236
2. 고려와 중앙아시아 음악의 교류/ 240
3. 고려의 대성아악과 송나라 사악의 수입/ 242
4. 아악기/ 246

제4장 문인음악과 무사후원음악 전성시대/ 249
I. 근세음악의 시대적 배경 250
Ⅱ. 근세 중국음악의 전개: 문인음악 전성시대 251
1. 근세 중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252
1) 송나라의 경제와 사회 형편/ 254 2) 송대의 산수화/ 257
2. 근세 중국음악의 문헌/ 259
3. 근세 중국의 음악/ 262
1) 송대의 사악/ 262 2) 고전희곡의 전개/ 264
4. 근세 중국의 악기/ 273
Ⅲ. 근세 한국음악의 전개: 문인음악 전성시대 275
1. 근세 한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275
2. 근세 한국 음악의 문헌/ 278
3. 근세 한국의 음악/ 279
1) 가곡의 전개/ 282 2) 영산회상의 전개/ 285
4. 근세 한국의 음악가/ 286
1) 김성기/ 288 2) 김수장/ 289
3) 유우춘/ 291
Ⅳ. 근세 일본음악의 전개: 무사 후원 음악시대 294
1. 근세 일본의 문화 사회적 배경/ 294
1) 한국 선비와 일본 무사의 비교/ 297 2) 무사 후원 음악/ 302
2. 근세 일본의 음악/ 304
1) 노가쿠/ 304 2) 교겐(狂言)/ 308
Ⅴ. 근세 동북아시아의 음악 교류 상황 309
1. 조선통신사/ 309
2. 명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정간보/ 311

제5장 근대음악시대: 서민음악 전성시대/ 315
I. 근대음악의 시대적 배경 316
Ⅱ. 근대 중국음악의 전개: 서민음악 전성시대 318
1. 근대 중국의 문화 시대적 배경/ 318
2. 근대 중국의 음악/ 320
1) 중국 설창 음악의 기원과 전개/ 321 2) 명청시대 희곡의 번성/ 322
3) 탄사의 부흥/ 328 4) 고사/ 334
5) 어구란: 명대의 궁중 극장/ 335 6) 경극의 탄생/ 336
Ⅲ. 근대 한국음악의 전개: 서민음악 전성시대 338
1. 근대 한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339
2. 근대 한국음악의 문헌/ 343
3. 근대 한국의 음악/ 346
1) 판소리/ 346 2) 탈춤/ 350
4. 근대 한국의 음악인/ 352
1) 18세기 광대 달문/ 352
Ⅳ. 근대 일본음악의 전개: 서민음악 전성시대 355
1. 근대 일본의 문화 시대적 배경/ 356
1) 서민 교육기관: 데라코야(寺小屋)/ 362 2) 일본과 송?명의 무역/ 363
3) 남만 무역/ 364 4) 기독교의 전래/ 368 5) 조선 도공과 통신사/ 369
6) 유럽 낭만파에 영향을 준 화가 가쓰시카 호쿠사이/ 371
7) 《군서유종》(群書類從)/ 372
2. 근대 일본의 음악/ 372
1) 조루리/ 374 2) 닌교조루리(분라쿠)/ 375
3) 가부키의 기원과 전개/ 382

제6장 현대음악시대: 유럽음악 수용시대/ 391
I. 현대 음악의 시대적 배경 391
Ⅱ. 현대 중국음악의 전개: 유럽음악 수용시대 393
1. 현대 중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393
2. 현대 중국의 음악/ 394
1) 신식군악대 창설과 관악대 운동/ 397 2) 신식 군가의 전개/ 397
3) 현대 학교 음악 교육의 전개/ 399
4) 새로운 음악 단체와 전문음악교육 기관의 설립/ 403 5) 사회주의 음악의 개막/ 406
3. 현대중국의 음악가/ 416
1) 왕광기(王光祈)/ 416 2) 풍자개(豊子愷)/ 418
3) 소우매(簫友梅)/ 419 4) 조원임/ 421
5) 여금휘/ 424 6) 유천화/ 425
7) 섭이/ 426 8) 정율성/ 429
9) 임광과 장서/ 431 10) 선성해(洗星海)/ 432
11) 하록정과 려기/ 435 12) 마사총/ 436
13) 강문야/ 438 14) 담소린/ 441
15) 맥신/ 443 16) 뇌진방/ 443
17) 팽수문/ 444 18) 중국의 연주가/ 446
19) 중국에서 활동한 외국 음악가/ 446
Ⅲ. 현대 한국음악의 전개: 유럽음악 수용시대 447
1. 현대 한국의 문화 사회적 배경/ 449
2. 현대 한국의 음악/ 450
1) 서양식 군악대 창설/ 450 2) 창가/ 454
3) 조양구락부의 음악 교육/ 457
4)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 458
5) 조선총독부의 음악 교육 정책/ 461
6) 조선총독부의 음악 교육/ 463 7) 기독교 음악의 수입/ 465
8) 레코드 음악/ 477 9) 방송 음악/ 485
10) 첫 서양 음악회/ 487 11) 프롤레타리아 동요운동/ 488
12) 악극의 전개/ 489
3. 현대 한국의 음악가/ 492
1) 이은돌/ 492 2) 에케르트/ 492
3) 김인식/ 495 4) 이상준/ 496
5) 홍난파/ 496 6) 정사인과 백우용/ 498
7) 안익태/ 500 8) 윤이상/ 503
Ⅳ. 현대 일본음악의 전개: 유럽음악 수용시대 506
1. 현대 일본의 문화 사회적 배경/ 507
2. 현대 일본의 음악/ 512
1) 서양음악의 수입과 보급/ 513 2) 군악대/ 515
3) 기독교 음악/ 517 4) 오르간 학습/ 519
5) 레이진(伶人)의 서양음악 교육과 창가 작곡/ 520 6) 서양음악 연주회/ 524
7) 음악학교의 창설/ 530 8) 일본 최초의 외국 유학생/ 533
9) 관현악의 태동과 군악대의 연주회/ 533 10) 음악 출판/ 535
11) 서양음악풍 유행가의 탄생/ 536 12) 가곡의 발전/ 541
13) 일본 서양음악 교육계의 형편/ 542 14) 전통음악 교육/ 544
15) 신일본음악/ 554
Ⅴ. 현대 동북아시아의 음악 교류 상황 557

제7장 동북아시아 음악의 미래를 위하여/ 559
부록: 아시아 음악 산책/ 565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동북아시아 음악사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동북아시아 음악사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한중일 음악사를 한 코에 들어올리는 동북아시아 음악사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