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주자시 100선

연암서가 고금문총
주희 지음 | 장세후 옮김
연암서가

2014년 03월 03일 출간

종이책 : 2013년 02월 15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53.87MB)
ECN 0102-2018-000-002623793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전자책 화면에 표기된 주석 등을 모두 읽어 줍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교보 ebook' 앱을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야 이용 가능합니다. (Android v3. 0.26, iOS v3.0.09,PC v1.2 버전 이상)

PDF 필기 Android 가능 (iOS예정)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0,500원

쿠폰적용가 9,45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주자 시의 정수들만 모았다!
『주자시 100선』은 유가를 집대성하여 성리학 수준으로 끌어올린 주자 시의 정수들만 모아 엮은 시선집이다. 최근까지 발굴된 주자가 지은 시 1,500여 수 중에서 일반 독자들이 알아두면 좋을 만한 작품 100수를 가려 뽑아 수록하여 우리말로 옮기고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해설과 주석을 달았다.

주자는 경치를 읊는 것, 마음속을 읊어낸 것, 서사, 영물시 등에 이르는 여러 방면의 시를 지어 남겼다. 그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설리시’로 지금도 우리의 주위에서 병풍이나 액자, 족자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 ‘관서유감’이나 ‘춘일’ 같은 시가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주자의 작품을 오롯이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서문
1. 멀리 나가 놀다 遠遊篇
2. 비를 대하다 對雨
3. 9월 9일 九日
4. 매화 梅花
5. 풀과 나무를 여러 수로 적다 雜記草木
6. 가로가 소장하고 있는 서명숙의 그림 두루마리에 적다 題可老所藏徐明叔?卷
7. 6월 15일 수공암을 찾았는데 비가 내리다 六月十五日詣水公菴雨作
8~9. 매화가 다 피었는데도 미처 읊지를 못하여 탄식을 하다가 시가 이루어져 애오라지 함께 좋아하는 이들에게 드리다, 두 수 梅花開盡, 不及吟賞感嘆, 成詩, 聊貽同好, 二首
10. 송 어르신께서 홍매와 납매에서 운자를 빌린 시 두 수를 보여 주시어 문득 다시 답하여드리고 한번 웃는다 宋丈示及紅梅臘梅借韻兩詩, 輒復和呈以發一笑
11. 적계의 호 어르신께서 직무를 맡아 객사로 가심에 전송해드리다 送籍溪胡丈赴館供職
12. 봄날 春日
13~14. 책을 보고 느낌이 일어, 두 수 觀書有感, 二首
15. 서림원의 유가스님에게 보이다 示西林可師
16. 삼가 판원장 및 충보와 평보 형을 모시고 회향에서 묵으며 어르신의 벽에 있는 옛 시제의 각운자를 써서 짓는다 奉陪判院丈充父平父兄宿回向用知郡丈壁間舊題之韻
17. 언집과 충보를 받들어 모시고 함께 서암산에서 놀다가 삼가 보전사군께서 남기신 제목의 각운자를 써서 짓는다 奉陪彦集充父同游瑞巖謹次?田使君留題之韻
18. 엎드려 두 유공께서 서암에 지어 남기신 시를 읽어보고 회포가 일어 눈물이 떨어지기에 뒤늦게 원래 각운자를 그대로 써서 우연히 짓는다 伏讀二劉公瑞巖留題感事興懷至於隕涕追次元韻偶成
19. 서암산으로 들어가는 길에 절구를 짓게 되었는데 언집과 충보 두 형에게 드린다 入瑞巖道間, 得絶句, 呈彦集充父二兄
20. 적계 호 선생을 애도함 挽籍溪胡先生
21. 어머니의 생신날 축수를 드리다 壽母生朝
22. 연평 이 선생님을 애도함 挽延平李先生
23. 서림사에서 옛날에 지은 시의 각운자를 써서 짓다 用西林舊韻
24~25. 엎드려 유수야 어르신의 「한가로이 거처하다」라는 시를 읽고 삼가 격조 높은 운자에 차운하여 경솔하게 절하여 드리고 엎드려 통렬하게 첨삭하여 주실 것을 바란다 伏讀秀野劉丈閑居, 謹次高韻, 率易拜呈, 伏乞痛加繩削是所願望
26. 유수야 어르신께서 남창에서 지은 시 여러 수를 부쳐 보여 주시어 여기 이 시에 화답한다 秀野劉丈寄示南昌諸詩和此篇
27. 「수야의 눈을 읊다」라는 시의 운자를 써서 짓다 次秀野詠雪韻
28~29. 「눈 온 뒤의 일을 쓰다」라는 시의 운자를 써서 짓다, 두 수 次韻雪後書事, 二首
30. 유수야의 일찍 핀 매화 시의 각운자를 써서 짓다 次韻劉秀野早梅
31. 정덕휘의 유연당에 적다 題鄭德輝悠然堂
32. 분수포의 벽에 조중진이 지어 남긴 20자의 시를 읽고 장난삼아 그 뒤에 붙임 分水鋪?壁間讀趙仲縝留題二十字, 戱續其後
33. 감회 感懷
34. 서재에 거처하자니 느낌이 일어 齋居感興
35. 살 곳을 정하다卜居
36. 아호사에서 육자수에게 화답하다 鵝湖寺和陸子壽
37. 다시 앞의 각운자를 써서 기중을 이별함 復用前韻敬別機仲
38. 장위공의 묘소를 참배하다 拜張魏公墓下
39. 정왕의 누대에 오르다 登定王臺
40. 석름봉에서, 경부가 지은 시의 각운자를 쓰다 石?峰次敬夫韻
41. 취하여 축융봉에서 내려오며 짓다 醉下祝融峯作
42. 삼가 경부가 보내온 말에 대답하고 아울러 이별을 노래함 奉酬敬夫贈言, 幷以爲別
43. 매계의 호씨네 객관에 묵으면서 벽에 적어놓은 시를 보고 스스로 경계하노라 宿梅溪胡氏客館, 觀壁間題詩自警
44. 다시 임용중에게 답하다 再答擇之
45. 삼가 임용중의 시 네 수에 답하다. 뜻이 이르는 대로 써서 같은 각운자를 써서 짓지는 못하다 奉答擇之四詩, 意到卽書不及次韻
46. 신유의 서쪽 新喩西境
47. 매화가 보이지 않아 다시 ‘올 래’자 운을 써서 짓다 不見梅再用來字韻
48. 수선화를 읊다 賦水仙花
49. 청강으로 가는 도중에 매화를 보다 淸江道中見梅
50. 남헌형을 그리워하며 범염덕ㆍ임용중 두 벗에게 바친다 有懷南軒老兄, 呈伯崇·擇之二友
51. 9월 9일 천호산에 올라 ‘국화수삽만두귀’라는 구절로 운자를 나누어 시를 짓는데 ‘돌아갈 귀’ 운자를 얻다 九日登天湖, 以菊花須揷滿頭歸分韻賦詩, 得歸字
52. 보덕으로 돌아가 다시 앞 시의 각운자를 써서 짓다 歸報德再用前韻
53. 택지가 여자진에게 주려고 지은 정월 대보름 밤의 시를 외우기에 원운을 써서 짓다 擇之誦所賦擬進呂子進元宵詩, 因用元韻
54. 임희지를 전송하다 送林熙之詩
55~56. 백장산 百丈山
57~64. 운곡 雲谷
65. 「이남」을 베껴 평보에게 부치고 내친 김에 이 시를 짓는다 抄二南寄平父, 因題此詩
66. 유평보의 정암에 적다 題劉平甫定菴
67~68. 유추밀을 애도하다 挽劉樞密
69. 임자년 3월 27일 급작스런 우레를 듣고 느낌이 있어 壬子三月二十七日聞迅雷有感
70~71. 원범 존형이 매화시 10수를 보여 주고 말하는데 풍

유가를 집대성하여 성리학 수준으로
끌어올린 대학자 주자 시의 정수들만
모은 최고의 시선

유가를 집대성하여 성리학 수준으로 끌어올린
대학자 주자 시의 정수들만 모은 최고의 시선

요즘 들어 중국은 물론이고 국내의 문학사에서도 주자의 시가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주자는 문학 방면에도 두루 뛰어났지만 그 중에서도 시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주자는 여러 방면의 시, 이를테면 경치를 읊은 것, 마음속을 읊어낸 것, 서사, 영물시 등에 두루 많은 시를 지어 남겼다. 그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설리시(說理詩)이다. 당시의 많은 유학자들이 설리시를 지었지만 주자에 근접하는 수준을 보인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지금도 우리의 주위에서 병풍이나 액자, 족자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 「관서유감(觀書有感)」이나 「춘일(春日)」 같은 시는 바로 이 방면의 최고 걸작이다. 설리시 기준의 평가가 되는 용어로 이취(理趣)와 이어(理語), 이장(理障)이라는 말이 있다. 이취는 형상화한 철리의 정취를, 이어는 개념화된 명사 술어, 이장은 이어가 정사(情思)를 가린 표현을 말한다. 「관서유감(觀書有感)」은 바로 이어는 없되 이취가 많은 이 방면의 최고봉으로, 도통시(道通詩)라고까지 불릴 정도로 찬사를 받아 왔다. 물론 압운한 강의어록이라는 평가를 받는 수준의 훈몽시 등도 있지만 철리를 문학적으로 승화시킨 주자의 그런 시들이야말로 주자가 시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이 된다.
이 책에는 최근까지 발굴된 주자가 지은 시 1,500여 수 중에서 일반 독자들이 알아두면 좋을 만한 작품 100수를 가려 뽑아 수록하여 우리말로 옮기고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해설과 주석을 달았다.

半畝方塘一鑒開 반 이랑 모난 연못에 거울 하나 열렸는데,
天光雲影共徘徊 하늘 빛 구름 그림자 함께 떠돌아다니네.
問渠那得淸如許 묻노니 어째서 그렇게 맑을 수 있는가 하니,
爲有源頭活水來 맑은 물 흘러나오는 근원 있어서라 하네.

책을 읽으려고 펼쳤다. 마치 그리 크지 않은 네모반듯한 연못이 거울을 열어 사물을 비추는 듯한 모습을 띠고 있다. 책을 읽다보니 거울이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를 투영한다. 그 모습이 함께 어울려 왔다갔다하는 것처럼 내용이 풍부하기 그지없다. 책에게 혼자 물어본다.
“어찌하여 그렇게 맑은 내용을 항상 담고 있을 수 있는가?” 하고.
책이 이렇게 대답하는 것 같다.
“그거야 연못에 항상 쉬지 않고 흘러드는 맑은 물이 있어서 오래도록 고여 썩은 물이 없는 것처럼, 항상 새로운 내용을 담은 책이 얼마든지 있으니까!”

「비를 대하다對雨」

虛堂一遊? 빈 집 한번 돌아다니며 구경하자니,
驟雨滿空至 소낙비 온 하늘에서 내리네.
的?散方塘 반짝하며 모난 연못으로 흩어지고,
冥?結雲氣 침침하게 구름 기운 맺히네.
勢逐風威亂 기세 바람 쫓아 위세 어지러이 부리더니,
望窮山景? 끝까지 바라니 산 경치 가리네.
烟靄集林端 안개와 놀 숲 끝에 모이니,
蒼茫欲無際 푸르스름하게 끝이 없을 것 같네.
凉風襲輕? 서늘한 바람 가벼운 옷자락에 스미니,
炎?起秋思 더운 기운 가운데 가을 생각 일어나네.
對此景凄凄 이것 마주하니 경치 쓸쓸하여,
還增沖澹意 맑고 깨끗한 뜻 더해지네.

빈 집을 한번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구석구석 살펴보았다. 그러던 중에 하늘에서는 갑작스레 소낙비가 온 하늘을 덮으며 퍼붓기 시작하였다. 빗방울이 모난 연못으로 떨어졌다. 연꽃과 연잎에 부딪쳐 부서질 때마다 반짝반짝 빛을 내며 허공으로 흩어진다. 그러는 중에 하늘에서는 어느새 뭉게뭉게 먹구름이 일어 온 하늘을 침침하게 덮어버렸다. 소낙비의 기세는 때마침 불어온 바람으로 인하여 그 위세가 어지러워졌다. 이에 산에 막힌 곳의 끝까지 시야를 넓혀보았으나 굵은 빗줄기 때문에 산의 경치가 가리어 제대로 보이지가 않았다. 이윽고 소낙비가 그치는가 싶더니 이번에는 안개와 놀이 숲의 끝까지 몰려들었다. 온 사방이 이 때문에 푸르스름해져서 어디가 그 끝인지 도무지 알 길이 없을 것 같다. 서쪽에서는 어느덧 서늘한 바람이 불어왔다. 살랑살랑 옷자락을 가볍게 흔들며 스며들어 아직은 여름의 끝자락 기운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가을이 이제 머지않아 오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갑작스런 소낙비가 금방 내리는 듯하다가 서늘한 기운이 몰려드는 이런 광경을 마주하다 보니 도리어 뜻은 더욱 맑고 깨끗하게만 느껴지는 것 같다.

「매화梅花」

溪上寒梅應已開 시냇가 차가운 매화 이미 피었을 텐데,
故人不寄一枝來 옛 친구 한 가지 부쳐오지 않네.
天涯豈是無芳物 하늘가에 어찌 향기로운 것 없겠는가만,
爲爾無心向酒杯 그대로 인해 사심 없이 술잔 마주 한다네.

떠나온 고향의 시냇가에는 분명히 추운 겨울에 꽃을 피우는 매화가 벌써 피었을 것이다. 옛 친구들 가운데 육개가 범엽에게 그랬듯이 매화 한 가지를 꺾어서 이곳으로 부쳐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곳이 아무리 하늘 한 끝에 있는 곳이라고 해도 어찌 향기를 내뿜는 매화 같은 꽃이 없지는 않다. 다만 고향에 있는 옛 친구와 연락이 끊긴 것 때문에 아무 생각 없이 고향에서 하던 대로 술잔 쪽으로 절로 향하게 된다.

「봄날春日」

勝日尋芳泗水濱 승일에 사수의 가로 꽃을 찾아 나서니,
無邊光景一時新 가없는 봄 풍경 일시에 새롭네.
等閑識得東風面 아무렇게나 봄바람 얼굴에 느끼니,
萬紫千紅總是春 일만 송이 자주색 꽃 천 송이 붉은 꽃 모두 봄이네 그려.

오행의 상극이 되는 아주 좋은 날. 꽃을 찾아서 공자가 강학하던 사수와 같은 강가를 돌아다닌다. 끝도 없이 아득하게 펼쳐진 봄 풍경이 어느새 지금까지의 칙칙했던 겨울 풍경을 한꺼번에 완전히 새롭게 바꾸어 놓았다. 어차피 봄 풍경을 즐길 요량으로 나선 걸음이다. 다른 목적 없이 나온 만큼 되는 대로 봄 풍경에 이 몸을 맡긴다. 동쪽의 계절인 봄의 바람이 얼굴에 스치는 게 느껴진다. 다시 고개를 돌려 사방을 쳐다본다. 온 천지의 꽃들이 모두 보랏빛이 아니면 붉은 빛을 띠고 있다. 영락없이 봄이란 걸 알겠다.

「책을 보고 느낌이 일어觀書有感」

昨夜江邊春水生 지난 밤 강가에 봄 물 불어나더니,
蒙衝巨艦一毛輕 몽충 같은 큰 전함도 터럭 하나와 같이 가볍네.
向來枉費推移力 지금까지는 미는 힘 헛되이 써버렸으나,
此日中流自在行 오늘은 강 가운데로 자유로이 흘러가네.

책을 읽어 지식이 쌓인 것은 마치 오랫동안 가물던 상태에서 지난밤에 강가에 많은 비가 내려 봄물이 불어난 것과 같다. 그동안 물이 없어서 강바닥에 처박혀 있던 몽충 같은 거대한 전함이 불어난 강물에 드디어 깃털을 띄우듯 가볍게 둥둥 띄우는 것과 같은 것이다. 지금까지는 독서의 힘이 부족하였다. 사물을 미루어 짐작할 때 강바닥 깊이 처박혀 있던 큰 배를 아무리 옮기려고 밀어보아도 꿈쩍도 하지 않았다. 이는 헛되이 힘만 낭비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쌓인 독서의 힘으로 이제 달라졌다. 지식이 마치 강물이 불어나 큰 전함이 강 가운데로 자유자재로 왕래할 수 있는 것처럼 모든 일을 할 때 무엇이든지 마음껏 미루어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적계 호 선생을 애도함挽籍溪胡先生」

夫子生名世 선생님 태어나 세상에 이름 떨치셨는데,
窮居幾歲年 궁벽하게 사신 지 몇 해나 되셨던가?
聖門雖力造 성인의 문 비록 힘껏 갔으나,
美質自天全 아름다운 바탕 하늘에서 보전하셨네.
樂道初辭幣 도 즐기시어 처음에는 부르심 물리셨고,
憂時晩奏篇 슬플 때 만년에 글 올리셨네.
行藏今已矣 나가고 물러나심 이제 그쳤으니,
心迹故超然 마음과 자취 이에 초연하다네.

선생께서는 명가에서 태어나셨다. 그 명성이 비록 온 세상에 두루 떨치긴 하였으나 몸은 궁벽하고 가난하게 사셨다. 그렇게 하신 지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헤서는 나로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공자의 학문에 뜻을 두어 성인의 문으로 주저 없이 힘껏 가셨다. 그 아름다운 바탕을 하늘에서 좋게 여기어 다른 삿된 학문에 전혀 물들지 않게끔 온전히 보전해 주었다. 그냥 도를 즐기시어 내적 성찰을 위한 학문에 몰두하시느라 천자께서 조서를 부르심에도 처음부터 이를 거절하셨다. 그러나 나라에 오랑캐의 우환이 있자 움직이셨다. 만년에는 연세를 돌보시지도 않고 몸소 인재를 추천하는 소장을 올리셨다. 공자나 안연처럼 써주면 행하고 버림을 받으면 은둔하던 삶을 살아오셨으나 그러한 삶도 선생께서 돌아가심으로 이제는 모두 끝이 났다. 아아! 선생께서 돌아가시고 그 분의 삶을 되돌아보니 마음 쓰시는 일이나 겉으로 남은 행적이 실로 그런 이유들 때문에 초연하기만 하셨도다.

「서재에 거처하자니 느낌이 일어齋居感興」

昆侖大無外 둥글고 흐릿하여 큰 하늘은 끝이 없고,
旁薄下深廣 까마득한 땅은 아래로 끝없이 넓네.
陰陽無停機 음양의 변화는 잠시도 쉬지 않고,
寒暑互來往 한서는 서로 번갈아 오가네.
皇羲古神聖 복희씨는 옛날의 신령스런 성인으로,
妙契一俯仰 신묘한 계합 한번 우러르고 숙임에 이루어졌네.
不待窺馬圖 그리하여 용마의 그림 살핌을 기다리지 않고도,
人文已宣朗 이에 사람의 무늬 밝게 퍼졌네.
渾然一理貫 혼연히 한 가지 이치 관통하니,
昭?非象罔 밝고도 분명하여 흐릿하지 않네.
珍重無極翁 진중하도다 무극옹이시여,
爲我重指掌 나를 위해 거듭 손바닥 가리키시네.

둥글고 흐릿한 하늘은 얼마나 큰지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 그 아래로 땅은 까마득하게 펼쳐져 있어 깊고도 넓어 끝닿은 곳을 모르겠다. 이 끝없이 맞닿아 펼쳐져

작가정보

저자(글) 주희

저자 주희(朱熹, 1130~1200)는 자는 원회(元晦) 또는 중회(仲晦)이며,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산인(雲谷山人), 창주병수(滄洲病?), 둔옹(遯翁) 등이 있다. 복건성(福建省) 우계(尤溪)에서 출생했다. 14세 때 부친이 죽자 유언에 따라 적계(籍溪) 호헌(胡憲), 백수(白水) 유면지(劉勉之), 병산(屛山) 유자휘(劉子?)를 사사하였으며, 24세 때 연평(延平) 이동(李?)을 사사하면서 정자(程子)와 양시(楊時), 나종언(羅從彦)과 이동의 학맥을 잇는 정자의 사전제자(四傳弟子)가 되었다.19세에 진사시에 급제하여 71세에 생애를 마칠 때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약 9년 정도만 현직에 근무하였을 뿐, 그 밖의 관직은 학자에 대한 일종의 예우로서 반드시 현지에 부임할 필요가 없는 명예직이었기 때문에 학문에 전념할 수 있었다. 서원운동을 펼쳐 강서성(江西省) 남강(南康)의 관리로 근무할 때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 등을 수복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사서집주(四書集注)』, 『주역본의(周易本義)』, 『시집전(詩集傳)』, 『근사록(近思錄)』, 『초사집주(楚辭集注)』, 『자치통감(資治通鑑)』,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외에 다수가 있다. 이외에 그가 남긴 글은 문인들에 의해 『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과 『주자어류(朱子語類)』 등으로 편찬되었다.

역자 장세후는 경북 상주에서 출생하였다. 1986년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과 1996년에 동대학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주희 시 연구』)를 취득하였다. 2003년 대구매일신문에서 선정한 대구·경북지역 인문사회분야의 뉴리더 10인에 포함된 바 있다. 영남대학교 겸임교수와 경북대학교 연구초빙교수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의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한학 연구의 길잡이(古籍導讀)』(이회문화사, 1998), 『초당시(初唐詩, The Poetry of the Early T'ang)』(Stephen Owen, 中文出版社, 2000), 『퇴계 시 풀이ㆍ1~6』(李章佑 共譯,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2011), 『고문진보ㆍ전집』(황견 편, 이장우ㆍ우재호 공역, 을유문화사, 2001), 『朱熹 詩 譯註ㆍ1~2』(이회문화사, 2004~2006), 『도산잡영』(공역, 을유문화사, 2005), 『퇴계잡영』(공역, 연암서가, 2009), 『唐宋八大家文抄-蘇洵』(공역, 전통문화연구회, 2012), 『춘추좌전 상』(을유문화사, 2012), 『춘추좌전 중』(을유문화사, 2013) 등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주자시 100선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주자시 100선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주자시 100선
    연암서가 고금문총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