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황금 대들보 제국: 이성계

역사디딤돌

2010년 09월 14일 출간

종이책 : 2010년 08월 31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0.63MB)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전자책 화면에 표기된 주석 등을 모두 읽어 줍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교보 ebook' 앱을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야 이용 가능합니다. (Android v3.0.26, iOS v3.0.09,PC v1.2 버전 이상)
소득공제
소장
정가 : 5,950원

쿠폰적용가 5,36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시리즈 전체 41
황금 대들보 제국: 이성계
5,950
한글 대왕: 세종
5,950
말 위에서 다스린 세상: 태종
5,950
세상 밖으로 탈출하라: 정도전
5,950
우주를 무한도전한 거인: 장영실
5,950
동굴 속의 거인국: 조광조
5,950
황금 용의 전쟁: 성삼문
5,950
태양을 사랑한 백마: 김시습
5,950
불사조 천하: 황희
5,950
대나무와 소나무의 노래: 이황
5,950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아이들에게 역사적 안목을 키워주는 「역사를 바꾼 인물ㆍ인물을 키운 역사』 제41권 『황금 대들보 제국, 이성계』. 아이들은 물론, 청소년부터 어른까지 부담 없이 읽으면서 공감을 나누도록 인간적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인물 이야기를 담아냈다. 역사를 통해 인물을 알고 인물을 통해 역사를 읽는 안목을 키우게 될 것이다. 제41권에서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라인 조선을 세운 이성계에 대해 다룬다. 우리 역사의 출발점을 찍은 이성계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통쾌한 모험 속으로 초대하고 있다.
1장 고향을 떠난 이안사…12
2장 명나라의 흥기와 원나라의 몰락…23
3장 고려에 뻗친 새로운 기운…51
4장 정도전의 울분…65
5장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77
6장 이성계와 정몽주의 대결…102
7장 임금이 된 이성계…119
8장 새로운 도읍지, 한양…142
9장 왕자의 난…155
10장 왕의 자리에 오른 이방원…174

이안사는 즉시 지방관을 찾아가 그 사실을 따졌고, 이 일로 이안사는 지방관과 산성 별감의 미움을 받게 되었다.
“한 지방의 호족이 자신의 세력을 믿고, 조정에서 파견된 지방관과 산성별감을 누르려 하는 것은 나라에 대한 반역과 다를 바 없습니다.”
지방관과 산성별감은 조정에 군사를 요청해 이안사 세력을 없애려 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를 알게 된 이안사는 고향인 전주를 떠날 계획을 세웠다.
“여기에 있다가는 무사하기 어렵다. 서둘러 이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옮겨야 되겠구나.”
이안사는 전주를 떠나 삼척으로 향했다. 삼척에는 이안사의 외가가 있었다.(‘고향을 떠난 이안사’ 중에서)

“최영의 심복이었던 안소와 정승가, 인원보, 안주, 김약채, 정희계 등은 귀양을 보내도록 한다. 또한 원나라의 연호를 버리고 다시 명나라 연호인 홍무를 쓰도록 하며, 의복도 몽골식을 버리고 명나라식으로 바꾸도록 한다!”
이성계가 정권을 장악한 뒤에 가장 큰 마찰은 조민수와의 의견 차이였다. 두 사람은 우왕을 폐위시킨 뒤, 누구를 왕의 자리에 앉힐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두고 여러 날 동안 의견 대립을 했다.
“우왕의 아들인 창을 보위에 앉혀야 하오.”
조민수는 창을 보위에 앉힐 것을 주장했다.
조민수는 우왕 무렵에 최고 실권자였던 이인임의 도움으로 그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조민수가 창을 보위에 앉힐 것을 주장한 것은, 창이 이인임의 외사촌인 이림의 딸 근비와 우왕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기 때문이다.(‘이성계와 정몽주의 대결’ 중에서)

마침내 1400년 11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