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대들보 제국: 이성계
2010년 09월 14일 출간
종이책 : 2010년 08월 3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0.63MB)
-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전자책 화면에 표기된 주석 등을 모두 읽어 줍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교보 ebook' 앱을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야 이용 가능합니다. (Android v3.0.26, iOS v3.0.09,PC v1.2 버전 이상)

쿠폰적용가 5,36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장 명나라의 흥기와 원나라의 몰락…23
3장 고려에 뻗친 새로운 기운…51
4장 정도전의 울분…65
5장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77
6장 이성계와 정몽주의 대결…102
7장 임금이 된 이성계…119
8장 새로운 도읍지, 한양…142
9장 왕자의 난…155
10장 왕의 자리에 오른 이방원…174
이안사는 즉시 지방관을 찾아가 그 사실을 따졌고, 이 일로 이안사는 지방관과 산성 별감의 미움을 받게 되었다.
“한 지방의 호족이 자신의 세력을 믿고, 조정에서 파견된 지방관과 산성별감을 누르려 하는 것은 나라에 대한 반역과 다를 바 없습니다.”
지방관과 산성별감은 조정에 군사를 요청해 이안사 세력을 없애려 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를 알게 된 이안사는 고향인 전주를 떠날 계획을 세웠다.
“여기에 있다가는 무사하기 어렵다. 서둘러 이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옮겨야 되겠구나.”
이안사는 전주를 떠나 삼척으로 향했다. 삼척에는 이안사의 외가가 있었다.(‘고향을 떠난 이안사’ 중에서)
“최영의 심복이었던 안소와 정승가, 인원보, 안주, 김약채, 정희계 등은 귀양을 보내도록 한다. 또한 원나라의 연호를 버리고 다시 명나라 연호인 홍무를 쓰도록 하며, 의복도 몽골식을 버리고 명나라식으로 바꾸도록 한다!”
이성계가 정권을 장악한 뒤에 가장 큰 마찰은 조민수와의 의견 차이였다. 두 사람은 우왕을 폐위시킨 뒤, 누구를 왕의 자리에 앉힐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두고 여러 날 동안 의견 대립을 했다.
“우왕의 아들인 창을 보위에 앉혀야 하오.”
조민수는 창을 보위에 앉힐 것을 주장했다.
조민수는 우왕 무렵에 최고 실권자였던 이인임의 도움으로 그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조민수가 창을 보위에 앉힐 것을 주장한 것은, 창이 이인임의 외사촌인 이림의 딸 근비와 우왕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기 때문이다.(‘이성계와 정몽주의 대결’ 중에서)
마침내 1400년 11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