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고대중국어 문법론

메이광 지음 | 박정구 옮김
한국문화사

2022년 08월 24일 출간

국내도서 : 2020년 11월 10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7.09MB)
ISBN 9791169199506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43,000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본서의 저자인 메이광(梅廣) 교수는 언어학이론, 특히 형식문법 연구에 오랫동안 종사했고 고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뿐만 아니라 중국 소수민족 언어에까지 언어학 이론을 적용, 연구해왔다.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홍콩 중문대학 New Asia College(新亞書院) 중문과 재직, 국립타이완대학 중문과 교수, 타이완 국립칭화대학 중국어문학과 교수와 학과장, 동 대학 언어학연구소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타이완 칭화대학의 ‘석좌교수(講座敎授)’이자 동 대학 언어학연구소의 명예교수이다. 그 외에도 미국의 일리노이대학과 콜비대학(메인주), 중국 대륙의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 한국의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등지에서 강연한 바 있고, 미국의 하버드대학과 MIT대학, 네덜란드의 레이던대학 등지에서 방문학자를 지낸 바 있다. 중국어어법, 소수민족언어 연구에 종사했으며 1980년대 타이완 중남부 산간지역, 1990년대 중국 대륙 윈난성 서북 변경지역에서 소수민족언어를 조사하였다. 퇴임 이후에는 선진사상과 관련된 고문헌 연구에도 종사하고 있다. 본서는 고대중국어어법의 체계와 제반 현상에 대한 저자의 언어학적 관점을 집대성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본서는 메이광(梅廣) 교수가 생성문법이론을 기반으로 고대중국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받을 만하다. 왜냐하면 고대중국어어법은 한국에서 소위 ‘한문문법’이라는 분야인데 기존의 교육과 학습은 소학의 도움을 받았지만 현대적 문법이론을 운용한 예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중국어어법에 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시도가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고대중국어를 현대 언어학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그것이 고대중국어 해독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이러한 의구심에 대해서 고대중국어도 인간언어의 한 유형이며, 보편문법이 설명하는 대상의 하나라고 본서는 대답하고 있다. 언어의 보편성은 장소와 시간을 초월한 것이며 중국어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 모두가 그 보편성을 위배하지 않으며 중국어의 특수성도 보편성을 기반으로 매개변인에 기인한 것일 뿐이다.
본서를 번역하는 데 있어서 저자의 학술적 견해를 그대로 반영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용어의 번역에 있어서도 일반언어학에서 사용하는 번역 용어를 쓰고자 최대한 노력했고, 개별언어학적 특수 용어에 대해서는 원뜻을 살리면서 중국언어학계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용어로 적절하게 번역하였다. 본서는 일반언어학 기반을 가진 중국어문법 연구자나 한문문법에 관심을 가진 학자들이 읽기에 좋을 것으로 판단한다. 고대중국어어법과 생성문법의 만남이 갖는 가치에 대해서 객관적 검토가 진행될 수만 있더라도 본서의 출판 및 번역이 갖는 의의가 충족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서는 2015년 타이완에서 출간된 후 2016년 타이완 교육부의 제60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그 이후 2018년 중국 대륙에서 간체자판, 2019년 타이완에서 제2판(개정판)이 발간되는 등 학계에서 큰 환영을 받고 있다. 초판 이후 일부 내용이 지속적으로 수정되었고 한국어 번역판에는 저자의 뜻에 따라 최근까지의 수정 내용을 모두 반영하였다.
본 학술 번역서의 출판을 기꺼이 맡아 준 한국문화사에 감사드린다. 김진수 사장님, 그리고 실질적 업무를 도맡아준 김형원 과장, 편집을 수고해주신 김태균 편집장과 유인경 담당자, 표지디자인을 맡아준 이정빈 주임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역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초판 저자 서문
일러두기

제1장 고대중국어어법 연구의 이론과 실제
제2장 문장의 구조적 기반-통사론 개설
제3장 수식구조 : 조건문
제4장 주제문
제5장 병렬구조와 그 발전 :'面'자형식
제6장 문장의 확장-문단구조
제7장 능동문, 수동문, 피동문
제8장 '於'전치사구의 변천과 술어구조의 발전
제9장 논항구조(1) : 수동과 사역
제10장 논항구조(1) : 논항증가와 이중목적어구조
제11장 상고중국어의 기능범주

참고문헌
색인

[머리말]

『 上古漢語語法綱要(고대중국어문법론)』 의 한국어판이 이미 완성되었다고 전해 들었다. 매우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학술교류는 내 오랜 염원이었기에 이번 한국어판 출판 제의에 흔쾌히 응했었다.
한국어판의 출판을 앞두고, 특히 한국의 저명한 중국어 언어학자이자 이 분야에 조예가 깊은 박정구 교수, 백은희 교수 두 분이 바쁜 가운데에서도 귀중한 시간을 할애하여 번역을 해주어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아울러 나와 함께 『 老子(노자)』 관련 논문을 협업한 바 있고, 본서의 초판 교정과 이번 번역에도 참여한 조은정 박사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한다.
이 저서는 4년 전인 2015년에 타이완의 삼민서국(三民書局)에서 초판이 출간된 후 올해 개정판이 발간되었다. 작년에는 중국 대륙의 상해교육출판사(上海敎育出版社)에서 간체자 판본이 발간되어 판매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어판이 곧 출간되어 한국독자들께도 소개된다고 하니 기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언어의 어법체계는 매우 복잡하기에 한 개인의 능력으로 이를 전부 다룬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책이 출판된 후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몇 차례의 수정을 거쳤지만 아직도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이에 한국어판 출간이라는 기회를 빌려 몇 가지 내용을 더 보완하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본문에 수록되었어야 했지만 그렇지 못했던 내용이다.
본서의 제3장에서 상고중국어 조건문의 가정을 논의할 때 가정하는 사건이 발생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중국어에서 각기 다른 수준의 가정이라는 것은 통사문제가 아니라 의미문제에 속한다. 중국어에는 반사실조건문(反事實條件句, counterfactual conditional sentence), 즉 소위 가상문이라는 개념이 없다. 그러나 현대중국어에는 ‘要不是(…아니었다면)’라는 반사실을 나타내는 접속사가 있지 않느냐는 의문이 들 수 있다. ‘要不是’는 확실히 반사실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이것은 강조형식으로 앞 사건의 원인과 뒤 사건의 결과를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가령 ‘要不是台??境, 我早?天就抵?首?了。(태풍이 국경을 지나지 않았다면 나는 서울에 이틀 일찍 도착했을 것이다.)’는 ‘如果’를 사용해 ‘如果?有台??境,我早?天就抵?首?了。’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要不是’라는 강조형식은 원인-결과라는 선후관계를 강조하지, 가능세계(possible worlds)의 가정적 양보 의미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다른 예를 들자면, 다음 두 구문은 모두 반사실을 나타낸다. 그러나 ‘就算(설령)’을 사용해 가정적 양보를 나타내는 구문은 비문이 아니지만 강조형식인 ‘要不是’를 사용한 문장은 적절하지 않다. ‘就算?斯瓦?德?有刺?甘?迪, 也?有?人刺?他的。(설령 오즈월드가 케네디를 암살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그를 암살했을 것이다.)’ ‘*要不是?斯瓦?德刺?了甘?迪,也?有?人刺?他的。’
또 본서의 제3장에서는 상고중국어의 ‘微’와 『 論語(논어)』 의 ‘微管仲, 吾其披髮左?矣.(관중이 아니었다면 우리는 머리를 풀어헤치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종족이 되었을 것이다.)’ 구문을 논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중대한 누락이기에 보완하지 않을 수 없다. ‘微’도 강조를 나타내는 부정사로 『 詩經(시경)』 에서 ‘결코 …아니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微我無酒, 以敖以遊.(나에게 술이 없어 노닐지 못하는 것이 결코 아니노라.)’가 그러하다. ‘微’는 반사실을 나타내는 데 상용되는데 ‘微管仲’이 바로 그 예이다. 그런데 ‘微’는 이 외에도 (부정의미를 지니는) 가정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가령 『 國語ㆍ晉語六(국어ㆍ진어6)』 에 ‘且夫戰也, 微?至, 王必不免.(또한 전쟁이 시작될 때 만일 극지가 없다면 왕은 필히 어려움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가 그러하다. 반사실을 나타내는 ‘微’는 조건문이 아닌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吳王曰 : 微子之言, 吾亦疑之.(오나라 왕이 말했다. “네가 말하지 않았더라도 나는 그에 대해 의심이 든다.”)’ 『 史記ㆍ伍子胥傳(사기ㆍ오자서전)』 이를 통해 ‘微’를 반사실조건문 표지로 볼 수만은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국어 어법에는 진정한 가상문이 없다는 주장은 성립될 수 있다.
제11장에서는 양태사 ‘將’의 용법을 나열하였다. ‘將’은 추측의 의미를 지니는데 양수다(楊樹達)는 『 詞詮』 에서 『 孟子(맹자)』 에 나오는 용례를 인용했다. 양수다(楊樹達)가 인용한 예문은 매우 정확하다. 그러나 예문 1개로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데 고문헌에서 이에 해당하는 용례를 찾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且’를 통해 방증을 얻을 수 있다. ‘且’는 추측의 의미에 상용된다. 가령 『 戰國策ㆍ齊策三(전국책ㆍ제책3)』 의 ‘福三國之君, 兼二周之地, 擧韓氏, 取其地, 且天下之

작가정보

저자(글) 메이광

저자 : 메이광
(梅廣)
1938년 홍콩 출생, 11세 타이완 이주
臺灣 東海大學 中文系 졸업
國立臺灣大學 中文硏究所 석사
Harvard University 언어학 박사
國立臺灣大學 中文系 교수
國立淸華大學 中國語文學系 교수 겸 학과장
國立淸華大學 語言學硏究所 교수
國立淸華大學 석좌교수(講座敎授)
(현) 國立淸華大學 명예퇴임교수
주요 연구분야 및 논문 : 언어학이론, 중국어문법, 중국소수민족언어. 퇴임 후 선진사상문헌 연구에 주력. 유학(대학, 중용), 도가(노장), 명가(공손용자) 등 논문 다수

역자 : 박정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 취득
臺灣國立淸華大學 語言學硏究所 박사학위 취득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國立臺灣師範大學 華語文硏究所 방문학자
Harvard-Yenching Institute 방문학자
Stanford University,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방문학자
(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주요 연구분야 : 중국어문법, 언어학이론, 언어유형론
주요 논문 : 「중국어 동사구의 변이적 구조 고찰을 통한 언어변화론 연구」,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의 유형적 변화와 문법체계의 발전」, 「중국어 상 체계의 언어유형적 특성 고찰: 완정상으로의 문법화 경로에 놓인 변이를 중심으로」 외 다수

역자 : 백은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 취득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박사학위 취득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방문학자
(현) 인하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주요 연구분야 : 고대중국어문법, 언어유형론
주요 논문 : 「선진시기 이중목적어 구문의 의미지도와 논항 배열 규칙」, 「고대 중국어의 지시사 형식과 인지 범주의 상관성」, 「유형학적 관점에서 본 고대 중국어 관계절의 어순과 기능 특징」 외 다수

역자 : 조은정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北京大學 中文系 석사학위 취득
北京大學 中文系 박사학위 취득
臺灣 中央硏究院 방문연구원
(현)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조교수
주요 연구분야 : 고대중국어문법, 출토문헌문법
주요 저서 및 논문 : 『죽간에 반영된 「노자」의 언어』, 「지시사 是의 연결기능으로의 변천 경로 연구」, 「상고중국어 시기 近指代詞 용법과 그 변천 연구」 외 다수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고대중국어 문법론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고대중국어 문법론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고대중국어 문법론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