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집은 그리움이다 :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최효찬 , 김장권 지음
인물과사상사

2019년 08월 01일 출간

종이책 : 2018년 11월 30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37.79MB)
ISBN 9788959065295
쪽수 396쪽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전자책 화면에 표기된 주석 등을 모두 읽어 줍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교보 ebook' 앱을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야 이용 가능합니다. (Android v3. 0.26, iOS v3.0.09,PC v1.2 버전 이상)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3,300원

쿠폰적용가 11,97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 집건축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프롤로그 - 6

제1장 집에 대한 그리움

집은 어떤 곳인가? - 17
영원한 집은 어디에 있는가? - 22
오두막집에서 행복 찾기 - 28
작은 집을 짓다 - 34
영혼이 따뜻해지는 집 - 39
외가에 대하여 - 45
고택, 그 오래된 미래 - 51
나바렝스에 살고 싶다 - 56

제2장 집을 위한 인문학

그리움이 완성되어 집이 되면 - 65
이황, 이상향을 짓다 - 71
철학으로 짓는 집 - 78
산수간에 집을 짓고 - 85
두보의 집은 어디인가? - 90
르코르뷔지에의 작은 집 - 96
생텍쥐페리의 유년의 집 - 101
몽테뉴의 서재가 있는 집 - 107
데카르트의 철학을 잉태한 집 - 114

제3장 나의 집 순례기

나는 33번을 이사했다 - 123
기억 속의 영원한 고향집 - 129
3남매가 살았던 자취방의 기억들 - 138
무작정 상경과 얹혀살기 - 143
지상에서 가장 큰 방 - 148
전셋집과 하숙집에 대한 추억 - 155
전세로 신혼 생활을 시작하다 - 163
내 집을 마련하다 - 169
다시 전세살이를 하다 - 175
단독주택에 살다 - 179
빌라와 아파트에 살다 - 186
다시 내 집을 마련하다 - 191
다시 아파트에 살다 - 197
정주의 꿈을 꾸다 - 201

제4장 집을 짓다

토지를 매입하다 - 216
자금을 마련하다 - 219
집을 설계하다 - 222
땅을 측량하다 - 252
설계도를 심의받다 - 256
시공을 맡기다 - 260
착공을 하다 - 263
당호를 짓다 - 268
상량식을 하다 - 273
기와를 얹다 - 277
창문을 달다 - 281
보일러를 놓다 - 284
도배와 장판을 하다 - 287
현판식을 하다 - 290
책을 버리다 - 293
대문을 놓다 - 296
담장을 두르다 - 301
준공검사를 받다 - 305
건축물대장을 받다 - 308

제5장 내가 만든 한옥 이야기

관훈재 : 보전과 발전을 동시에 품다 - 318
#200 : 들어가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 330
일우재 : 하루도 넉넉하고 햇살도 넉넉한 집 - 342
일연재와 교월당 : 자연을 닮은 집, 달빛이 밝은 집 - 354
건명원 : 사람이 나무를 키우고 나무가 사람을 키우는 집 - 366
채효당 : 세상에서 가장 큰 집 - 378

에필로그 - 390
참고문헌 - 394

헤세에게 방랑은 그의 삶이 되었고 문학이 되었다. 그는 방랑의 정신을 문학에 투영했다. 그는 『방랑』에 소개한 「찬란한 세계」라는 시에서 “완만하게 굽어진 달빛 속의 하얀 길……나는 영원히 그곳을 나의 집으로 삼으리라”고 다짐한다. 그러고 보면 집을 떠나는 것도 인간에게는 근원적인 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헤세는 집에서도 본질을 추구하는 삶을 살았지만, 집을 떠남으로써 경계를 허물며 더 본질적인 문학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과연 집은 무엇일까?’ 「영원한 집은 어디에 있는가?」(본문 27쪽)

“아버지가 경성과 같은 타관에 가서 몇 날이고 몇 달이고 돌아오지 않는 밤이면 예닐곱 살 백석은 여우난골이라는 깊은 산골의 짐승 소리와 바람 소리에 놀라 어머니가 깔아놓은 이불 속으로 자지러들곤 했다.” 시인 백석의 평전을 쓴 안도현 시인은 백석의 어린 시절 풍경을 이렇게 묘사한다.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천둥이 치고 폭풍우가 내리는 여름날 밤이나 눈보라가 매섭게 치는 겨울밤 혼자 방 안에 있다면 말이다. 우리는 아파트 주거 문화에 길들여지면서 인디언 소년처럼 따뜻한 영혼을 죄다 잃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할아버지와 할머니와 함께 살면서 따뜻한 영혼을 키울 수 있었던 인디언 소년은 이 지상 어디에서 만날 수 있을까? 「영혼이 따뜻해지는 집」(본문 44쪽)

황상은 어린 제자였지만 스승과 은자의 삶에 이심전심으로 통했던 것이다. 황상은 스승의 염원을 담아 “구름과 안개 노을이 포근히 덮어 가려주고, 가는 대나무숲과 향기 짙은 꽃들이 푸름과 향기를 실어주는 곳”에 은자의 거처를 마련하고 스승의 가르침을 실천에 옮겨 시골 소년에서 훌륭한 시인으로 성장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일속산방에 살며 부패한 사회를 고발하는 풍자의 다산 시풍을 계승하고, 『치원유고(梔園遺稿)』라는 문집을 남겼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인연이며 삶이런가. 「그리움이 완성되어 집이 되면」(본문 68쪽)

생텍쥐페리가 어머니와 보낸 유년 시절은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던 것 같다. 유년 시절은 부모와 자녀가 얼마나 아름다운 기억을 공유하느냐에 따라 부모와 자녀 사이의 유대감이 결정된다고 한다. 생텍쥐페리는 전쟁 중 생사를 넘나드는 상황에서도 유년 시절의 기억들을 끄집어내 마음의 평화를 얻으면서 힘겨운 나날을 버텨낼 수 있었다. 생텍쥐페리는 언제나 유년 시절을 보낸 집에 대한 그리움과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간직하고 있었다. 「생텍쥐페리의 유년의 집」(본문 105쪽)

이 난로방이 바로 데카르트의 철학이 잉태된 곳이다. 그는 시골의 작은 난로방에서 ‘계시의 날’을 경험했다면서 앞으로 자기 혼자의 힘으로 새로운 기초 위에 학문을 세우려고 결심한다. 이날 밤 그는 세 가지 꿈을 꾸고 나서 신이 자신에게 진리의 성령을 보낸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이 철학 전체를 홀로 새롭게 하는 소명을 부여받았다고 믿었다. 그리고 이것을 일생 중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여겼다. 그는 감격에 넘쳐 이탈리아 중부 지방인 로레토(Loreto)의 성모수녀원을 순례하고 서언(誓言)하기로 마음을 먹는다. 즉, 난로방에서 성령 체험을 한 후 과학자가 아닌 철학자의 길을 가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데카르트의 철학을 잉태한 집」(본문 116쪽)

이문열은 단편소설 「다시 사라진 것들을 위하여」에서 사라진 것들로 화전, 채미, 서리, 천렵(川獵) 등을 꼽는다. 이 중에서 서리나 천렵은 어린 시절의 경험으로 남아 있다. 특히 천렵은 아버지와 형들과 함께 횃불을 들고 밤에 물고기를 잡으러 강가에 갔기에 생생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이문열의 소설에서처럼 수천 년을 이어오던 문화는 갑자기 단절되었고 사라져갔다. “혹은 취직을 해서 혹은 결혼으로 한 번 그들이 사라져버리자 뒤를 이을 세대는 없었다.” 이 소설에서처럼 정말로 감쪽같이 사라져갔다. 아버지도 사라져갔고 집도 사라져갔고 문화도 사라져갔다. 사람들도 사라져갔다. 「기억 속의 영원한 고향집」(본문 129~130쪽)

유목민처럼 정주하지 못하고 여러 집을 전전하다 보니 이상한 규칙이 생겼다. 지금까지 내가 살던 집 혹은 방을 방문한 친구들은 친구의 인연으로 이어져오고 있다는 점이다. 내 고향집이나 고교 시절과 대학 시절의 자취방이나 하숙집에 온 친구들은 많은 시간이 흘렀어도 여전히 만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집은 인연의 끈이 이어지는 출발지가 아닌가 싶다. 「전셋집과 하숙집에 대한 추억」(본문 162쪽)

설계를 하면서 수없이 많은 집을 짓고 부수는 과정을 거쳤다. 잠을 잘 때에도 평면도가 눈에 아른거렸다. 처음 당구를 배우는 사람이 잘 때도 당구공이 눈에 보인다는 말처럼 말이다. 지하와 지상 1층으로 하려다 지상 1층과 2층으로, 다시 지하 6평, 지상 1층 18평, 2층 8평

집을 위한 인문학
“집은 우리의 최초의 세계다”

집은 단순히 거주하는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성장사와 함께하는 공간이다. 집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영혼을 따뜻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 자취방에서 저 자취방으로, 이 빌라에서 저 빌라로, 이 아파트에서 저 아파트로 옮겨다니며 살아왔다. 한곳에서 오랫동안 거주하는 정주(定住)의 삶이 아니라 초원의 목동처럼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유목(遊牧)의 삶을 살아왔다. 인간의 성장사가 여러 집에서 살았던 흔적들을 모자이크하듯이 구성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우리는 유목민처럼 여러 집을 전전하면서 우리가 갖고 있던 삶의 기억들을 축적하지 못하고 흩날려버렸다. 집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도 모두 가뭇없이 사라졌다. 집이 사람들과 교류하는 공간이 되지 못했으며, 인문학의 향기가 피어나지 못했다. 그렇다면 21세기 노마드 시대에 정주의 삶은 가능한가? 또 인간에게 집은 무엇인가? 집은 인간의 영원한 노스탤지어인가?
프랑스 철학자인 가스통 바슐라르는 “집은 우리의 최초의 세계다. 그것은 정녕 하나의 우주다”라고 말했다. 바슐라르는 우리가 어머니의 자궁에 있을 때 무의식 속에 형성된 이미지로 어떤 공간에 감싸이듯이 집에서 안온함과 평화로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만큼 집은 인간의 성장에 크나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축가 승효상은 “건축은 집을 짓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오히려 집은 하부구조이며 그 집 속에 담기는 우리들의 삶이 그 집과 더불어 건축이 된다”라고 말했다. ‘행복의 건축’이 되는 관건은 건축 이후에 그 집에 깃들어 살아가는 이들의 숙제라는 말이다. 집의 하드웨어는 시공사가 만들지만, 그 집을 완성시키는 몫은 그 집에 깃들어 사는 사람이라는 말과 같다.
인문학자인 최효찬과 한옥 건축가인 김장권이 함께 쓴 『집은 그리움이다』는 우리가 정말로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이야기다. 최효찬은 결혼한 이후 지금까지 23년 동안 12번을 이사했고, 10번 이상을 아파트에서 살았다. 정확히 2년도 안 돼 한 번꼴로 이사를 한 셈이다. 그런데 최효찬은 아파트에서 오랫동안 살았지만, 그곳에서 살았던 기억은 별로 남아 있지 않다고 말한다. 아파트는 땅이 아니라 허공에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지 혹은 획일적인 공간 때문인지 몰라도 이사를 하면 그곳에서 살던 기억마저 덩달아 사라져버렸다는 것이다. 삶이 휘발유처럼 싹 날아가버린다는 것이다.
최효찬은 『집은 그리움이다』에서 “인간에게 집은 과연 무엇이며, 어떤 곳인가?”라고 묻는다. 집에는 그 집만의 고유한 이야기가 있다. 각기 다른 얼굴을 하고 있는 집이라면 주인의 취향과 그 집을 지으면서 고심한 흔적들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마당의 꾸밈이나 대문의 위치에서도 그 집만의 고유한 풍경이 펼쳐져 있다. 다시 말해 집은 개인적인 취향이나 기호에 따라 개인의 의지로 짓거나 선택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이어야 하며, 그 집에는 가족의 정과 추억과 그리움이 오롯이 쌓여야 한다.

우리에게 집은 무엇인가?

대부분 우리는 아파트라는 공동 주거 단지에서 살아간다. 누에고치 집처럼 지어진 아파트는 그야말로 베드타운의 전형이다. 아파트는 모든 게 잘 갖추어져 있다. 우리는 아파트에 들어와 밥을 먹고 씻고 잠을 자면 된다. 다시 아침에 일어나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가기에 최적화된 구조가 아파트다. 우리가 흔히 말할 때 홈(home)은 안식의 거처로서 가족의 정이 느껴지는 공간을 의미한다면, 하우스(house)는 건축물의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서 집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아파트는 집을 홈이 아니라 하우스의 기능으로 전락시킨 상징적인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우리나라 아파트 주거 문화는 노동의 지속적인 재생산에 합리적인 주거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곳에는 우리의 기억이 축적될 수 없다.
데이비드 하비는 1972년 미국 신도시 세인트루이스의 프루이트-이고 주거 단지 폭파 철거를 모더니즘적 건축물의 상징적 죽음이라고 말했다. 하비는 프랑스 사회학자인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주의를 계승했는데, 르페브르는 주거 공간이 자본주의적 생산을 새로운 지역으로 확대시키는 하나의 주요한 상품으로 기능한다고 보았다. 또 자본주의는 오직 공간을 점령하고, 공간을 창조함으로써만 생존해왔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이미 50여 년 전에 거대한 아파트를 폭파한 것인데, 우리나라 신도시들도 언젠가 폭파되는 운명을 맞지 않으리라고 장담할 수 있을까? 전국에 우후죽순처럼 솟아나는 아파트 단지들이 수십 년 후에 사회적인 재앙이 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드는 이유다.
퇴계 이황은 고향에 집 다섯 채를 지었다. 퇴계는 단순히 집을 소유한 건축주가 아니라 집을 짓는 데 그의 성리학적 세계관을 집짓기에 적용시키고, 직접 설계도를 그리는 등 탁월한 안목을 보여주었다. 30세 때 지산와사를 짓고 자신이 거처하는 방을 선보당이라고 한 이후 46세 때 양진암, 49세 때 한서암, 50세 때 계상서당, 마지막으로 61세 때 정면 3칸, 측면 1칸의 아주 소박한 규모의 도산서당을 끝으로 기나긴 건축 여정을 마감했다. 퇴계의 집짓기에는 이상적인 집을 마련하려는 평생의 소원이 담겨 있었다. 퇴계는 땅을 구하고 집을 짓는 데 자신의 철학과 재산을 모두 투입했다. 자신의 마음에 드는 터를 구하고 그 기쁨을 시로 짓고 노래하고 이를 제자와 아들에게 보여주었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따르면, 옛 선비들은 산수간에 집을 짓고 사는 게 이상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선비들은 별장을 마련하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결국 계획만 세우다 늙고 말았다는 것이다. 서유구는 76세 때 광여루를 짓기도 했다. 누각의 기문(記文)은 당시 최고의 문장가인 홍길주(洪吉周)에게 부탁했다. 여기서 3년 더 살다가 80세에 세상을 떠났다. 서유구는 임원(林圓)에서 우아하게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했다. 서유구가 말하자고 하는 것은 전원에서 집을 짓고 행복한 삶을 꿈꾼다면 지금 당장 집을 지으라는 말이 아닐까 싶다.
생텍쥐페리는 늘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유년 시절로 돌아가려고 했다. 생텍쥐페리가 실종되기 전 마지막으로 비행한 곳도 유년 시절을 보낸 집 인근이었다. 생텍쥐페리는 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지만, 귀족인 친척들의 저택에서 번갈아 더부살이를 했다. 그는 웅장하고 고색창연한 성(城)의 안팎에서 뛰놀며 토끼, 거북, 달팽이, 여우 같은 동물들을 키우며 길들일 수 있었다. 동물 길들이기는 그가 20대 후반에 조종사로 취직해 사하라 사막에서 근무할 때까지 이어졌다. 그는 영양이나 카멜레온, 사막의 작은 여우 등을 길동무로 삼고 길들이기도 했다. 그가 어머니와 보낸 유년 시절은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던 것 같다. 전쟁 중 생사를 넘나드는 상황에서도 유년 시절의 기억들을 끄집어내 마음의 평화를 얻으면서 힘겨운 나날을 버텨낼 수 있었다. 생텍쥐페리는 언제나 유년 시절을 보낸 집에 대한 그리움과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간직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다산 정약용의 제자인 황상의 일속산방, 주자의 무이정사, 이언적의 독락당, 조식의 산천재, 김장생의 임리정, 송시열의 팔괘정, 정약용의 다산초당, 두보의 완화초당, 르코르뷔지에의 통나무 별장과 어머니의 집, 몽테뉴의 서재가 있는 집, 데카르트의 철학을 잉태한 집 등은 모두 집이 인간에게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 집에서 이들은 자신들의 사상과 철학과 도덕을 짓고 살았다.

“나는 33번을 이사했다”

최효찬은 고향집을 떠난 이후 고등학생 시절을 보낸 경남 진주 옥봉남동과 상대동의 자취방, 대학생 시절을 보낸 서울 개화동과 등촌동과 창천동과 연희동의 자취방, 창천동과 대신동의 하숙집, 대학 졸업 이후 대신동의 월세방, 신혼 생활을 시작한 경기도 고양시 화정동의 아파트, 생애 첫 번째 내 집인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빌라, 두 번째 내 집인 서울 강서구 가양동의 아파트,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아파트를 거쳐 서울 홍은동과 은평구의 아파트, 은평한옥마을에 집을 짓고 채효당에 깃들기까지 4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이제까지 최효찬은 무려 32번이나 집을 옮겨다녔다. 그리고 2017년 7월 입주한 채효당은 고향집을 떠난 이후 33번째 맞은 집이다.
최효찬의 고향집은 불행하게도 1987년 합천댐이 건설되면서 수몰되었다. 고향집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향에 가면 합천호 그 어디쯤에 있다고 상상만 할 뿐 이제는 사진으로밖에 볼 수 없다. 고향집은 합천 황강 지천이 있던 옥계초등학교 바로 옆에 있었다. 아버지가 지은 이 고향집은 안채와 사랑채, 잠실 등 4채로 구성되어 있었고 좌우로 남새밭이 있었다. 잠실 앞쪽에 작은 가게가 있었고, 안채 뒤쪽과 집 앞쪽, 남새밭에는 감나무가 일곱 그루 정도 있었다. 마당에 배나무도 두 그루 있었다. 마당 앞에는 탱자나무가 울타리를 치고 있었고, 남새밭에는 구기자나무가 울타리 삼아 심어져 있었고, 초피나무와 감나무도 있었다.
최효찬은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고향집을 떠나 진주로 나간다. 옥봉남동의 단칸방에 누나와 형과 함께 살았는데, 이 집이 고향집을 떠난 이후 첫 번째 집이다. 누나는 공장에서 야간과 주간을 번갈아 근무하면서 두 남동생의 뒷바라지를 했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3남매가 자취 생활을 한 것인데, 누나가 어떻게 남동생들과 한 방에서 잠을 자고 생활했을지 상상할 수가 없다.
대학에 진학한 최효찬은 자취방 한 칸 얻을 돈이 없는 고학생이었다. 도봉구 안방학동에 있는 고등학교 친구의 큰 형님 집에 잠시 친구와 한방을 쓰기로 했는데, 이 집이 고향집을 떠난 이후 다섯 번째 집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최효찬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비교문학) 학위를 받았다. 17년간 『경향신문』 기자로 일하다 2006년 신문사를 그만두고 전업작가로 살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전문연구원이자 자녀경영연구소 소장이다. 2015년에는 한국수필가협회가 주최한 수필 신인상 공모에 당선되어 수필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작가이자 칼럼니스트로 삼성경제연구소 SERI CEO에서 ‘명문가의 위대한 유산’을 주제로 강의를 하며 우리 사회의 리더들에게서 큰 호응을 얻었다. 2011년 독특하고 열정적인 글쓰기로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가 선정한 ‘한국의 저자 300인’에 선정되었다.
저서로는 우리나라와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과 독서교육 비법을 명쾌하게 분석해 베스트셀러가 된 『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 『5백년 명문가의 독서교육』, 『5백년 명문가, 지속경영의 비밀』,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 『세계 명문가의 독서교육』, 『세계 명문가의 공부 습관』, 『현대 명문가의 자녀교육』, 『세계 명문학교 1% 인재들의 공부법』, 『세상을 뒤흔든 위인들의 좋은 습관』 등이 있다.
그 외 『나에게 돌아오는 시간』, 『서울대 권장도서로 인문고전 100선 읽기』, 『지금 실천하는 인문학』, 『최효찬의 아들을 위한 성장 여행』, 『마흔, 인문학을 만나라』, 『잠자기 전 30분 독서』, 『한국의 메모 달인들』, 『하이퍼리얼 쇼크』, 『장 보드리야르』, 『일상의 공간과 미디어』, 『테러리즘과 미디어』 등이 있다.

저자(글) 김장권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고려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그 후 건축과 관계되지 않는 사업은 하지 않기로 결심하고 본격적으로 한옥을 짓기 시작한 지 20년이 넘었다. 북촌HRC 대표로 한옥 리모델링, 신축 설계, 시공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시 은평한옥마을 건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200여 채의 한옥을 건축했으며, 한옥 건축가들이 사찰 위주로 짓는 데 반해 대부분 가정집을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해왔다.
2008년 제1회 한국 내셔널트러스트 한옥전에 ‘현우재(玄遇齋)’가 선정되었고, 2009년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 보존상 디자인·시공 부문(UNESCO ASIA-PACIFIC HERITAGE AWARD Designers, General Contractors)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2011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준공 부문 올해의 한옥 대상에 ‘가회동 L주택’, 2012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건축 부문 올해의 한옥상에 ‘관훈재’, 2013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건축 부문 올해의 한옥상에 ‘#200’이 선정되어 3년 연속 한옥상을 수상했다.
2015년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준공 부문 본상에 ‘일연재와 교월당’, 2018년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준공 부문 본상에 ‘채효당’이 선정되었다. 그 외 주요 작품으로 일우재·만경재·안헌(이상 주택), 건명원(교육기관), 알서림(화랑), e-믿음치과(현대 한옥 치과 1호), 와노和の(일식집), 샤떼뉴(레스토랑), 소담·융(이상 카페), GS홈쇼핑 복합문화센터 등을 건축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집은 그리움이다 :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집은 그리움이다 :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집은 그리움이다 :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인문학자와 한옥 건축가의 살고 싶은 집 이야기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