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 서정주 전집 1 시
2018년 06월 27일 출간
국내도서 : 2015년 06월 3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15.52MB) | 약 5.2만 자
- ISBN 9791188810406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쿠폰적용가 12,6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번에 출간된 미당 시전집(전5권)은 첫 시집 『화사집』(1941)부터 마지막 시집 『80소년 떠돌이의 시』(1997)까지 15권의 시집과 『서정주문학전집』(일지사, 1972) 제1권의 신작시 55편을 포함, 총 950편의 시를 수록한 미당 사후 최초의 정본이다. 미당 연구자와 제자로 이루어진 간행위원회(이남호, 이경철, 윤재웅, 전옥란, 최현식)는 각 시집의 초판을 저본으로 삼되, 시인의 개작을 반영하고 시작 노트, 최초 발표지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적이고 면밀하게 검토하여 시인의 의도를 최대한 살리고자 했다.
제1시집 화사집花蛇集
자화상
자화상 · 27
화사
화사花蛇 · 31 문둥이 · 33 대낮 · 34 맥하麥夏 · 35 입맞춤 · 36 가시내 · 37 도화도화桃花桃花 · 38 와가의 전설 · 39
노래
수대동水帶洞 시 · 43 봄 · 45 서름의 강물 · 46 벽壁 · 47 엽서 · 48 단편斷片 · 49 부흥이 · 50
지귀도 시
정오의 언덕에서 · 53 고을나高乙那의 딸 · 54 웅계雄鷄 1 · 56 웅계雄鷄 2 · 57
문
바다 · 61 문門 · 63 서풍부西風賦 · 64 부활 · 65
제2시집 귀촉도歸蜀途
밀어
밀어密語 · 71 거북이에게 · 72 무제(여기는 어쩌면…) · 74 꽃 · 75 견우의 노래 · 76 혁명 · 78 석굴암 관세음의 노래 · 79 골목 · 81
귀촉도
귀촉도歸蜀途 · 85 문 열어라 정 도령아 · 87 목화 · 88 누님의 집 · 89 푸르른 날 · 90 고향에 살자 · 91 서귀로 간다 · 92 노을 · 94
멈둘레꽃
소곡小曲 · 97 행진곡 · 98 멈둘레꽃 · 99 만주에서 · 100 밤이 깊으면 · 101 조금 · 105 역려逆旅 · 106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 111
제3시집 서정주시선
시인의 말 · 119
무등을 보며 · 121 학 · 123 국화 옆에서 · 125 아지랑이 · 126 신록 · 128 추천사 ?韆詞 · 130 다시 밝은 날에 · 132 춘향유문春香遺文 · 134 나의 시 · 135 풀리는 한강가에서 · 136 내리는 눈발 속에서는 · 138 광화문 · 140 입춘 가까운 날 · 142 2월 · 143 꽃 피는 것 기특해라 · 144 무제(오늘 제일 기뿐 것은…) · 145 기도 1 · 146 기도 2 · 147 상리과원上里果園 · 148 산하일지초山下日誌抄 · 150
제4시집 신라초新羅抄
시인의 말 · 155
신라초
선덕여왕의 말씀 · 159 꽃밭의 독백 · 161 사소의 편지 1 · 163 사소의 두 번째 편지 단편斷片 · 165 신라의 상품商品 · 167 구름다리 · 168 백결가百結歌 · 170 해 · 172 노인 헌화가 · 173
고조
고조古調 1 · 179 고조古調 2 · 180 진주 가서 · 181 숙영이의 나비 · 182 기다림 · 183
귓속말
재롱조 · 187 귓속말 · 188 뚜쟁이조 · 189 어느 유생儒生의 딸의 말씀 · 190 석류개문石榴開門 · 191 오갈피나무 향나무 · 192 진영이 아재 화상 ?像 · 194
무제
가을에 · 199 대화 · 201 다섯 살 때 · 203 무제(마리아, 내 사랑은…) · 204 사십 · 205 무제(종이야 될 테지…) · 206 무제(하여간 난 무언지…) · 208 무제(뺨 부비듯 결국은…) · 210 어느 날 오후 · 212 시월유제十月有題 · 213 어느 늦가을날 · 214 추일미음秋日微吟 · 215 단식 후 · 216 한국성사략 韓國星史略 · 218 두 향나무 사이 · 219
인연설화조
편지 · 223 여수旅愁 · 225 바다 · 227 근교의 이녕 속에서 · 229 쑥국새 타령 · 230 인연설화조 · 231
제5시집 동천冬天
시인의 말 · 237
동천
동천冬天 · 241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 242 피는 꽃 · 244 님은 주무시고 · 245 모란꽃 피는 오후 · 247 내 영원은 · 249 내 그대를 사랑하는 마음은 · 250
추석 · 251 눈 오시는 날 · 253 마른 여울목 · 255 무無의 의미 · 257 동지冬至의 시 · 259 저무는 황혼 · 261
고대적 시간
선운사 동구 · 265 삼경三更 · 266 재채기 · 267 우리 님의 손톱의 분홍 속에는 · 269 여자의 손톱의 분홍 속에서는 · 271 비인 금가락지 구멍 · 273 수로부인의 얼굴 · 275 영산홍 · 278 봄볕 · 279 고요 · 280 무제(매가 꿩의 일로서…) · 282
내가 돌이 되면 · 283 외할머니네 마당에 올라온 해일 · 284 어느 날 밤 · 285 한양호일漢陽好日 · 286 산골 속 햇볕 · 287 전주우거全州隅居 · 288 중이 먹는 풋대추 · 289 마흔다섯 · 291 실한 머슴 · 292 가벼히 · 294 연꽃 위의 방 · 295 고대적 시간 · 296
여행가
여행가旅行歌 · 301 봄치위 · 303 내가 또 유랑해 가게 하는 것은 · 304 칡꽃 위에 버꾸기 울 때 · 305 일요일이 오거든 · 306 무제(몸살이다…) · 308 석류꽃 · 309 어느 가을날 · 311 산수유 꽃나무에 말한 비밀 · 312 경주소견慶州所見 · 313 강릉의 봄 햇볕 · 315 무제(피여. 피여…) · 316 나는 잠도 깨여 자도다 · 318 나그네의 꽃다발 · 319
서정주문학전집
시인의 말 · 323
예시
부처님 오신 날 · 327 조국 · 329 3·1아, 네 해일 그리며 살았었느니 · 331 쉰세 돌 3·1절에 · 333 어머니 · 335 신년 유감 · 337 바닷물은 반참 때 · 340 찬가 · 342 이 신문에서는 · 344 영령들이여 · 346 범산 선생 추도시 · 348 4·19혁명에 순국한 소년 시인 고 안종길 군의 영전에 · 350 찬성 · 352 말에게 부쳐 · 354 다시 비정의 산하에 · 356 8·15의 은어隱語 · 358
근작 시편
사경四更 · 363 방한암方漢岩 선사 · 364 단상斷想 · 365 모란 그늘의 돌 · 366
백일홍 필 무렵 · 367 서경敍景 · 368 역사여 한국 역사여 · 369 이런 나라를 아시나요 · 371 한라산 산신녀 인상 · 373 우리 데이트는 · 375 무궁화 같은 내 아이야 · 376 내 아내 · 378 뻐꾸기는 섬을 만들고 · 379 춘궁 · 381 꽃 · 382 음력 설의 영상影像 · 384 나룻목의 설날 · 386 보릿고개 · 388 백월산찬白月山讚 · 389 내 데이트 시간 · 390 할머니의 인상 · 392 남해 보타낙가 산정 · 393 소연가小戀歌 · 394 애기의 웃음 · 395 기억 · 396 이조 백자를 보며 · 397 겨울 황해 · 398 석공 1 · 401 무제(네 두 발의 고무신이…) · 402 첫 벌 울음소리 바윗가에 들려서 · 403 어느 신라승이 말하기를 · 404 초파일 해프닝 · 405 추운 겨울에 흰 무명 손수건으로 하는 기술奇術 · 406 내가 심은 개나리 · 410 무제(“솔꽃이 피었다”고…) · 411 남은 돌 · 412 바위옷 · 413 싸락눈 내리어 눈썹 때리니 · 414
밤에 핀 난초꽃 · 415
으로 가는 달처럼…』, 겨레의 과거와 자신의 과거에서 소중한 것들을 찾아낸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와 『안 잊히는 일들』, 고희를 넘긴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세상을 굽어보고 보듬어 안으면서 자신의 삶을 시로 만든 『팔할이 바람』, 『산시』, 『늙은 떠돌이의 시』, 『80소년 떠돌이의 시』 등 미당이 남긴 많은 시들은 한국시의 궁륭천장이 되었고, 미당이 있음으로 해서 한국문학은 한층 풍요로워졌다. 미당은 우리말을 가장 능수능란하고 아름답게 구사한 시인이며 그의 시에는 우리 겨레의 마음이 가장 잘 표현되어 있다. 미당의 시는 20세기 한국인들이 받은 가장 큰 선물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정보

저자 : 서정주
저자 서정주는 1915년 6월 30일 전북 고창 선운리에서 태어났다. 중앙불교전문학교(현 동국대학교)에서 공부했고,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된 후 ‘시인부락’ 동인으로 활동했다. 『화사집』 『귀촉도』 『서정주시선』 『신라초』 『동천』 『질마재 신화』 『떠돌이의 시』 『서으로 가는 달처럼…』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 『안 잊히는 일들』 『노래』 『팔할이 바람』 『산시』 『늙은 떠돌이의 시』 『80소년 떠돌이의 시』 등 모두 15권의 시집을 발표했다. 1954년 예술원 창립회원이 되었고 동국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2000년 12월 24일 향년 86세로 별세,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