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그곳에 있었다
2022년 05월 11일 출간
국내도서 : 2022년 04월 22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37.59MB)
- ISBN 979119773112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쿠폰적용가 9,45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진짜 삶이 되다!
마음에 쉼표 하나 던지면
그제야 보이는 것들을 찾아서
다시 설렘을 만나다
그날, 그때, 그곳
한 사람이 있습니다. “은퇴는 죽을 때나 하는 것!”이란 말을 술자리에서 호기롭게 말하던 사람입니다. 누구보다 현실주의자이기도 합니다. 그런 그 사람이 30여 년의 교직 생활이 끝나고 찾아온 현실의 위기 앞에서 처참히 무너졌습니다. 그리고 어쩔 수 없이 이 나라에서 도망쳐야 했습니다. ‘나’를 찾아 다시 시작하기 위해선 현실에서 도망칠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 도망칠 곳을 찾아 헤맨 끝에 그 사람이 찾은 곳은 몽골의 고비사막이었습니다. 코이카KOICA 봉사단원이 돼 몽골로 떠났던 것입니다. 그리고 몽골의 고비사막에서 거의 현지인처럼 생활했습니다.
이 책은 그 사람의 몽골살이 이야기입니다. 그 사람의 몽골살이를 통해 우리는 몽골의 생활 풍습, 몽골의 4계절, 몽골의 비경, 몽골의 문화, 몽골의 음식, 몽골의 전통 등 몽골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만나게 됩니다. 이 책에는 ‘나’를 찾아 도망친 그 사람이 몽골살이를 하며 겪게 되는 희로애락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그날, 그때, 그곳’에서 만난 그 사람의 설렘이 수줍은 첫사랑처럼 녹아 있습니다. 이 책은 그 사람의 리빙 다이어리인 만큼 그의 발자국을 따라갑니다. 한국을 떠나는 시점부터 몽골살이를 하며 겪게 되는 일상의 소소한 것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것이죠. 그 사람의 하루하루를 통해 우리는 순수했던 우리의 옛 모습을 떠올리며 행복한 미소를 짓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의 구성은 총 7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부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1부 무조건 떠나기_다시 시작이라 했다’에서는 코이카의 봉사단원이 돼 한국을 떠나 몽골의 울란바토르로 향하는 그 사람의 심정과 몽골에서의 생활이 그려집니다. 주로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의 기본적인 생활이 담겨 있습니다.
‘제2부 무조건 견디기_참고 견디면 좋은 날 온다 했다’에서는 그 사람의 생활 터전이었던 몽골의 고비사막에서의 생활이 전개됩니다. 고비의 4계절과 그와 관련된 일상이 그려집니다.
‘제3부 무조건 즐기기_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 했다’에서는 몽골의 비경이 소개됩니다. 천혜의 관광지는 물론이고 일반인은 갈 수 없는 몽골의 이곳저곳이 그곳의 전설이나 풍광과 함께 그려집니다.
‘제4부 무조건 적응하기_닥치면 닥치는 대로 사는 거라 했다’에서는 몽골인들의 생활상이 적나라하게 소개됩니다. 특히 고비사막 유목민들의 초원살이가 가감 없이 그려집니다. 몽골인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생활했던 그 사람의 웃픈 상황도 리얼하게 펼쳐집니다.
‘제5부 무조건 맞추기_사람 사는 곳은 어디든 똑같다 했다’에서는 몽골살이의 고달픔과 적응 과정이 애잔하게 그려집니다. 적응하기 힘든 몽골의 생활 풍습이나 음식 등에 맞춰 살아야 하는 그 사람의 고충이 잘 묘사돼 있습니다.
‘제6부 무조건 배우기_어디를 가든 문화가 힘이라 했다’에서는 몽골의 문화, 전통, 음식, 놀이가 자세하게 소개됩니다. 몽골인들의 애환이 담긴 문화를 통해 그들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7부 무조건 함께하기_만남은 곧 이별이라 했다’에서는 그 사람이 몽골인들과 함께한 여러 활동이 그려집니다. 함께하는 과정에서 알게 된 그들 나름의 갈등과 고민, 그리고 꿈이 그 사람의 애정 어린 시선으로 소개됩니다.
“몽골은 첫사랑의 설렘 같은 곳이다!”
그 사람이 몽골에 다녀와 자주 하는 말입니다.
제1부 무조건 떠나기_다시 시작이라 했다
‘나’를 찾아 떠나고 싶다 _ 영월의 마지막 밤ㆍ15 / 잔소리를 들으며 _ 떠날 준비ㆍ18 / 잘해보자 _ 낯선 곳으로의 여행ㆍ22 / 전화기가 필요해 _ 첫날 해야 할 일ㆍ25 / 걱정하지 말아요 _ 영하 30도 추위ㆍ28 / 낯선 곳에 정착하기 _ 현지 적응 교육ㆍ32 / 모르면 묻는 게 약이다 _ 인터놈ㆍ39 / 어디서 본 듯한 시내버스 _ 울란바토르의 시내버스ㆍ43 / 다시, 또, 시작이다 _ 초원의 해맞이ㆍ47 / 쫑파티는 음식과 함께 _ 수태채와 보쯔ㆍ51 / 사막으로 들어가는 날 _ 차강사르ㆍ54 / 첫날 밤 _ 고비에서의 첫날ㆍ58 / 어떻게 조언해야 할까 _ 몽골인들의 이모저모ㆍ61
제2부 무조건 견디기_참고 견디면 좋은 날 온다 했다
봄이 오는 길목에 겨울이 머물렀다 _ 고비의 봄맞이ㆍ69 / 미인은 봄가을에 죽는다 _ 고비의 봄ㆍ73 / 사막의 여름은 찬란했다 _ 고비의 여름ㆍ79 / 왔나 싶었는데, 벌써 가고 있었다 _ 고비의 가을ㆍ86 / 겨울은 겨울다워야 _ 고비의 겨울맞이ㆍ90
제3부 무조건 즐기기_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 했다
전통 마을에 가는 날 _ 칭기즈 후레ㆍ97 / 바다는 물이 말라 사막이 됐다는데 _ 일승망항의 모래언덕ㆍ101 / 여행답게 여행하다 _ 테를지의 가을ㆍ104 / 솔밭 사이로 강물은 흐르고 _ 쳉헤르의 온천ㆍ108 / 야생 양 ‘아르갈’을 만나다 _ 이흐나르트ㆍ112 / 신이 빚은 만년 설산에 가는 길 _ 타?복드올ㆍ117 / 슬픈 전설이 서려 있는 절벽을 만나다 _ 긴 수염 독수리의 고향 ‘욜린암’ㆍ124 / 사막 여행의 로망, 모래언덕에 오르다 _ 홍고르일스ㆍ128 / 사막의 불타는 절벽 _ 바양자그ㆍ132 / 작은 암석 지대 _ 바가가자린촐로ㆍ136 / 가을 숲길을 걷다 _ 복드항올ㆍ139
제4부 무조건 적응하기_닥치면 닥치는 대로 사는 거라 했다
수컷으로 산다는 것 _ 초원의 생명들ㆍ147 / 사막의 도랑에 차가 빠졌을 때 _ 보드카 술병의 쓰임새ㆍ152 / 사막에도 봄은 온다 _ 알탄쉬레 솜으로 가는 길ㆍ155 / 나름의 규칙과 멋과 풍류가 있었다 _ 게르에서의 삶ㆍ159 / 별을 보며 향수에 젖는 밤 _ 게르 이동 준비ㆍ163 / 무엇보다 먹는 게 최고 _ 몽골의 두레 음식ㆍ166 / 풀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간다 _ 유목민이 떠나는 이유ㆍ170 / 사막이 아니었다 _ 꽃 잔치ㆍ174
제5부 무조건 맞추기_사람 사는 곳은 어디든 똑같다 했다
겨울 풍경을 찾아서 _ 델그르 솜 가는 길ㆍ183 / 겨울나기 _ 어월린 이데슈ㆍ188 / 살육이 아니고 생존 _ 겨울 먹거리ㆍ192 / 손으로 잡고 뜯어야 제맛이지 _ 허르헉의 본래 맛ㆍ196 / 식사의 즐거움 _ 무탕국의 맛ㆍ199 / 닭갈비보다 맛있다 _ 양갈비 만들기ㆍ202 / 초원의 명약이 반찬이 되고 _ 할리아르ㆍ205
제6부 무조건 배우기_어디를 가든 문화가 힘이라 했다
문화 호사를 누리다 _ 초원의 가객 소소르바람ㆍ211 / 누가 문화의 불모지라 했나 _ 오페라 가수 공연ㆍ214 / 세브지드를 아시나요 _ 몽골 전통 춤 경연 대회ㆍ217 / 절절한 어머니 사랑 _ 미니 에즈 테메친ㆍ220 / 셰익스피어를 만나다 _ 리어왕ㆍ224 / 마실 것의 최상은 술이다 _ 초원의 비가ㆍ227 / 초원의 저항 시인 _ 초이놈의 시ㆍ230 / 놀이는 무엇보다 재미가 있어야지 _ 샤가이 놀이ㆍ234 / 이보다 더 즐거울 수 있을까 _ 차강사르 파티ㆍ236 / 전통을 만나다 _ 샤가이 하르와ㆍ241 / 승부가 날 때까지 _ 몽골 씨름 부크ㆍ244 / 최고 축제에 가다 _ 몽골 국가 나담ㆍ247 / 그들만의 작은 축제 _ 더르너고비 나담ㆍ251 / 미래를 전망하다 _ 스승의 날ㆍ258 / 사막을 걸어 보자 _ 하이킹 대회ㆍ262
제7부 무조건 함께하기_만남은 곧 이별이라 했다
재외 국민을 잘 보호할 수 있을까 _ 코이카 긴급 대피 훈련ㆍ269 / 사막의 이방인들 _ 생샨드의 국제협력봉사단원ㆍ273 / 서로 도우니 즐겁지 아니한가 _ 한ㆍ미ㆍ
ㆍ 울란바토르에는 한국 병원도 있고 한국 의사도 있어, 탈이 나도 그리 걱정할 필요가 없다. 타국에 나와 있으면 별것 아닌 일에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을 느낄 때가 많다는데, 내가 이때 그랬다. p.31
ㆍ 열차가 울란바토르역에 도착하고, 열차에서 내린 사람들은 열차에 오를 때와 마찬가지로 무덤덤한 표정으로 서로 아무 인사도 없이 제 갈 길로 가버렸다. 참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p.50
ㆍ 여기 사람들은 한국 교육을 부러워한다. 본받으려고 애쓴다. 하지만 내 눈에는 몽골인들이 하는 행동이 더 나아 보였다. 무슨 이유일까. 자꾸 한국식 교육을 묻는 이들에게 나는 무엇을 조언해야 할까. p.65
ㆍ ‘미인은 봄가을에 죽는다’는 말은 날씨가 따뜻해져도 겨울옷을 벗지 말고, 추위를 대비하라는 몽골인들의 충고다. 따스한 봄날 아이들은 가볍게 입고 뛰어놀아도 몽골 할머니들은 두꺼운 옷을 입고 다닌다. p.73
ㆍ 폭풍이 지나고 나면 사막 도시에는 꼭 문제가 생긴다. 심한 바람에 전기 공급 선로가 고장이 났는지 아침에 일어나 전등을 켜니 불이 들어오지 않았다. 앞으로 이틀간 아침 7시부터 저녁 9시까지 정전이라는 연락이 왔다. p.112
ㆍ 빨리빨리 움직이는 패키지여행에서 이런 숲길 산책은 어림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여행의 진정한 목적이 몸과 마음의 쉼이라고 생각하면, 울란바토르의 자이승은 정말 멋진 곳이다. p.143
ㆍ 몽골 속담에 ‘마시려고 해도 아야그도 없는 놈’이라는 말이 있다. 어느 집에도 초대받을 수 없는 막돼먹은 사람을 말한다. 그만큼 몽골에서 아야그는 소중하다. p.162
ㆍ 들판에서 가축을 기르는 유목민들도 겨울 준비를 한다. 주식이 고기인 그들은 우리와는 달리 추위가 오기 전에 고기를 저장하는 일을 한다. 이 작업을 ‘어월린 이데슈’라 한다. p.183
ㆍ 육신을 죽이는 것을 살육이라고 한다. 섬뜩한 말이다. 몽골의 초원에선 이런 말이 어울리지 않았다. 우리는 소나 말을 잡는다고 하지만, 몽골인들은 ‘아바흐’라 한다. 즉, 얻는다고 말한다. 삶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p.195
ㆍ 문화는 남과 비교해서 우열을 가리는 것이 아니다. 삶을 즐겁고 풍성하게 해주는 것이 문화다. 고비는 황량한 땅이지만 결코 문화의 불모지는 아니었다.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아름다운 곳이었다. p.216
ㆍ 항상 붙어사는 우리는 멀찌감치 떨어져서 근엄하게 절하지만, 멀리 떨어져 사는 이들은 어쩌다 만나 반가워서 그러는지 얼싸안는다. 생활 습관만큼이나 다른 우리와 이들의 세배 모습이다. p.240
ㆍ 아무튼 몽골 초원에서 동양의 3국(한ㆍ중ㆍ일)은 자국 언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현재 몽골인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언어는 한국어다. 이는 한류의 영향이지만, 경제적인 이유도 한몫을 한다. p.275
ㆍ 초원에 살면 많은 돈이 필요하지 않다. 도시가 문제다. 방 한 칸짜리 아파트 월세가 노동자 한 달 벌이에 해당하는 50만 투그릭이나 된다. 안락한 도시 생활을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p.292
ㆍ 이런 교통 시스템을 보면 위험할 수도 있겠다 생각하겠지만, 몽골인들은 순진하고 착해서 전혀 그렇지 않다. 타지에서 즐겁게 사는 방법은 그 동네 사람들을 믿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사는 방식으로 사는 것이다. p.297
ㆍ 몽골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면서, 우리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지금 우리나라의 학교나 가정에 아이들이 커가면서 버려지는 책들이 쌓여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을 조금만 가져와도 메마른 사막에 단비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p.316
ㆍ 사람들은 롭슨을 고비의 사나이라고 부른다. 이 친구는 거의 모든 일에 나선다. 금반지를 만드는 게 그의 주특기인데 소 잡고, 양 잡고, 파는 데도 동원된다. 심지어 내 컴퓨터실도 그가 다 만들었다. 이 사막에 와서 이런 친구를 만난 것은 정말이지 행운이다. p.324
작가정보
스무 살도 안 된 나이에 가난과 배고픔을 피해 기술병으로 육군 공병대에 들어갔다. 수원 북문 옆의 주공아파트 현장에서 불도저 기사 조수로 사회 첫발을 디뎠다. 형의 권유로 YMCA 호텔 학교를 수료한 뒤 조선호텔에 입사했다. 지금도 있는 최고급 식당, ‘나인쓰 게이트’에서 3년 넘게 일을 했다. 서울에 팔대문이 있고 그다음이 거기라는 뜻이다. 1980년 봄 최루탄 연기 자욱한 소공동 바닥을 떠나게 됐다. 기적적으로 고졸 학력 검정고시에 합격한 것이다. 신군부의 파격적인 교육정책 덕에 운 좋게 지금의 숭실대학교인 숭전대학교 자연과학계열에 입학했다. 졸업할 때 또다시 기적이 일어났다. 서울의 중등학교 순위고사에 합격한 것이다. 연희여자중학교에서 교사의 길을 시작했다. 말 많던 전교조의 전신 전교협을 기웃거렸다. 교단에서의 30년 세월이 휙 지나갔다. 정년 퇴임하고 머리가 하얘지려는 순간 코이카를 만나, 몽골의 고비사막에 가는 행운을 누렸다. 나는 참 운이 좋은 사람이다. 그래서 신이 보호하는 특별한 사람일 거라는 착각을 가끔 한다. 하이텔 시절부터 소금바우?sogmbau를 아이디로 썼다. 그 뒤로 지금껏 소금바우라는 이름으로 인터넷 여러 곳을 기웃거리며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말
“설렐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
몽골에서 많은 것을 보고, 듣고, 깨닫고 돌아왔습니다.
인생 2막을 시작하면서 참으로 소중하고 보람 있는 경험이었습니다.
몽골살이 덕분에 다시 설렐 수 있어서, 다시 시작할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지금의 나는 예전의 나보다 훨씬 더 새로움을 추구하는 사람이 됐습니다.
언제나 설레는 삶을 살며, 끊임없이 배우는 삶을 살고 있으니까요.
이 책은 몽골살이를 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감동하며 성장한 ‘나의 진짜 삶’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나에게 다시 설렘을 선물한 ‘그날, 그때, 그곳’에 대한 사랑 고백이기도 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