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2021년 04월 01일 출간
종이책 : 2021년 03월 03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13.40MB)
- ISBN 9791166812927
-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전자책 화면에 표기된 주석 등을 모두 읽어 줍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교보 ebook' 앱을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야 이용 가능합니다. (Android v3.0.26, iOS v3.0.09,PC v1.2 버전 이상)

쿠폰적용가 4,46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마음에 각인되는 완벽한 이야기 구성의 기술
2,4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통하는 “드라마 구성과 전개, 플롯 구성의 방법”이 담겨 있는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이하 『시학』)이 현대지성 클래식 제35권으로 독자들과 만난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당시 그리스인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던 ‘비극’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시의 본질과 원리를 제시한 책이다. 여기서 말하는 ‘시’는 비극, 희극, 서사시, 서정시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반복해서 강조한다. 플롯은 여러 행위와 사건을 깁고 엮어 통일된 전체로 구성한 것이며, 비극은 플롯을 바탕으로 감정의 정화(카타르시스)를 거쳐 성숙한 인격을 갖추고 미덕의 삶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했다.
플라톤은 감정을 깎아내렸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행위로 표현되는 감정에 인간의 성격과 사상이 나타나므로 미덕 실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켜 카타르시스(정화)를 경험하고, 그러면서 즐거움을 누리는 것이 비극의 고유한 목표라고 누차 강조했다. 비극을 통해 그러한 감정을 경험하면 실제 삶에서도 감정을 조절하여 선한 방향으로 물꼬를 트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당시 그리스인의 삶에 깊이 뿌리내린 비극과 서사시가 단순한 유흥거리가 아니라, 자신의 철학 체계인 윤리학 및 정치학과 닿아 있음을 발견한 그는 이 비극 요소가 삶에서 철학의 목표를 이루어나가는 인간의 행위라고 보았다. 『시학』은 인간이 살아가며 본능적으로 행하던 것 속에서 진리와 선의 실체를 발견하고, 철학이 추구하는 목표인 진정한 ‘행복’(ε?δαιμον?α, 유다이모니아)을 누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진가를 찾을 수 있다.
제2장 모방 대상
제3장 모방 방식
제4장 시의 기원과 발전
제5장 희극과 서사시의 역사
제6장 비극의 정의와 구성요소
제7장 비극의 플롯과 그 길이
제8장 플롯의 통일성
제9장 플롯의 필연성과 개연성
제10장 플롯의 종류
제11장 플롯의 요소: 반전, 인지, 수난
제12장 비극의 구성요소: 노래
제13장 플롯의 모방 대상
제14장 플롯의 목표: 공포와 연민
제15장 비극의 구성요소: 성격
제16장 인지
제17장 플롯의 구성: 장면, 개요, 에피소드
제18장 플롯의 구성: 갈등과 해결
제19장 비극의 구성요소: 사상
제20장 비극의 구성요소: 대사의 구성 부분
제21장 비극의 구성요소: 명사의 종류
제22장 대사가 갖추어야 할 특징: 명료성과 신선함
제23장 서사시
제24장 서사시와 비극
제25장 서사시에 대한 비판과 그 해결책
제26장 서사시보다 더 우월한 비극
해제
아리스토텔레스 연보
유다이모니아)을 누리는 하나의 길로 제시하는 점도 흥미롭다.
그러므로 우리가 소설이나 드라마를 통해 감정 변화와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고, 여기서 살아가는 데 놀라운 위안과 인사이트를 얻는 일은 어쩌면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다.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사람들은 그렇게 해왔으니까. 이 책은 대중이 찾고 환호하고 잊지 못하는 이야기를 어떻게 구성하는가를 알려준다. 인생에서 비극을 만나더라도 드라마 주인공처럼 살아가는 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