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2019년 12월 03일 출간
국내도서 : 2019년 10월 2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9.86MB) | 약 9.7만 자
- ISBN 9791155580684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쿠폰적용가 7,02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사회복지사 1급 합격의 지름길
에듀파인더 [스마트 사회복지사 1급 대비 수험서]
에듀파인더 [스마트 사회복지사 1급 대비 수험서] 시리즈의 구성과 특징
▶ 혼자 학습하거나 공부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험생들이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분량을 최소화하고 학습의 편리를 위해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총 8과목을 각각 교재로 출간하였다.
▶ 수험생들이 전체적인 맥락에서 교과를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핵심정리하기 및 참고하기 등을 통해 요점을 정리하였다.
▶ 2019년 현재까지 제정 및 개정된 법령을 반영하였으며, 출제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최근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최신의 정보를 적극 반영하였다.
▶ 단원마다 출제빈도가 높았던 부분을 표시(*)하고, 혼돈되거나 틀리기 쉬운 부분도 밑줄로 표시(-)하여 최종정리 시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제1장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1. 사회복지실천에서 기술의 개념 21
2.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특징 21
3.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21
4. 사회복지실천방법의 분류 22
1) 개입수준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마일리)|2) 접촉 유무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5.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따른 기술 23
1) 미시적 수준의 역할|2) 중범위 수준의 역할|3) 거시적 수준의 역할|4) 전문가 집단차원
〈 출제경향 파악 〉 27
제2장 /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가치와 윤리 29
1) 가치와 윤리|2)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가치|3)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2. 사회복지실천과 윤리적 갈등 30
1) 사회복지의 윤리적 갈등(=윤리적 딜레마, ethical dilemmas)|2) 윤리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범주
3. 윤리적 의사결정의 지침 31
1)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윤리적 원칙의 우선순위
〈 출제경향 파악 〉 33
제3장 / 프로이트의 정신역동모델
1. 정신역동모델의 기본개념 35
1) 프로이트의 인간관|2) 정신역동모델의 개념|3) 정신역동모델의 개입목표|4) 지형학적 관점(의식의 수준): 의식, 전의식, 무의식|5) 구조적 관점(성격의 구조): 원초아, 자아, 초자아
〈 출제경향 파악 〉 40
제4장 / 심리성적 발달단계와 방어기제의 활용기법
1.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41
1) 심리성적 발달단계의 개념|2) 심리성적 발달단계의 구성(=리비도의 집중부위)
2. 방어기제의 개념과 종류 44
1) 억압|2) 부정|3) 반동형성|4) 동일시(=동일화)|5) 투사|6) 합리화|7) 퇴행|8) 승화|9) 자기에게로 향함|10) 전치
3. 정신분석모델에서 활용기법 46
1) 자유연상|2) 해석|3) 저항의 분석과 해석|4) 전이의 분석과 해석|5) 훈습|6) 역전이
〈 출제경향 파악 〉 48
제5장 / 심리사회모델(심리성적모델)
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과 특징 51
2. 심리사회모델의 가치전제 52
3.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기법 52
1) 직접적 개입|2) 간접적 개입: 환경을 조정하기
〈 출제경향 파악 〉 57
제6장 / 과제중심모델
1. 과제중심모델의 등장배경과 특징 59
2. 과제중심모델의 주요 개념 60
1) 표적문제(target problem)|2) 과제(=과업, task)
3. 과제중심모델의 개입목표 62
4. 과제중심모델의 개입과정 62
사회복지실천기술5내지-1014 2019.10.14 11:18 AM 페이지12 NO.3 2400-175-mono
1) 시작하기(Starting-up): 면접|2) 제1단계: 문제규명(확인, Problem identification)|3) 제2단계: 계약(contraction)|4) 제3단계: 실행(Implementation)|5) 제4단계: 종결(Termination)
〈 출제경향 파악 〉 66
제7장 / 인지행동모델
1. 인지행동모델의 개념, 인간관 67
2. 다양한 인지행동모델의 출현 67
3. 인지행동 접근방법의 장점 및 한계 68
1) 장점|2) 한계
4. 인지행동모델의 개입목표와 특징 68
5. 개입과정 69
1) 초기단계|2) 개입단계|3) 종결단계
6.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치료(Rational-Emotive Therapy, RET) 71
1)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의 등장배경|2)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의 특징|3) 인간에 대한 관점|4) 비합리적 신념|5) 왜곡된 사고|6)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치료(Rational-Emotive Therapy, RET)의 개입과정
〈 출제경향 파악 〉 74
제8장 / 백의 인지치료
1. 인지치료의 등장배경 77
2. 인지치료의 특징 77
3. 인지치료의 기본 가정 78
4. 인지치료의 주요 개념 78
1) 도식|2) 자동적 사고(automatic thinking)|3) 핵심믿음체계(core belief system)|4) 중간믿음체계(intermediate belief system)|5) 스키마 혹은 도식(schemata, scheme, schema)|6) 인지적 오류(=왜곡)
5. 인지치료의 개입기법 80
6. 기타 개입기법 81
1) 인지재구조화|2) 경험적 학습|3) 체계적 둔감법(=체계적 탈감법)|4) 모델링(modeling)|5) 관찰학습과정|6) 이완훈련|7) 사회기술훈련|8) 시연(=행동시연, rehearsal)|9) 자기지시기술|10) 자기대화관리훈련
〈 출제경향 파악 〉 84
제9장 / 위기개입, 역량강화모델
1. 위기개입 87
1) 위기의 정의|2) 위기의 특성|3) 위기의 유형
2. 위기상태의 발생 88
1) 위기상태의 발생요인|2) 위기상태의 특징|3) 위기발달단계
3. 위기개입모델 90
1) 위기개입모델의 개념|2) 위기개입의 기본원리
4. 역량강화모델 91
1) 역량강화(empowerment)의 정의|2) 역량강화의 방법|3) 역량강화의 다양한 차원
5.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과 역량강화 92
1) 강점의 의미와 특성 - 샐리비(Saleebey)|2) 강점관점의 의미와 특성|3) 강점관점의 실천적 전제|4) 강점관점에 따른 중요한 변화
6. 역량강화모델의 개입목표와 과정 94
1) 대화단계(Dialogue Phase): 역량강화관계 개발하기|2) 발견단계(Discovery Phase): 사정, 분석, 계획하기|3) 발전단계(발달단계 Development Phase): 실행 및 변화 안정화하기
〈 출제경향 파악 〉 95
제10장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1)
1. 가족의 정의 97
1) 협의의 가족|2) 광의의 가족
2. 체계로서의 가족 97
1) 가족체계이론|2) 가족체계의 역동성|3) 가족체계와 관련된 주요 개념
3. 다양한 가족유형 101
1) 핵가족|2) 확대가족|3) 노인 가족|4) 한부모가족|5) 계부모가족(stepfamilies)|6) 혼합가족(blended family)|7) 생식가족(family of procreation)|8) 위탁가족(foster family)|9) 수정확대가족|10) 다문화가족
4.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 103
1) 현대가족의 구조 및 기능상의 변화|2) 현대가족의 문제와 욕구
5. 가족생활주기 104
1)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의 정의|2) 가족생활주기의 특징|3) 가족생활주기와 발달과업|4) 사회변화와 가족생활주기
〈 출제경향 파악 〉 106
제11장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2)
1. 가족사정(family assessment) 107
2. 가족기능 107
1) 기능적 가족의 특징|2) 역기능적인 가족의 특징|3) 가족구조
3. 가족구성원 간의 경계 108
1) 밀착된 가족(enmeshed family)|2) 유리된 가족(disengaged family)
4. 가족 외부와의 경계 109
1) 개방형 가족체계|2) 폐쇄형 가족체계|3) 방임형 가족체계
5. 가족원의 의사소통 110
1) 기능적 의사소통의 특징|2) 기능적 의사소통의 예: 나 전달법(I-message)|3)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특징|4)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5) 구두점(punctuation)|6) 사티어(Satir)의 의사소통 유형
6. 가족규범 113
1) 가족규범의 개념|2) 역기능적 가족의 가족규범|3) 바람직한 가족규범|4) 기능적 가족규범과 역기능적 가족규범의 의사소통의 예
7. 가계도 114
1) 가계도의 개념|2) 가계도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8. 생태도 115
1) 생태도의 개념과 특징|2) 생태도의 기능
9. 사회적 관계망표 116
1) 사회적 관계망표의 개념과 특징|2) 사회적 관계망표에서 알 수 있는 정보
10. 생활력도표(life history grid) 117
1) 생활력(도)표의 개념과 특징|2) 생활력도표의 활용
11. 그 밖의 가족사정 방법 117
1) 생활주기표|2) 가족조각
〈 출제경향 파악 〉 119
제12장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3)
1. 가족복지실천 121
2. 가족실천 초기과정 121
1) 접수|2) 자료수집|3) 사정|4) 계획
3. 보웬식 가족치료: 세대 간 가족치료(중간과정) 123
1) 특징|2) 주요 개념|3) 대표적 기법
〈 출제경향 파악 〉 127
제13장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4)
1.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129
1) 특징|2) 주요개념|3) 대표적 기법
2.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성장모델 132
1) 특징|2) 주요 개념|3) 대표적 기법
〈 출제경향 파악 〉 136
제14장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5)
1.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 139
1) 특징|2) 주요 개념|3) 대표적 기법
〈 출제경향 파악 〉 144
제15장 /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6)
1. 전략적 가족 치료 145
1) 개요|2) 특징|3) 주요 개념|4) 대표적 기법
2. 가족실천 종결단계의 과업 148
1) 종결시기 결정하기(종결할 때가 되었는지 판단할 때 고려사항)|2)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정서적 반응 다루기|3) 개입을 통해 획득한 효과의 유지와 강화|4) 의뢰하기|5) 평가하기
〈 출제경향 파악 〉 150
제16장 / 집단사회복지실천(1)
1. 집단의 개념 151
1) 정의|2) 상호작용과 정서적 결속 정도에 따른 구분|3) 구성방법에 따른 구분|4) 집단의 목적에 따른 분류
2. 치료집단 153
1) 치료집단의 특징|2) 토스랜드와 리바스(Toseland & Rivas)의 치료집단의 주된 목적에 따른 구분
3. 과업집단(task group) 155
1) 과업집단의 특징
4. 자조집단(self-help group) 156
1) 자조집단의 특징
〈 출제경향 파악 〉 157
제17장 / 집단사회복지실천(2)
1. 집단사회복지실천 159
1) 집단사회복지실천(group work)의 개념|2)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2. 집단사회복지 실천모델 161
1) 사회적 목표모델(social goals model)|2) 상호작용모델(reciprocal model)|3) 치료모델(remedial model)
〈 출제경향 파악 〉 165
제18장 / 집단사회복지실천(3)
1. 집단지도력의 구성 167
1) 집단지도력의 개념|2) 집단지도력의 힘(power)
2. 공동지도력 168
1) 공동지도력의 개념|2) 공동지도력의 장점|3) 공동지도력의 단점
3. 집단역동성 169
1) 집단역동성의 개념|2) 집단역동성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
4. 집단역동성의 구성요소 170
1)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2) 집단 중심의 상호작용과 집단지도자 중심의 상호작용|3) 집단응집력(결속력, cohesion)|4) 하위집단
〈 출제경향 파악 〉 173
제19장 / 집단사회복지실천(4)
1. 집단역동성의 구성 요소 175
1) 집단문화|2) 집단규범|3) 지위와 역할|4) 긴장과 갈등
2. 집단의 치료적 효과 178
1) 희망주기(희망증진)|2) 보편성(일반화)|3) 정보전달(정보 습득)|4) 이타주의(이타심)|5) 사회기술 발달|6) 모방행동|7) 대인관계 학습|8) 집단응집력|9) 감정의 정화(카타르시스)|10) 실존적 요인들|11) 1차 가족집단의 교정적 재현(혹은 반복)
〈 출제경향 파악 〉 181
제20장 / 집단사회복지실천(5)
1. 집단발달 183
1) 집단발달의 개념|2) 집단발달단계 구분의 공통점
2. 노든(Northern)의 집단발달단계 184
1) 준비(혹은 계획)단계|2) 오리엔테이션단계|3) 탐색과 시험단계|4) 문제해결단계|5) 종료단계
3. 집단발달단계별 실천 185
1) 준비단계
〈 출제경향 파악 〉 189
제21장 / 집단사회복지실천(6)
1. 초기단계 191
2. 사정단계 192
1) 사정(assessment)의 개념|2) 개별성원에 대한 사정|3) 전체 집단에 대한 사정: 집단행동양식, 하위집단, 집단규범 등 사정|4) 집단발달단계별 사정의 특징|5) 집단사정의 방법|6) 소시오그램(사회도, sociogram)|7) 의미차별척도
3. 중간단계 195
1) 중간단계의 과업
4. 종결단계 195
1) 종결단계의 특징|2) 종결단계의 과제
〈 출제경향 파악 〉 197
제22장 / 기록
1. 기록의 목적 및 용도 199
2. 기록에 포함되는 기본적인 내용 199
3. 사회력(social history) 200
1) 사회력의 개념(=사회적 사정보고서)|2) 사회력에 포함되는 주요 내용|3) 사회력 작성의 중요성|4) 사회력 작성방법
4. 과정기록(process recording) 201
1) 과정기록의 특징|2) 과정기록의 장점|3) 과정기록의 단점
5. 요약기록(summary recording) 202
1) 요약기록의 특징|2) 요약기록의 장점|3) 요약기록의 단점
6. 문제중심(문제지향적) 기록 203
1) 문제중심기록의 특징|2) 문제중심기록의 구성|3) SOAP기록 방법|4) 문제중심기록의 장점|5) 문제기록의 단점
7. 녹음 및 녹화기록 205
1) 녹음 및 녹화기록의 특징|2) 녹음 및 녹화기록의 장점|3) 녹음 및 녹화기록의 단점 및 주의할 점
〈 출제경향 파악 〉 206
제23장 / 사회복지실천 평가, 평가기법
1.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개념 209
2. 사회복지실천 평가 이유 209
3. 평가의 유형 209
1) 결과평가(outcome evaluation)|2)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3) 실무자평가|4)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5)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6) 클라이언트 만족도 평가|7) 동료검토
〈 출제경향 파악 〉 213
제24장 / 단일사례설계 기타평가
1. 단일사례(연구)설계 215
1) 단일사례설계(single subject design)의 개념|2) 단일사례설계의 특징|3) 단일사례설계 수행과정|4) 단일사례설계의 기본 개념|5) 단일사례설계의 유형|6) 종속변인 및 측정방법
2. 기타 평가방법 221
1) 과제성취척도(=과업성취척도, task achievement scale)|2) 목표달성척도(=목적성취척도, Goal Attainment Scale, GAS)
〈 출제경향 파악 〉 223
참고문헌 224
최근 주목받고 있는 아동·노인·장애인·여성·한부모가족·다문화가족의 문제 해결, 독거노인·빈곤층 대책, 그리고 보다 질 높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국가 정책은 책임 있고 능력 있는 사회복지사를 필요로 합니다. 많은 분들이 사회복지사 시험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은 선발시험이 아니라 자격시험입니다. 선발시험과 달리 자격시험은 선택과 집중이 중요합니다. 어려운 1~2과목은 과락이 되지 않도록 기출문제 중심으로 정리하고, 자신 있는 2~3개 과목은 고득점(80점) 할 수 있도록 집중하면 합격(60점)은 무난히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해마다 사회복지사 1급 시험 합격률이 30~4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런 사실은 수험생 여러분이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합격하려면 선택과 집중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8과목 모두 든든한 기초 지식과 핵심 정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반증합니다. 에듀파인더가 출간한 [스마트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 수험서 시리즈는 사회복지 분야 전문가 세 분이 지난 10년 동안의 사회복지사 기출문제들을 분석하여 수험생 여러분이 사회복지사 1급 시험 8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지식과 핵심정리를 단기간에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다른 수험서들과 달리 수험생 여러분들이 8과목 교재를 각각 가지고 다니면서 본문을 부담 없이 여러 번 읽어가며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습니다. 에듀파인더 수험서로 이른 시일 내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합격하는 기쁨을 누리기 바랍니다.
스마트 사회복지사 시리즈 8권 소개
사회복지정책론
979-11-5558-052-3(14330) / 979-11-5558-051-6(전8권)
심상오 편저, 256쪽, 13,000원
사회복지행정론
979-11-5558-053-0(14330) / 979-11-5558-051-6(전8권)
심상오 편저, 256쪽, 13,000원
사회복지법제론
979-11-5558-054-7(14330) / 979-11-5558-051-6(전8권)
심상오 편저, 304쪽, 13,000원
사회복지실천론
979-11-5558-052-3(14330) / 979-11-5558-051-6(전8권)
김한덕 편저, 240쪽, 13,000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979-11-5558-052-3(14330) / 979-11-5558-051-6(전8권)
김한덕 편저, 224쪽, 13,000원
지역사회복지론
979-11-5558-052-3(14330) / 979-11-5558-051-6(전8권)
김한덕 편저, 196쪽, 13,000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979-11-5558-052-3(14330) / 979-11-5558-051-6(전8권)
선남이 편저, 264쪽, 13,000원
사회복지조사론
979-11-5558-052-3(14330) / 979-11-5558-051-6(전8권)
선남이 편저, 268쪽, 13,000원
인물정보
저자(글) 김한덕 (편저)
저자 : 김한덕 (편저)
<학력 및 경력>
세종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행정학석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1회졸) 법학사
현) 동원대학교 교수(사회복지학부)
현) KACE. 사이에듀원격교육원 등 개발 및 운영교수
현) 서울특별시 복지본부 보조금 심의위원
현)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심판위원회 위원
현) 사단법인 나눔복지 대표이사
전) 동원대학교 외래, 겸임, 조교수 역임
전) 세종대학교, 경복대학교 외래교수
전)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사무관 퇴직)
전) 강남구 논골노인복지관 관장
전) 경기 광주시 노인종합복지회관 관장
<자격>
사회복지사 1급
행정사 자격증
요양보호사 1급
가정폭력, 성폭력 예방 강사
장애인인권강사
<저서>
노후를 행복하게(재가요양시설 운영가이드), 디자인여백,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동체, 2011.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2.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대경, 2017.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대경, 2017.
지역사회복지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대경, 2017.
〈학력 및 경력〉
세종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행정학석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1회졸) 법학사
현) 동원대학교 교수(사회복지학부)
현) KACE. 사이에듀원격교육원 등 개발 및 운영교수
현) 서울특별시 복지본부 보조금 심의위원
현)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심판위원회 위원
현) 사단법인 나눔복지 대표이사
전) 동원대학교 외래, 겸임, 조교수 역임
전) 세종대학교, 경복대학교 외래교수
전) 서울특별시 지방공무원(사무관 퇴직)
전) 강남구 논골노인복지관 관장
전) 경기 광주시 노인종합복지회관 관장
〈자격〉
사회복지사 1급
행정사 자격증
요양보호사 1급
가정폭력, 성폭력 예방 강사
장애인인권강사
〈저서〉
노후를 행복하게(재가요양시설 운영가이드), 디자인여백,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동체, 2011.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2.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대경, 2017.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대경, 2017.
지역사회복지론(사회복지사 1급 대비), 대경, 2017.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