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선언론 통제사
2021년 01월 11일 출간
국내도서 : 2020년 08월 3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68.96MB)
- ISBN 979113036660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1,42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절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제2절 본 연구의 범위 및 시대구분 9
제2장 근대언론 전사前史
제1절 한일관계사 13
제2절 정한론의 배경 15
제3절 한일강화도조약의 성립과 개항 17
제3장 근대신문의성립기와 일본의 언론인
제1절 역사적 배경 23
제2절 ?한성순보?의 창간 27
제3절 ?한성순보? 기사파문과 ?한성주보? 31
제4절 후쿠자와 유키치와 이노우에 가쿠고로 34
제5절 이노우에 가쿠고로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41
제6절 조선의 근대화와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 47
제4장 1905년 을사늑약 전후의 일본의 언론정책
제1절 일본의 식민지정책 연구 59
1. 식민지 이론의 전개 59
2. 일본에 있어서 식민지정책 연구 61
제2절 일본 언론의 침투 66
1. 일본인 경영 신문의 침투 66
2. 일본의 언론통제정책과 민간지의 창간 72
제3절 영일동맹과 언론보도 77
1. 영일동맹이 대한제국의 침략정책에 미친 영향 77
2. 영일동맹과 언론보도 80
제4절 러일전쟁과 조선의 언론탄압 96
1. 러일전쟁과 조선의 침략 정책 96
2. 일본의 대 조선 언론탄압 98
제5절 조선통감부시대의 언론통제정책 104
1. 조선통감부의 언론통제정책 104
2. 반 통치체제와 조선 언론의 탄압 112
제5장 1910년 한일병탄시대의 언론통제
제1절 한일합병과 언론통제 정책 145
1. 일제 식민지 조선의 통치기구 145
2. 테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조선총독의 언론통제 정책 151
제2절 한일병합을 둘러싼 국내외의 언론보도 160
1. 한일병합을 둘러싼 일본의 언론보도 160
2. 한일병합을 둘러싼 영국의 언론보도 177
제3절 매스미디어에 의한 선전과 회유, 강압과 위협 커뮤니케이션 190
1. 선전과 회유, 강압적인 위협 커뮤니케이션 190
2. 「동화정책」과 「내선일체」, 「내지연장주의」 200
제4절 교통통신 정책과 조선의 언론통제 207
1. 조선의 교통정책과 언론 207
2. 조선의 통신정책과 언론 215
제5절 통감부기관지 ?경성일보京城日報?의 창간배경과 그 역할 220
1. ?경성일보?의 창간배경과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 220
2. ?경성일보?의 역대사장과 신문경영 223
3. ?The Seoul Press?와 ?매일신보?의 역할 230
제6장 3ㆍ1운동과 언론통제정책
제1절 3ㆍ1운동과 국내외의 언론 257
1. 3ㆍ1운동의 역사적 배경 257
2. 국내외의 언론보도 262
제2절 사이토 마코토齋藤?의 시정방침과 언론정책 273
1. 사이토 마코토의 언론정책과 민간신문의 창간 273
2. 조선에서의 민간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창간 281
제3절 관동대지진과 조선의 언론통제 310
1. 관동대지진과 조선인대학살사건 310
2. 관동대지진과 조선의 언론통제 318
제4절 경성방송국의 설립과 언론통제 330
1. 경성방송국의 설립배경 330
2. 방송미디어를 통한 언론통제 332
제5절 선전영화 및 그 밖의 미디어를 통한 언론통제 354
1. 선전영화와 축음기(레코드)에 의한 여론통제 354
2. 활동사진을 통한 여론통제 361
제7장 대륙 군수기지화정책과 강제적인 언론통제
제1절 조선의 병참기지화와 언론통제 389
1. 조선의 병참기지론兵站基地論의 근거 389
2. 만주사변 이후 조선에서의 사회통제와 언론 394
제2절 「정보위원회」의 설치와 제도적인 언론통제 399
1. 정보위원회의 설치와 여론통제 399
2. 일본의 「정보국」 설치 403
3. 조선중앙정보위원회와 언론정책 407
제3절 법률을 통해서 본 조선의 언론통제 420
1. 조선에 있어서 사상통제와 법규 420
2. 조선의 언론통제와 법규 425
제4절 교육정책에서 본 언론과 사상통제 432
1. 황국신민교육과 언론통제 432
2. 신문용어 사용문제와 창씨개명 437
제5절 중일전쟁과 언론통제 445
1. 국가총동원법과 언론 445
2. 조선에 있어서 물자통제와 언론 448
제8장 태평양전쟁과 언론통제의 강화
제1절 전시하의 조선의 언론통제 471
제2절 조선에 있어서 출판물의 통제 483
1. 출판통제협의회 483
2. 출판물승인 및 추천실시요강 485
3. 출판물용 양지사용 규정요강出版物用洋紙使用規正要綱 489
제3절 정보선전정책과 통신검열실시 493
제4절 전시하에 있어서 법적인 언론통제 504
제5절 ?경성일보?의 논조와 일본의 패전 514
제9장 결 론
참고문헌 563
부록[1] 언론관계법규 597
부록[2] 언론관계연표 607
찾아보기 615
작가정보
저자 : 이연
현재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사)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과 재난방송중앙협의회위원을 맡고 있다. 그가 일제하 조선의 언론통제에 관해 연구하게 된 것은 1984년 日本 조치대학(上智大學: Sophia Univ.)대학원 신문학연구과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특히 도쿄대학東京大? 히로이 오사무?井脩 교수와 ‘관동대지진과 조선인학살사건’을 공동연구하면서 국가위기관리와 언론통제 정책 연구에 주력하게 된다. 그 후 上智大學 석사, 박사과정을 졸업하면서 일제하 언론통제 연구에 전념한다. 경력으로는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중앙도서관장, 행정대학원장, 대학언론사 주간, 언론중재위원, 국민안전처 기획위원, 행정안전부 기획위원 및 자문교수, 행정안전부 중앙평가위원, 소방방재청 자문교수, 기상청 자문교수, 日本 上智大學 신문학연구과 객원교수, NHK 자문교수(닛포로) 등이 있다.
〈저 서〉
ㆍ『위기관리와 커뮤니케이션』(2003, 학문사)
ㆍ『일본의 방송과 방송문화사』(2006, 학문사)
ㆍ『위기관리와 매스미디어』(2007, 학문사)
ㆍ『정부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2010, 박영사)
ㆍ『국가위기관리와 재난정보』(2016, 박영사)
ㆍ『신문, 텔레비전의 소멸』(2010, 아카넷, 역서)
ㆍ『일본의 케이블TV』(1997, 영풍문고: 공저)
ㆍ『일본 대중문화 베끼기』(1998, 나무와 숲: 공저)
ㆍ『朝鮮言論統制史』(2002, 日本 信山社)
ㆍ『グロ-バル社會とメデイア』(2003, ミネルバ?: 共著)
ㆍ『サッカ?文化の構?』(2004, 道和書院: 共著)
ㆍ『マスㆍメディアと冷?後の東アジア』(2005, ?文社: 共著)
ㆍ『メディアと文化の日韓?係』(2016, 新曜社: 共著) 등 다수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