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이원

유경숙 지음 | 김장환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20년 04월 13일 출간

종이책 : 2019년 09월 03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ePUB (10.46MB)
ISBN 9791128850035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소득공제
소장
정가 : 26,240원

쿠폰적용가 23,62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원(異苑)≫은 기이한 이야기 동산이라는 뜻으로, 위진 남북조 시대의 대표적인 지괴 소설집이다. 후대의 지괴 소설에 큰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수경주≫, ≪예문유취≫ 등의 백과사전류 문헌이나 ≪진서≫, ≪송서≫ 등의 역사 사적에도 널리 인용되었다. 세계 최초로 총 10권 383조의 이야기를 모두 옮기고 교감했다.
권1
1-1(001) 미인 무지개(美人虹)
1-2(002) 술을 마신 무지개가 황금을 토해 내다(飮虹吐金)
1-3(003) 무지개가 할머니로 변하다(虹化?)
1-4(004) 흰 무지개가 방으로 들어오다(白虹入室)
1-5(005) 구의산의 순임금 사당(九?山舜廟)
1-6(006) 형산의 세 봉우리(衡山三峰)
1-7(007) 멱담의 말 발자국(汨潭馬跡)
1-8(008) 고석산(姑石山)
1-9(009) 천태산(天台山)
1-10(010) 변산의 돌 궤짝(卞山石櫃)
1-11(011) 도간의 낚시터(陶侃釣磯)
1-12(012) 승기산(乘磯山)
1-13(013) 백장산의 돌 책(百丈山石書)
1-14(014) 도산의 뿔피리 소리(濤山角聲)
1-15(015) 사산의 북과 뿔피리(沙山鼓角)
1-16(016) 구용의 수맥(句容水脈)
1-17(017) 오백 병사의 제방(五百陂)
1-18(018) 백부 여울(百簿瀨)
1-19(019) 물고기가 날아가는 길(飛魚徑)
1-20(020) 산정의 새 둥지(山井鳥巢)
1-21(021) 용의 헛기침(龍?)
1-22(022) 끓는 우물(沸井)
1-23(023) 우물 벽돌에 새겨진 가짜 용(井?疑龍)
1-24(024) 무계의 석굴(武溪石穴)
1-25(025) 옥저의 동쪽 경계(沃沮東界)

권2
2-1(026) 낙종이 저절로 울리다(洛鐘鳴)
2-2(027) 오군의 돌 북(吳郡石鼓)
2-3(028) 구리 세숫대야(銅?盤)
2-4(029) 저절로 타는 돌(燃石)
2-5(030) 현절릉의 책문(顯節陵策文)
2-6(031) 무기고의 화재(武庫火)
2-7(032) 황금 사슬에 매인 황금 소(金鎖金牛)
2-8(033) 동전이 흙으로 변하다(錢變土)
2-9(034) 구리 화로가 저절로 움직이다(銅?自行)
2-10(035) 작은 배 한 척에 실린 황금(一舡金)
2-11(036) 장림형의 큰 배다리(樟林桁大船)
2-12(037) 산음현의 동전 실은 배(山陰縣錢船)
2-13(038) 황금 솥이 구리 방울로 변하다(金鼎變銅鐸)
2-14(039) 종이 물속에서 울리다(鍾鳴水中)
2-15(040) 원마하의 푸른 구슬(元馬河碧珠)
2-16(041) 구리 가마솥이 소리를 내다(銅釜作聲)
2-17(042) 구리 말(銅馬)
2-18(043) 옥돼지(玉?)
2-19(044) 때밀이 돌이 황금을 품다(洗石孕金)
2-20(045) 돌 낙타(石駱?)
2-21(046) 부처의 머리카락(佛髮)
2-22(047) 석성의 감귤(石城甘橘)
2-23(048) 오색 거품돌(五色浮石)
2-24(049) 감귤이 솔개로 변하다(柑化鳶)
2-25(050) 대나무에서 꽃이 피다(竹生花)
2-26(051) 대추나무에서 복숭아와 오얏이 자라다(棗生桃李)
2-27(052) 뽕나무에서 오디가 두 번 열리다(桑再?)
2-28(053) 흰 오디(白桑?)
2-29(054) 대나무 마디 속의 사람(竹節中人)
2-30(055) 연리죽(連理竹)
2-31(056) 상서로운 참외(嘉瓜)
2-32(057) 세 줄기에 달린 참외 하나(一瓜三莖)
2-33(058) 월왕채(越王菜)
2-34(059) 참마(土藷)
2-35(060) 인삼(土精)
2-36(061) 교주의 버섯(交州菌)
2-37(062) 신농굴(神農窟)

권3
3-1(063) 학이 말을 하다(鶴語)
3-2(064) 난새가 울다(鸞鳴)
3-3(065) 앵무새가 꿈을 얘기하다(鸚鵡說夢)
3-4(066) 앵무새가 산불을 끄다(鸚鵡滅火)
3-5(067) 구관조가 말을 배우다(??學語)
3-6(068) 구관조가 비파 연주를 듣다(??聽琵琶)
3-7(069) 꿩이 거울을 보고 춤추다(山鷄舞鏡)
3-8(070) 까마귀 떼가 개를 쪼다(?烏?犬)
3-9(071) 두견새가 울음을 재촉하다(杜鵑催鳴)
3-10(072) 닭이 사람 말을 하다(鷄作人語)
3-11(073) 금빛 거위(金色鵝)
3-12(074) 거위가 다른 무리를 이끌고 오다(鵝引導)
3-13(075) 호랑이의 표식(虎標)
3-14(076) 호랑이가 부좌를 잡아가다(虎攫府佐)
3-15(077) 미녀가 호랑이로 변하다(美女變虎)
3-16(078) 호랑이를 길러 소송을 처리하다(畜虎理訟)
3-17(079) 취해서 호랑이와 함께 잠자다(醉共虎眠)
3-18(080) 곰 굴에서 오물을 치우다(熊穴?穢)
3-19(081) 곰의 자(字)를 부르다(熊呼字)
3-20(082) 유번이 노루를 사냥하다(劉幡射?)
3-21(083) 큰손님(大客)
3-22(084) 팔려던 소가 눈물을 글썽이다(貨牛淹淚)
3-23(085) 말이 부견을 건네주다(馬度?堅)
3-24(086) 개가 따라 죽다(犬殉)
3-25(087) 날쌘 토끼(狡?)
3-26(088) 쥐 왕국(鼠王國)
3-27(089) 손을 모으는 쥐(拱鼠)
3-28(090) 의로운 쥐(義鼠)
3-29(091) 당공방의 쥐(唐鼠)
3-30(092) 구슬을 주머니에 담아 은덕에 보답하다(囊珠報德)
3-31(093) 칼을 담비 가죽과 바꾸다(刀子換貂皮)
3-32(094) 장산의 정령(蔣山精)
3-33(095) 용 젓갈(龍?)
3-34(096) 집에 사는 용이 부를 가져오다(宅龍致富)
3-35(097) 서사의 기이한 물체(西寺異物)
3-36(098) 토룡(土龍)
3-37(099) 뗏목이 용으로 변하다(?變龍)
3-38(100) 교룡을 쏘아 죽였다가 비명횡사하다(射蛟暴死)
3-39(101) 등하가 교룡을 해치우다(鄧遐治蛟)
3-40(102) 몽산의 거대한 뱀(蒙山大蛇)
3-41(103) 새참을 얻어먹은 동물의 기이한 보답(餉田異報)
3-42(104) 뱀이 꿩으로 변하다(化雉)
3-43(105) 뱀이

≪이원(異苑)≫은 ‘기이한 이야기 동산’이란 뜻으로, 유송의 유경숙(劉敬叔)이 지은 남조를 대표하는 지괴 소설(志怪小說) 모음집이다. 현재 통행본은 10권에 총 383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다.
≪이원≫이란 서명은 한나라의 유향(劉向)이 지은 ≪설원(說苑)≫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원≫에 수록된 고사의 시대 범위는 춘추 시대부터 진(秦)나라와 한나라, 삼국 시대, 진(晉)나라, 그리고 유경숙이 살았던 유송 초기까지 약 1000여 년에 달하는데, 특히 진(晉)나라 때의 고사가 가장 풍부하다. ‘기이한 이야기 동산’이란 뜻의 ≪이원≫은 각 권마다 비슷한 주제의 고사를 모아 총 10개의 이야기 동산을 만들었는데, 이는 찬자 유경숙의 의도적인 구상으로 여겨진다.
권1은 25조로 산천의 신령한 자취와 기이한 자연 현상에 관한 전설이 주를 이룬다.
권2는 37조로 기이한 물건과 그것이 변한 요괴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3은 57조로 각종 동물의 변화 고사가 주를 이루며, 일부 고사에는 보응 관념이 반영되어 있다.
권4는 65조로 길흉의 징조, 참위(讖緯), 요언(謠諺)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5는 38조로 민간에서 받들어 모시던 매고신(梅姑神)·소고신(小姑神)·자고신(紫姑神)·죽왕삼랑신(竹王三郞神)·강백신(江伯神)·항우신(項羽神) 등의 신령한 영험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그 밖에 신선과 이승(異僧)에 관한 전설도 들어 있다.
권6은 41조로 귀신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루는데, 귀신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사람을 만나거나 사람에게 해코지하는 고사가 많다.
권7은 33조로 묏자리를 점치거나 꿈자리의 징조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8은 46조로 요괴가 변신해 사람과 교유하거나, 사람이 동물로 변하거나,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거나, 부인의 기이한 임신과 출산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9는 20조로 점복(占卜)과 술수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특히 관노(管輅)에 관한 고사가 10조나 되는데, 이를 통해 유경숙이 살았던 시대에 관노의 전설이 이미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권10은 21조로 역사 인물들의 충렬(忠烈)과 절의(節義)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이상에서 살펴본 ≪이원≫의 고사는 권10의 일부 고사를 제외하고는 지괴 소설의 전통적인 내용을 계승해 신괴류와 박물류의 특성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도교 고사와 불교 고사는 상대적으로 수량이 적다. 전체적으로 제재가 다양하고 내용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당시에 널리 유전되던 고사를 대대적으로 수집해, 각양각색의 이야기꽃이 활짝 핀 ‘기이한 이야기 동산’을 조성했다.

작가정보

저자(글) 유경숙

저자 : 유경숙
≪이원(異苑)≫의 찬자 유경숙(劉敬叔, ?∼468?)은 동진 말과 유송 때의 문인이다. 자는 경숙이고 팽성[彭城, 지금의 장쑤성(江蘇省) 퉁산현(銅山縣)]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영민하고 남다른 재주를 지녔으며, 중병참군(中兵參軍)과 사도장기(司徒掌記)로 벼슬을 시작했다. 동진 안제(安帝) 의희(義熙) 5년(409)에 남평군공(南平郡公) 유의(劉毅)의 낭중령(郞中令)이 되었지만, 2년 뒤에 유의의 뜻을 거슬러 파면되었다. 유유(劉裕 : 유송 무제)는 의희 8년(412)에 자신에게 반기를 든 유의를 주살하고, 의희 13년(417)에 유경숙을 장사경왕(長沙景王) 표기장군(驃騎將軍) 유도련(劉道憐)의 참군으로 삼았다. 420년에 유유가 동진 공제(恭帝)로부터 제위를 선양받아 송나라를 건국한 뒤, 진서장군(鎭西將軍) 유의륭(劉義隆 : 유송 문제)의 장사(長史)가 되었다. 유송 문제(文帝) 원가(元嘉) 3년(426)에 조정에 들어가 급사황문랑(給事黃門郞)이 되었다가 몇 년 후에 병으로 사직했으며, 명제(明帝) 태시(泰始) 연간(465∼471)에 죽었다. 저서로 ≪이원≫ 10권이 세상에 전해진다.

역자 : 김장환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지인소설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교수(2004∼2005),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객원교수(2011∼2012)를 지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이다.
그동안 쓴 책으로 ≪중국 문학의 흐름≫, ≪중국 문학의 향기≫, ≪중국 문학의 숨결≫, ≪중국 문언 단편 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 집석 연구(魏晉世語輯釋硏究)≫, ≪동아시아 이야기 보고의 탄생?태평광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 연극사≫, ≪중국 유서 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 역대 필기(中國歷代筆記)≫, ≪세상의 참신한 이야기?세설신어≫(전 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 4권), ≪세설신어 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 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 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 8권), ≪봉신연의(封神演義)≫(전 9권), ≪당척언(唐?言)≫(전 2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속제해기(續齊諧記)≫, ≪선험기(宣驗記)≫, ≪술이기(述異記)≫, ≪소림(笑林)·투기(妬記)≫, ≪고금주(古今注)≫,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원혼지(寃魂志)≫ 등이 있으며,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이원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이원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이원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