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최월순(Weul-Sun CHOI) 최웅용(Woong-Yong CHOI)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479~50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애 전환기 특성과 삶의 만족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가족기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의미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국내 중년여성30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PROCESS 매개효과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능은 삶의 의미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B = .92, p < .001), 삶의 의미는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B = .36, p < .001). 가족기능의 총효과(B = .76, p < .001)와 직접효과(B = .43, p < .001)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삶의 의미의 부분 매개효과(B = .33, 95% CI [.22, .44])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삶의 만족 증진을 위한 가족 및 의미 중심 상담 개입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and tested the mediating role of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09 Korean women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mediation. Family functioning positively influenced meaning in life (B = .92, p < .001), which in turn predicted life satisfaction (B = .36, p < .001). Both the total effect (B = .76, p < .001) and the direct effect (B = .43, p < .001) of family functioning on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B = .33, 95% CI [.22, .44]). These findings provided empirical evidence for family- and meaning-centere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